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신속대응사단
제2신속대응사단 | |
---|---|
第二迅速對應師團 | |
![]() | |
활동 기간 | 2021년 1월 1일 ~ 현재 |
국가 | ![]() |
소속 | ![]() |
종류 | 신속대응부대, 공수부대 |
역할 | 신속대응 작전 |
규모 | 사단 |
명령 체계 | 제7기동군단 제2작전사령부(작전통제)[1] |
본부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
별칭 | 노도부대(怒濤部隊)[2] |
군가 | 제 2 신속대응사단가 |
전신 | 제 2 보병사단 |
지휘관 | |
사단장 | ![]() (육사 51기) |
제2신속대응사단(第二迅速對應師團, 2nd Quick Response Division, 상징명칭: 노도부대)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사단이다.[3] 제7기동군단 예하에 배속되어 있으며 헬리콥터와 수송기를 이용한 공중강습 신속대응부대 임무를 수행한다.
역사
[편집]2021년 1월 1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제7기동군단 예하 사단으로 창설되었다.[4] 2019년 12월에 해체된 옛 제2보병사단의 상징명칭인 "노도부대"와 부대표지[내용 1]를 계승하였다. 사단 창설과 함께 기존에 제2작전사령부에 배속되어 있었던 제201특공여단과 제203특공여단을 각각 제201신속대응여단과 제203신속대응여단으로 개편하여 예하에 배속받았다.
편제
[편집]- 직할대
- 전투지원대대
- 정보통신대
- 본부근무대
- 선견대
- 제201신속대응여단[내용 2]
- 제1신속대응대대 (독수리)
- 제2신속대응대대 (비호)
- 제3신속대응대대 (백호)
- 제959포병대대
- 제203신속대응여단[내용 3]
- 제1신속대응대대
- 제2신속대응대대
- 제3신속대응대대
- 제531포병대대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내용주
[편집]참조주
[편집]- ↑ 제 2 신속대응사단(이하 2사단)의 부대 관리와 교육훈련은 제 7 기동군단의 통제를 받지만 2사단의 작전 통제권은 제 2 작전사령부가 보유하고 있다. 그 이유는 2사단 예하 부대인 201, 203 신속대응여단이 제 2 작전사령부의 관할 구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전신인 제 2 보병사단의 상징 명칭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 ↑ 이철재 (2021년 1월 1일). “[단독]"송영무 아이디어" 육해공 동시공격 韓최초 공수사단”. 《중앙일보》. 2021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정빛나 (2021년 1월 1일). “육군 신속대응사단 창설…테러·국지도발 등 '즉각 투입'”. 《연합뉴스》. 2021년 5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제2신속대응사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