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의 해양 사고
일제강점기에는 매년 크고 작은 해양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음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연해에서 일어난 해양 사고의 목록이다. (사망 또는 행방불명자 10인 이상을 등록 기준으로 한다.)
1920년대
[편집]보도에 의하면, 1923년 한해 모두 1,023척이 조난되었다. 도별로는 경기도가 가장 많고, 월별로는 8월이 가장 많았다. 1923년 1년간 해양 사고로 524명이 사망하였으며, 449명이 행방불명되었다.[1]
발생년도 월 일 | 발생시각 | 선호 선주 | 톤수 선령 | 사고지점 운행구간 | 정원/선원 승선인원 | 구조 사망 / 행방불명 | 사고 원인 | 수사기관 | 특이사항 |
---|---|---|---|---|---|---|---|---|---|
1923년 4월 12일 | 22시 이후 | 어선 110여 척 | 영일만 | 69명 / 355명 | 돌풍 파도 | 항구에 피신 중에 폭풍으로 침몰 | |||
1923년 11월 1일 | 3시 30분경 | 진주환호[2] 조선우선회사 | 177톤 | 명천 쌍포 남쪽 | 약 40명 실종 | 충돌 | 우편선. 10분만에 침몰 | ||
1924년 6월 10일 | 13시경 | 어선 5척[3] | 원산 부근 | 10여 명 실종 | 폭풍 | 원산경찰서 | |||
1926년 12월 6일 | 어선 6척[4] | 목포 부근 | 35명 실종 | 폭풍 파도 | 조선인과 일본인 포함 | ||||
1927년 4월 11일 | 12시 10분 | 제3진해환호[5] 진해기선회사 | 16톤 | 진해 부근 | 약 240명 승선 | 25명 / 7명 추정 | 승무원 실수 | 부산지방법원 | 종선을 분리하다가 전복 |
1927년 4월 20일 | 12시경 | 천진환호[6] | 524톤 | 부산 해운대 부근 | 16명 실종 | 조선인과 일본인 포함 | |||
1927년 5월 1일 | 21시경 | 속조환호[7] | 240톤 | 제주 가파도 부근 | 25명 승선 | 2명 18명 / 5명 | 좌초 | ||
1928년 1월 28일 | 15시경 | 함경환호[8] 조선우선회사 | 제주 대포항 | 50명 승선 | 18명 9명 / 23명 | 과적 바람과 비 | 종선 침몰. 유족들이 위자료 청구[9] | ||
1928년 11월 1일 | 13시경 | 어선 50척[10] | 진남포 덕도 부근 | 300여 명 승선 | 300여 명 실종 | 폭풍우 | 시신 6구 발견 |
- 내륙에서 발생한 선박 사고로 1926년 8월 26일 황해도 옹진군 서면 나룻배 전복 사고(사망·실종 26명)[11], 1926년 8월 27일 평안북도 태천군 나룻배 전복 사고(사망·실종 34명)[12], 1929년 4월 12일 충남 당진군 나룻배 전복 사고(사망·실종 15명)[13] 가 있다.
1930년대
[편집]발생년도 월 일 | 발생시각 | 선호 선주 | 톤수 선령 | 사고지점 운행구간 | 정원/선원 승선인원 | 구조 사망 / 행방불명 | 사고 원인 | 수사기관 | 특이사항 |
---|---|---|---|---|---|---|---|---|---|
1931년 8월 19일 | 19시 이후 | 어선 52척[14] | 전남 무안 부근 | 464명 10명 / 289명[15] | 폭우 | 전국적으로 피해 | |||
1932년 9월 2일 | 1시 이후 | 어선 3척[16] 원산수저망위원회 | 호도 부근 | 12명 승선 | 12명 실종 | 폭풍우 | 어선 | ||
1933년 10월 23일 | 20시경 | 현어환[17] | 해주 형제도 부근 | 2명 2명 / 8명 | 폭풍 | 어선 | |||
1934년 1월 21일 | 14시경 | '미요시'환[18] | 해주 형제도 부근 | 12명 실종 | 폭풍 | ||||
1934년 6월 2일 | 어선 264척[19] | 연평도 부근 | 12명 / 9명 | 폭풍우 | 어부 1,900명 조난 | ||||
1934년 11월 18일 | 오후 | 범선[20] | 다대포 어구 | 54명 승선 | 25명 29명 실종 | 폭풍우 | 부산수상경찰서 | 밀항선 3명 구조 후 도주 | |
1935년 5월 6일 이후 | 이용환[21] | 함남 마양도 부근 | 10명 승선 | 4명 / 6명 | 어선 | ||||
1936년 3월 14일 이전 | 발동기[22] | 영일 구만동 부근 | 12명 승선 | 12명 실종 | 나뭇조각 발견 | ||||
1936년 10월 2일 | 20시 30분경 | 녹도환 인천기선회사 | 28톤 | 인천 팔미도 부근 | 71명 7명 / 64명 | 10명 50명 / 11명 | 풍랑 | 해원심판소 외 | |
1937년 8월 13일 | 화물기선[23] | 함남 서호진 부근 | 20명 승선 | 20명 실종 | 화재 | ||||
1938년 3월 19일 | 18시경 | 해룡환[24] 인천환성 | 45톤 | 서산 황금산 부근 | 30명 승선 | 14명 2명 / 14명 | 안개로 좌초 | 발동기선 | |
1939년 9월 30일 | 17시경 | 어선[25] | 광양 섬진강 입구 | 27명 승선 | 13명 10명 / 4명 | 과적 파도 | 유가족들이 사공을 상대로 고소 |
- 내륙에서 발생한 선박 사고로 1931년 4월 28일의 김포 발동기선 전복 사고(사망·실종 20여 명)[26], 1934년 8월 31일의 대고산(압록강) 대안환호 침몰 사고(사망·실종 148명), 1937년 9월 18일의 압록강 웅비환호 침몰 사고(사망·실종 15명)[27] 가 있다.
