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피에로 보니페르티Giampiero Boniperti
출생 1928년 7월 4일(1928-07-04 ) 이탈리아 왕국 바렌고 사망 2021년 6월 18일(2021-06-18 ) (92세)이탈리아 토리노 성별 남성 국적 이탈리아 직업 축구 선수, 회장, 정치인 활동 기간 1946~1961년 (축구 선수) 1971~1990년 (회장) 1994~1999년 (정치인) 소속 유벤투스 FC 칭호 유벤투스 FC 회장 칭호 기간 1971~1990년 전임자 비토레 카텔라 후임자 비토리오 카이소티 임기 1994년~1999년 축구 경력
포지션 공격수 , 미드필더 (선수 시절) 1945~1946 1946 바렌고 모모 노바레세 연도 구단 출전 (득점 ) 1946~1961 유벤투스 0 0 443 0 (178) 1947~1960 1950 이탈리아 이탈리아 B 0 0 0 38 0 0 (8)0 0 0 1 0 0 0 (2) * 구단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의 공식 리그 경기 기록만 집계함.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이탈리아어 : Giampiero Boniperti , 1928년 7월 4일 ~ 2021년 6월 18일 )는 이탈리아 의 전직 축구 선수 , 스포츠 경영인이었고, 정치인 이었다. 현역 시절 그의 포지션은 공격수 , 미드필더 였다.
1946년부터 1961년까지 유벤투스 소속으로 뛰는 동안 443경기에 출전하면서 178득점을 기록했으며 그가 유벤투스에서 세운 득점 기록은 2006년 1월 10일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선수가 깨뜨릴 때까지 40여년 동안 유벤투스 소속 선수의 최다 득점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현역 은퇴 이후에는 유벤투스의 회장을 지내기도 했으며 2004년 3월 펠레 가 선정한 현존하는 최고의 축구 선수 목록인 FIFA 100 에 선정되었다.
2021년 6월 18일, 토리노 에서 심부전 으로 향년 만 92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UEFA 유로 2020 에 참가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은 6월 20일 웨일스 와 붙는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 보니페르티의 죽음을 애도하는 의미에서 검은 완장을 차고 경기에 나선다.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풋볼 프리마 카테고리아 프리마 디비시오네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세리에 A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세리에 A V. 마촐라 (1947 ) 보니페르티 (1948 ) 녜르시 (1949 ) 노르달 (1950 , 1951 ) 한센 (1952 ) 노르달 (1953 , 1954 , 1955 ) 피바텔리 (1956 ) 다 코스타 (1957 ) 찰스 (1958 ) 안젤릴로 (1959 ) 시보리 (1960 ) 브리겐티 (1961 ) 알타피니 , 밀라니 (1962 ) 만프레디니 , 닐센 (1963 ) 닐센 (1964 ) S. 마촐라 , 오를란도 (1965 ) 비니시우 (1966 ) 리바 (1967 ) 프라티 (1968 ) 리바 (1969 , 1970 ) 보닌세냐 (1971 , 1972 ) 풀리치 , 리베라 , 사볼디 (1973 ) 키날리아 (1974 ) 풀리치 (1975 , 1976 ) 그라치아니 (1977 ) 로시 (1978 ) 조르다노 (1979 ) 베테가 (1980 ) 프루초 (1981 , 1982 ) 플라티니 (1983 , 1984 , 1985 ) 프루초 (1986 ) 비르디스 (1987 ) 마라도나 (1988 ) 세레나 (1989 ) 판 바스턴 (1990 ) 비알리 (1991 ) 판 바스턴 (1992 ) 시뇨리 (1993 , 1994 ) 바티스투타 (1995 ) 프로티 , 시뇨리 (1996 ) 인차기 (1997 ) 비어호프 (1998 ) 아모호주 (1999 ) 셰우첸코 (2000 ) 크레스포 (2001 ) 휘브너 , 트레제게 (2002 ) 비에리 (2003 ) 셰우첸코 (2004 ) 루카렐리 (2005 ) 토니 (2006 ) 토티 (2007 ) 델 피에로 (2008 ) 이브라히모비치 (2009 ) 디 나탈레 (2010 , 2011 ) 이브라히모비치 (2012 ) 카바니 (2013 ) 임모빌레 (2014 ) 이카르디 , 토니 (2015 ) 이과인 (2016 ) 제코 (2017 ) 이카르디 , 임모빌레 (2018 ) 콸리아렐라 (2019 ) 임모빌레 (2020 ) C. 호날두 (2021 ) 임모빌레 (2022 ) 오시멘 (2023 ) 마르티네스 (2024 ) 레테기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