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792호선
전북특별자치도 지방도 | |
---|---|
792 ![]() | |
복흥 ~ 순창선 (복흥 ~ 용면선)[1] | |
지방도 제792호선 | |
총연장 | 26.923km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
주요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전라남도 담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
종점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
주요 교차도로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지방도 제729호선 지방도 제897호선 |
지방도 제792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반월 교차로에서 금과면 발산리를 잇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지방도이다. 중간에 전라남도 담양군을 잠깐 거쳐간다.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지방도 노선 개편 때 지방도 제892호선이 이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2016년 7월 13일 강천산으로 진입하는 도로인 순창군 구림면 월정삼거리부터 순창읍 백산 교차로까지 9km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으로 승격되었다.[2]
연혁
[편집]- 1995년 12월 8일 : 지방도 제892호선을 통합. 이 때 전라남도 구간 노선명이 '복흥 ~ 동계선'이 됨.[3]
- 2003년 3월 27일 : 전라남도 구간 기존 지방도 노선을 폐지하고 새로 지정. 이 때 노선명을 '복흥 ~ 동계선'에서 '복흥 ~ 용면선'으로 변경함.[4]
- 2012년 12월 14일 : 기점을 순창군 복흥면 반월리로 변경하여 0.59km 연장[5]
- 2016년 7월 13일 : 순창군 구림면 월정삼거리부터 순창읍 백산 교차로까지 9km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으로 승격[6]
주요 경유지
[편집]중복 구간
[편집]-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답동삼거리 ~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용치삼거리 :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 순창군 구림면 오정자삼거리 ~ 월정삼거리 : 국도 제21호선과 중복
- 순창군 구림면 월정삼거리 ~ 순창읍 백산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
도로명
[편집]- 순창군 복흥면 반월리 ~ 복흥우체국 : 추령로
- 순창군 복흥면 복흥우체국 ~ 천치재 : 가인로
-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천치재 ~ 오정자재 : 가마골로
- 순창군 구림면 오정자재 ~ 순창읍 백산 교차로 : 강천로
- 순창군 순창읍 백산 교차로 ~ 복흥면 발산리 면 경계 : 아미로
각주
[편집]- ↑ 전라남도 구간에 한함.
- ↑ 전북 지방도 792호선, 국가지원 지방도 '55호선' 승격 보관됨 2016-08-21 - 웨이백 머신, 포커스뉴스, 2016년 7월 13일 작성.
- ↑ 전라남도공고 제1995-220호,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도보 제2212호.
- ↑ 전라남도공고 제2003-111호, 2003년 3월 27일.
- ↑ 전라북도공고 제2012-1105호, 2012년 12월 14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453호 , 2016년 7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