창신동 봉제거리 박물관
창신동 봉제거리 박물관 | |
---|---|
![]() | |
유형 | 거리박물관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4가길 (창신동 647 일원) |
개관일 | 2015년 5월[1] |
운영자 | 종로구청 |
창신동 봉제거리 박물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647번지 일대 골목에 조성된, 봉제산업을 다루는 거리박물관이다. 인근의 이음피움 봉제역사관이 대한민국의 봉제산업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박물관이라면[2], 이곳은 창신동의 봉제산업에 집중하여 도로에 조형물을 설치하였다.[1] 창신동은 1970년대부터 평화시장과 동대문종합시장의 배후지로서 열악한 소규모 봉제공장이 밀집한 곳으로, 지금도 많은 봉제공장이 있다.[3][4]
봉제거리 박물관 조성은 2016년 1월에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었고, 이와 함께 골목 일대의 봉제공장 간판도 정비하였다.[5] 이는 사회적 기업 공공공간(000간)에서 담당하였다.[6]
사진
[편집]- 창신동과 봉제 산업의 역사
- 거리의 주인공들
- 봉제용어 8가지
- 봉제인 기억의 벽
- 의류 생산 공정 4단계
- 창신동 봉제공장의 24시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윤종철 (2015년 5월 18일). “창신동에 ‘봉제거리 박물관’ 조성”. 시정일보. 2020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장태동 (2019년 4월 11일). “평생 봉제 일한 70대 할머니 “잘 전시해줘 감사””. 한겨레. 2020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김종성 (2018년 8월 5일). “건물 한층을 반으로... 눈을 의심케 하는 열악한 작업실”. 오마이뉴스. 2020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성연재 (2018년 3월 17일). “[길따라 멋따라] 역사가 된 창신동 봉제 골목…서울 도심 '타임머신 여행'”. 연합뉴스. 2020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김진명 (2016년 10월 18일). “'40년 봉제골목' 거리예술 덧입고 재도약”. 내일신문. 2020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거리의 이름들”. 《000간》. 2018년 4월 17일. 2020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창신동 봉제마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서울미래유산
- 창신동 봉제 골목 - 현대사 디지털아카이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창신동 골목길 탐방 - 종로구청
![]() |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