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복 초상
![]() | |
![]() | |
종목 | 보물 (구)제1298호 (1999년 12월 15일 지정) |
---|---|
수량 | 2폭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공유 |
위치 |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좌표 | 북위 37° 16′ 4″ 동경 127° 6′ 30″ / 북위 37.26778° 동경 127.10833°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 | |
종목 | 유형문화재 (구)제129호 (1985년 6월 28일 지정) (1999년 12월 15일 해지) |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조영복 초상(趙榮福 肖像)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다. 1999년 12월 15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98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조선 숙종 때의 문신인 조영복(1672∼1728)의 초상화 2점으로 하나는 흰색의 도포를 입고 있는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공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다. 조영복은 조선 숙종 31년(1705)에 과거에 합격하여 여러 벼슬을 지냈다.
도포를 입은 모습의 초상화는 동생인 조영석(1686∼1761)이 그린 것으로 세로 125㎝, 가로 76㎝ 크기이며, 앉아 있는 전신상이다.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인데, 조선 초상화에서는 드물게 양손이 나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영정은 유학자의 기품이 잘 드러난 사대부의 모습을 생생하고 실감나게 담아낸 매우 가치있는 그림이다.
다른 하나의 초상화는 공복을 입은 모습으로 의자에 앉아 오른쪽을 향하고 있다. 세로 154㎝, 가로 79㎝의 크기의 이 그림은 당대 유명한 화가인 진재해가 그린 것인데, 세밀하고 정교한 묘사가 돋보이며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공신상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도포를 입은 모습의 초상화는 경종 4년(1724)에 그리고, 그 이듬해인 영조 1년(1725)에 공복을 입은 모습의 초상화를 그렸다. 같은 시기에 동일한 인물을 그린 두 영정은 그림의 성격과 특성을 비교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자료
[편집]- 조영복 초상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