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남신
![]() | |
---|---|
![]() 조남신 박사 | |
기본 정보 | |
출생 | 1955년 9월 13일 | (69세)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
학력 | 독일 뮌스터 대학교 박사 |
종교 | 장로교 |
활동 정보 | |
분야 | 실천신학 |
활동 기간 | 1980년 ~ 현재 |
조남신(Cho Nam-Shin, 趙南信, 1955년 9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대학교수이다.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설교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1] 예명대학원대학교에서 정년 퇴임하고 현재 초빙 석좌교수로 있으면서 실천신학과 이름신학을 가르치고 있다.[2] 특히 예수이름신학 주임교수로서 구약의 쉠(Shem) 신학과 신약의 오노마(Onoma) 신학에 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의 지도교수는 프리데만 메르켈(Friedemann Merkel)이다.
학력
[편집]- 한신대학교 신학과 학사(1984)
- 한신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석사(1986)
-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박사과정(1992.4-1994.3)
- 독일 뮌스터 대학교 박사(1996, 2월). 지도교수 Friedemann Merkel
경력
[편집]- 1984.3-1985. 로고스 출판사 번역사원
- 1986.12-1988.12 영신교회(서울)에서 부교역자
- 1990.3-1996.2 독일 뮌스터 한인교회 공동목회자
- 1997.5-2000.5 대구 중부교회 담임목사
- 2000.6-2003.6 대구 수석교회 담임목사
- 1996.3월 이후 강남대학교, 강서대학교, 계명대학교, 기장 목회학 박사원, 영남신학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신대학교 등에 외래교수로 출강.
- 2003.9.1.-2021.8. 예명대학원대학교 교수
- 2007.1.-2014.10. 한국기독교장로회 목회와 신학연구소 연구위원
- 2021.9- 현재. 예명대학원대학교 초빙 석좌교수
- 2025.1-현재. 경건과 신학연구소 연구기획위원
저서, 역서 및 공저
[편집]- Das Spiel des Geistes mit dem Wort: Rudolf Bohren (Münster: Lit, 1996).
- 『산상설교의 주제들(1). 성서해석과 성서묵상』. 예일신대출판부, 2004, 2007(개정판).
- 『설교의 역사와 신학』 예일신대출판부, 2006. 8. 1.
- 『(독일 키텔 사전을 부분 번역한) 오노마, ὄνομα, 이름』 한스 비텐하르트 (서울: 레마, 2021).
- 『예명신학 1』, 공저 (서울: 레마, 2023).
논문
[편집]- “Das Spiel des Geistes mit dem Wort: Rudolf Bohren” (Münster Uni. Diss., 1994).
- “말씀과 성령의 유희,” 신학연구 37 (1996), 311-334.
- “실천신학입문으로서의 신학적 미학(I), 기독교사상 464 (1997.8), 91-104.
- “실천신학입문으로서의 신학적 미학(II), 기독교사상 465 (1997.9), 83-97.
- “보렌의 설교론의 체계적 구조,” 말씀과 교회 (1996.11), 55-62.
- “경험적 인문과학과 보렌의 설교론의 관계(1): 수사학,” 말씀과 교회 (1997.2), 70-79.
- “경험적 인문과학과 보렌의 설교론의 관계(2): 사이버네틱스,” 말씀과 교회 (1997.3), 53-59.
- “경험적 인문과학과 보렌의 설교론의 관계(3): 심리학, 사회학,” 말씀과 교회 (1997.5), 55-63.
- “의사소통학과 설교학의 관계: 보렌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달수 교수 회갑 기념 논문집, 『지구화 시대의 한국신학』 (서울: 도서출판 한빛, 1997), 635-655.
- “보렌의 설교학적 입지점,” 신학사상 101(1998, 여름), 218-249.
- “루돌프 보렌의 설교론에 대한 성령론적 분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5 (1998.10), 286-336.
- “보렌의 설교론에 나타난 설교제도비판과 그 대안,” 박근원 교수 정년 퇴임 기념 문집, 『한국교회와 신학실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2), 263-282.
- “당신은 그들을 우리와 같게 하였나이다,” 황성규 교수 정년 퇴임 기념 문집, 『하나님 나라 그 해석과 실천』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2000), 593-608.
-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이해에 대한 한 소고,” 말씀과 교회 43 (2007/2), 115-132.
- “예수님의 예배이해와 예배관련 하나님의 이름 언명들에 대한 고찰,” 말씀과 교회 46 2008/2), 235-262.
- “창세기에 나타난 이스라엘 야훼종교의 예배행위 단서들에 대한 일고,” 신학논단 53 (2008. 9), 219-251.
