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공수특전여단
제3공수특전여단 | |
---|---|
![]() | |
국가 | ![]() |
소속 | ![]() |
규모 | 여단 |
명령 체계 | 육군특수전사령부 |
본부 | 경기도 이천 |
별칭 | 비호부대 |
마스코트 | 호랑이 |
참전 | 강릉무장공비 침투사건 |
지휘관 | |
여단장 | 김정근 |
주요 지휘관 | 최세창, 정승조 |

제3공수특전여단(第三空輸特戰旅團, 영어: 3rd Airborne Special Forces Brigade), 또는 "비호부대"는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 소속 부대들 중 두 번째로 만들어진 특수작전 부대이다.
역사
[편집]- 1972년 육군특수전사령부 배속 부대 창설
활동
[편집]12.12 군사반란 참가
[편집]1979년 12월 12일, 하나회 회원인 최세창 여단장의 명령에 따라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여 본부인 육군특수전사령부를 습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김오랑 소령을 사살하고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하는 등 반란행위를 하였다.[1][2]
부마항쟁 진압 참가
[편집]부마 민주 항쟁이 발생하자 처음으로 투입된 부대이다.[3][4]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 참가
[편집]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11,12,15,16대대가 투입되어 광주 일대를 봉쇄하고, 유혈 진압 작전을 펼쳤다. 특히 광주역 부근에서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시민군에게 실탄 사격을 가했으나, 시민군의 수에 압도되어 전남대학교로 후퇴하였다.[5][6][7]
강릉무장공비 사건 참가
[편집]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투입되어 무장공비들을 사살하였다.[8]
2024년 비상계엄령 참가
[편집]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에 일부 인원들이 투입되었다.[9]
역대 지휘관
[편집]#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준장 | 년 월 일 | 년 월 일 | |
2 | 준장 최세창 | 1977년 월 일 | 년 월 일 | 국방부장관 |
3 | 준장 정승조 | 2001년 월 일 | 2002년 월 일 | 국방부장관 |
4 | 준장 김정근 | 년 월 일 | 년 월 일 | |
참고
[편집]- ↑ 구민지 (2024년 6월 10일). “'서울의봄' 故 김오랑 유족, 45년 만에 국가에 책임 묻는다”.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권혁철 (2022년 9월 27일). ““전두환 반란 맞선 김오랑 중령은 ‘순직’ 아닌 ‘전사’””.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조재형 (2019년 4월 22일). “"시민은 적" 새긴 공수부대…결국 광주에서 실행”.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최상원 (2020년 10월 21일). ““부마항쟁과 광주 5·18민주항쟁은 운명적으로 연결된 사건””.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518”.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서울의 봄’ 신군부 핵심 생존 3인 아직도 다문 ‘진실의 입’”. 2023년 12월 7일.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잠수함침투사건 - 디지털강릉문화대전”.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조선일보 (2024년 12월 13일). “검찰, ‘비상계엄 당시 병력 투입’ 김정근 3공수여단장 소환”.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