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항공여단 (미국)
제17항공여단 | |
---|---|
17th Aviation Brigade | |
활동 기간 |
|
국가 | ![]() |
소속 | ![]() |
병과 | 항공 |
종류 |
|
표어 | Freedom's Eagles |
색 | 파랑, 하양, 노랑 |
참전 | 베트남 전쟁 |
표장 | |
SSI | ![]() |
DUI | ![]() |
제17항공여단(영어: 17th Aviation Brigade)은 1965년부터 2005년까지 존속했었던 미국 육군의 항공 여단이다. 표어는 "Freedom's Eagles→자유의 독수리" 제 1대대는 성남의 서울비행장에 있었으며 표어는 "Flying Dragons"이다. UH-60 블랙호크를 주 기종으로 하였다.
역사
[편집]베트남 전쟁
[편집]부대는 최초에 제1항공여단의 하위 부대인 "제17항공단"으로서 전투 서열에 편성되고 냐짱에서 1965년 12월 15일에 창설되었다. 1968년 12월 31일 고유 부대 인식표를 받았다.[1] 이후 여단 본부는 1970년 10월 호아탄현, 1972년 1월 플레이꾸시로 옮겨갔다. 베트남 전쟁이 끝나자,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로 철수하고 그곳에서 1973년 3월 16일 해산하였다.
대한민국
[편집]1975년 6월 1일, 제17항공단은 대한민국에서 재소집되었다. 캠프 험프리스에 본부를 두고 주한 미군, 한미연합사령부, 제8군에 대한 군수와 항공 전투 지원을 담당하였다. 장비로는 UH-60 블랙호크, C-12 휴론, CH-47 치누크를 갖추고, 제164항공관제근무단에게서 항공 관제를 받았다.
1987년 12월 16일, 여단으로 증편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1988년 6월 9일 어깨 소매 인식표(SSI)를 받았다[1]
2004년 5월 15일 오전 2시, 서울특별시 신촌에서 동료들과 존 크리스토퍼 험프리 일병(Pfc. John C.(Christopher) Humphrey, 21세)은 만취한 채로 택시 위에 올라서서 난동을 부렸는데, 존 일병은 자신을 막던 시민의 목에 대검을 휘둘렀다.[2] 그는 한미협정에 따라 대한민국 측으로 신병이 인도되었고 7월 26일에 살인미수죄를 적용하여 구속되었다.[3][4] 9월 17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5]
2005년 6월 16일, 제17항공여단 본부가 해산하였다. 이것은 미국 육군의 재편성에 따라 전투항공여단(CAB)을 구성하기 위해서다. 제52항공연대 1 대대 예하 본부, C, D 중대는 알래스카주 포트 웨인라이트로, 제2대대 A 중대는 4월 25일에 포트 후드로 옮겨갔다. 그리고 제1, 6대대의 A중대는 한반도에 그대로 남아 제2대대로 재편었는데. 제2대대를 포함한 한반도에 남는 예하 부대는 제6기병여단에 재배치되었다.[6] 직후, 제6기병여단의 예하 부대는 다시 제2보병사단의 제2전투항공여단에 배치되었다.[7][8][9]
전투 서열
[편집]- 베트남 전쟁[10]
- 제1(I)군단 (임시), 1965년 12월 – 1966년 7월; 제1(I)군단 항공 대대 (임시)로 증편하였다.
- 제57항공중대 (강습 헬리콥터), 1972년 4월 – 1973년 3월
- 제58항공파견대, 1968년 10월 – 1972년 1월
- 제60항공중대 (강습 헬리콥터), 1972년 1월 – 1973년 3월
- 제129항공중대 (강습 헬리콥터), 1972년 4월 – 1973년 3월
- 제180항공중대 (강습 지원 헬리콥터), 1972년 1월 – 1972년 2월, 1972년 4월 – 1973년 2월; 17 기병 연대, 7 대대로 옮겨갔다.
- 제220항공중대 (감시 경항공기), 1965년 12월 – 1966년 8월; 제1(I)군단 항공 대대로 옮겨갔다.
- 제361항공중대 (항공 무기), 1972년 4월 – 1972년 7월
- 제10기병연대, H 중대, (항공), 1972년 4월 – 1973년 2월; 제17기병연대 7대대 C중대의 도구 전력이었다.
- 제17기병연대 (항공)
- 제H중대, 1972년 4월 – 1973년 2월; 17기병연대 7대대 B중대의 도구 전력이었다.
- 제K중대, 1970년 10월 – 1970년 12월; 17기병연대 7대대 D중대의 도구 전력이었다.
- 주한 미군
기록
[편집]계보
[편집]- 1965년 12월 1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17th Aviation Group
- 정규군 배정
- →제17항공단, 본부 및 본부중대
- 1987년 10월 1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17th Aviation Brigade
- →제17항공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전역
[편집]스트리머 | 내역 |
---|---|
![]() 베트남 전쟁 |
|
스트리머
[편집]스트리머 | 내역 |
---|---|
![]() 용맹십자장과 종려잎 | 1966년 ~ 1967년 |
1967년 ~ 1968년 | |
1968년 | |
1969년 ~ 1970년 | |
1970년 ~ 1972년 |
참고
[편집]인용
[편집]- ↑ 가 나 “17th Aviation Brigade” (영어). 문장학기관.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South Korea Ready to Charge GI in Stabbing” (영어). 폭스 뉴스. 2004년 6월 14일. 2014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황예랑 (2004년 7월 26일). “흉기난동 험프리 미 일병 구속”. 한겨레.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고란 (2004년 5월 20일). “난동 미군 살인미수죄 적용”. 중앙일보. 2014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김하영 (2004년 9월 17일). “'흉기난동' 험프리 일병 징역 2년6월”. 프레시안. 2014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주한미군, 제17 항공여단 해체”. 뉴스와이어. 2005년 4월 15일.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김종원 (2005년 6월 1일). “병력 위주에서 업그레이드 최첨단 장비로”. 국방일보.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윤상호 (2005년 4월 15일). “美8군 17항공여단 일부 철수…잔류 전력 2항공여단에 배치”. 동아일보.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조아미 (2011년 3월 28일). “46+1' 기억하며 … 하나로 뭉친 동맹의 밤`”. 국방일보. 2014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2005년 미 육군항공 개편 계획에 따라 2항공여단·17항공여단·6기갑항공여단이 탤론여단으로 통합됐다.
- ↑ Stanton, Shelby (1981). 《Vietnam Order of Battle》. 워싱턴 D.C.: U.S. News Books. 110-111쪽. ISBN 0-89193-700-5.
자료
[편집]- “Lineage And Honor information: Headquarter and Headquarter Company, 17th Aviation Brigades” (영어). 미국 육군 역사관. 2003년 7월 1일. 2012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17th Aviation Brigades” (영어). GlobalSecurity.org.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영어) Error in 웹아카이브 template: 비어있는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