- “전통과 현실사이에서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설교,” 기장신학연구소편, 2009 목회연구 목회자 심포지엄 자료집, 2009. 1월
- “창조 이후 족장시대까지의 예배행위 단서들에 대한 예배학적 고찰,” 기장신학연구소편, 2009 목회연구 목회자 심포지엄 자료집 2009. 1월
- “모세시대 이스라엘 언약공동체의 성막예배에 대한 예배학적 고찰,” 기장신학연구소편, 2009 목회연구 목회자 심포지엄 자료집 2009. 1월
-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론과 현대문학의 관계,” 신학연구 55 (2009.12), 181-216.
- “설교학적 주제로서의 오이쿠메네: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149 (2010 여름), 243-279.
- “시내산 사건(출19-24장)에 나타난 예배이해와 현대적 적용,” 신학논단 62 (2010.12), 205-238.
-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의 문학적 형태와 언어,” 신학연구 57 (2010.12), 94-131.
- “말씀의 부활축제로서의 묵상: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묵상이해에 대한 분석적 고찰,” 신학사상 156 (2012 봄), 213-248.
- “제1청중과 제2본문: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설교청중이해에 대한 비교분석적 고찰,” 신학사상 159 (2012 겨울), 249-285.
- “하나님의 이름대언과 기도로서의 설교,” 신학사상 164 (2014 봄), 229-272.
- 하나님의 이름언설의 원천으로서 성서본문: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을 중심으로,” 신학논단 81 (2015.9), 361-391.
- “기억·상기·회상으로서의 설교: 루돌프 보렌(R. Bohren)에게서 말씀의 과거시제,” 「신학사상」 172 (2016 봄), 134-172.
- “약속으로서의 설교: 루돌프 보렌(R. Bohren)에게서 말씀의 미래시제,” 「신학사상」 176 (2017/봄), 245-282.
-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을 공표(公表)하는 사역으로서의 설교: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론에서 말씀의 현재시제,” 「신학논단」 92 (2018/6월), 321-356.
- “기독교예배의 구성요소로서의 기도에 대한 언어적, 의사소통적 접근: 독일 개신교교회를 중심으로,” 「신학논단」 97 (2019/9월), 215-250.
- “왜 이름 신학인가?: ‘통전적 신학으로서의 이름 신학’의 정립을 위하여.” 예명 대학원대학교 편집. 「제13회 예명 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 (서울: 예명 대학원대학교, 2020), 1-108.
- “문자와 영의 일치 모색에서 하나님의 이름 관련 의제들에 대한 논의: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설교학의 관점에서,” 「신학연구」 77 (2020. 12), 205-233.
- “내용과 형식의 일치에 관한 논의: 루돌프 보렌(Rudolf Bohren)의 이름신학적 설교학의 관점에서,” 「신학논단」 105 (2021), 85-123.
- “‘사람, 또는 사물 위에 그 이름을 부르기’: 신·구약 성서에 나오는 한 이름-어법에 관한 연구,” 예명 대학원대학교 편. 「제15회 예명 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 (서울: 예명 대학원대학교, 2021), 4-75.
- “구약성서에서 관용구 ‘카라 베쉠 야웨’(qārā’ bᵉšēm JHWH)의 어휘조합과 그 의미범주,” 예명 대학원대학교 편. 「제17회 예명 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 (서울: 예명 대학원대학교, 2022), 59-235.
- “야웨와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소유관계 표시로서 기능하는 이름 관련 관용구,” 「신학연구」 80 (2022), 103-141.
- “예루살렘 회의에서 이름-개념과 이방인 구원 모티프의 지평 융합: 행 15:14, 17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81 (2022), 89-128.
- “관용구 ‘카라 베쉠 야웨’(qārā’ bᵉšēm JHWH, “야웨의 이름을 부르기”)에 관한 언어적 연구,” 「신학연구」 83 (2023), 91-123.
- “예수의 이름을 위하여 받는 고난: 신약성서를 중심으로,” 예명대학원대학교 편. 「제19회 예명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 (서울: 예명대학원대학교, 2023), 4-153.
- “사도행전에서 ‘예수의 이름’과 고난의 상관관계 연구,” 「신학논단」 115 (2024), 279-314.
- “구원의 이름으로서 ‘예수의 이름’: 사도행전 2:17-21과 MT/LXX 요엘 3:1-5의 비교를 통해서,” 예명대학원대학교 편. 「제20회 예명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서울: 예명대학원대학교, 2024), 111-199.
- “공관복음에서 ‘예수의 이름’과 고난의 상관관계 연구,” 「신학연구」 84 (2024), 37-70.
- “신약성서에서 ὄνομα(오노마, “이름”) 개념 연구: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는 하이브리드(hybrid) 공간으로서의 ‘예수의 이름’,” 예명대학원대학교 편, 「제21회 예명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 (서울: 예명대학원대학교, 2024), 33-135.
- “누가-행전의 ‘예수의 이름으로 말한다’라는 어구에 관한 연구: 그 용례, 배경 그리고 의미론적 기능을 중심으로,” 예명대학원대학교 편. 「제22회 예명대학원대학교 콜로키움 자료집」(서울: 예명대학원대학교, 2025), 29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