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재조합 기술
생명공학 분야에서 일컫는 단백질 재조합 기술이란 동물이나 식물 또는 미생물에서 만들어지는 인간의 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조작하기 편리한 대장균이나 배양 동물세포에 이식시켜 많은 양의 단백질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정제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1] 대표적인 예로는 인슐린이 있다.
재조합 백신
[편집]이러한 단백질 재조합 기술은 펩타이드 기반(peptide-based)의 백신(vaccine)개발에도 응용된다. 이러한 백신은 합성항원백신(서브유닛백신) 또는 단백질 재조합 백신이라고도 불린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참고](국립수산과학원-단백질 재조합 기술)https://m.nifs.go.kr/bbs?id=qna&flag=pre&boardIdx=550
- (연합뉴스 - "러시아 두번째 코로나 백신 '에피박코로나' 고연령대 3상 완료")https://www.yna.co.kr/view/AKR20210204182700080
- (메디게이트-SK바이오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발현, 동물실험 돌입)http://www.medigatenews.com/news/3163774079
- (뉴스1코리아 - 코로나 종식…핵산백신, 합성항원백신이 앞당긴다)https://www.news1.kr/articles/?3943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