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속: | 붉은콜로부스속 |
종: |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 (P. foai) |
학명 | |
Procolobus foai | |
(de Pousargues, 1899) | |
보전상태 | |
|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Procolobus foai)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이다. 콩고민주공화국과 콩고공화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그리고 수단의 습기가 많은 숲에서 발견된다.[1]
분류
[편집]분류는 잠정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Piliocolobus foai)는 다른 붉은콜로부스와 함께 서부붉은콜로부스(Piliocolobus badius)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 하나의 분리된 종으로 간주되기 시작했을 때, 중부아프리카콜로부스의 학명은 Piliocolobus oustaleti (Trouessart, 1906년 )가 사용되었지만,[4] 이는 부정확한 것으로, 분류명으로써 foai는 oustaleti보다 7년 앞서 명명되었다.[1] 게다가, 분류명 tephrosceles는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의 아종의 하나로 간주되어 오고 있지만,[4] 그로브스(2001년)는 이를 별개의 종 우간다붉은콜로부스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에는,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는 타나강붉은콜로부스(P. rufomitratus)의 아종으로 봐야 한다고 제안되기도 한다.[2] 정의된 분류에 의하면,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는 5종의 아종으로 분류되지만, 이 아종들은 다양하고 구분하기 힘들다.[1]
- 아종
- 중부아프리카붉은콜로부스 (Procolobus foai foai)
- Procolobus foai ellioti
- 오스탈렛붉은콜로부스 (Procolobus foai oustaleti)
- 셈리키붉은콜로부스 (Procolobus foai semlikiensis)
- Procolobus foai parmentierorum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붉은콜로부스의 계통 분류이다.[5]
|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69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Procolobus rufomitratus ssp. oustalet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4일에 확인함.
- ↑ Rowe, N. (1996). 《The Pictorial Guide to the Living Primates》. Pogonia Press, Charlestown, Rhode Island. ISBN 0-9648825-0-7.
- ↑ 가 나 Kingdon, J. (1997). 《The Kingdon Guide to African Mammals》.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ISBN 0-12-408355-2.
- ↑ Nelson Ting: Molecular systematics of red colobus monkeys (Procolobus [Piliocolobus]):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an endangered primate. PhD thesis,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08,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