1940년대
[편집]1934년의 밀항선 침몰 사고에 이어 1940년에도 100명이 넘게 실종된 밀항선 침몰 사고가 있었다.
발생년도 월 일 | 발생시각 | 선호 선주 | 톤수 선령 | 사고지점 운행구간 | 정원/선원 승선인원 | 구조 사망 / 행방불명 | 사고 원인 | 수사기관 | 특이사항 |
---|---|---|---|---|---|---|---|---|---|
1940년 1월 6일 | 5시 이후 | 지영환[28] | 10톤 | 대마도 부근 | 145명 승선 | 15명 / 130명 | 전복 | 밀항선 선장, 브로커 실종 | |
1940년 3월 14일 | 15시경 | 여항산환[29] | 16톤 | 통영 돈지리 부근 | 43명 59명 | 15명 42명 / 2명 | 과적 파도 | 순항선 |
각주
[편집]- ↑ 昨年中의遭難船, 《동아일보》, 1924.4.27
- ↑ 明川雙浦近海에서 郵船晋州丸沈沒, 《동아일보》, 1923.11.3
- ↑ 元山遠海에大慘事, 《동아일보》, 1924.6.18
- ↑ 木浦에도暴風 卅五名溺死, 《동아일보》, 1926.12.19
- ↑ 鎭海의大慘事 發動機船突然顚覆 乘客八十名遭難, 《동아일보》, 1927.4.13
- ↑ 天眞丸沈沒 十六名溺死, 《동아일보》, 1927.4.23
- ↑ 死者判明廿三 선댱이하이십일명이익사 濟州近海坐礁汽船遭難者, 《동아일보》, 1927.5.7
- ↑ 多數溺死의責任 大部分은朝郵에, 《동아일보》, 1928.2.7
- ↑ 事實證據收集하야 遺族의慰藉料請求, 《동아일보》, 1928.3.20
- ↑ 警備船도徒勞空歸 三百漁父畢竟沒死?, 《동아일보》, 1928.11.5
- ↑ 瓮津溺死者는 全部二十六名, 《동아일보》, 1926.8.30
- ↑ 四十七名中 卅四名慘死, 《동아일보》, 1926.8.31
- ↑ 屍體搜索에 郡警大活動, 《동아일보》, 1929.4.17
- ↑ 判明된溺死者十五名 百八十名去處不明, 《동아일보》, 1931.8.21
- ↑ 四百六十名救助 生死不明二百九十, 《동아일보》, 1931.8.22
- ↑ 十二名乘組員의 救助는絕望?, 《동아일보》, 1933.10.30
- ↑ 海州兄弟島에暴風 漁父十二名失踪, 《동아일보》, 1932.10.4
- ↑ 暴風에發動船沈沒 船員十二名溺死, 《동아일보》, 1934.1.23
- ↑ 續續判明되는延坪島實情과 遭難民應急救濟策, 《동아일보》, 1934.6.6
- ↑ 密航船이暴風에顚覆 五十四名이全沒, 《동아일보》, 1934.11.20
- ↑ 鰯漁船轉覆으로 漁父十名溺死, 《동아일보》, 1935.5.20
- ↑ 暴風東海掩襲 發動船一隻浸沒 十二名生死不明, 《동아일보》, 1936.3.17
- ↑ 航海中汽船서 揮發油爆發 二十名死傷, 《동아일보》, 1937.8.18
- ↑ 發動船海龍丸沈沒 乘員三十名溺死, 《동아일보》, 1938.3.21
- ↑ 廿七名中十四名沒死 被害家族情况凄慘, 《동아일보》, 1939.10.8
- ↑ 漢江에서發動船顚覆 乘客六十名慘沒, 《동아일보》, 1931.4.30
- ↑ 二十九名은救助!判明된溺死者十五名, 《동아일보》, 1937.9.21
- ↑ 密航船,之榮丸沈沒 一百三十名溺死, 《동아일보》, 1940.1.8
- ↑ 屍體42個를發見 十五船客이겨우救命, 《동아일보》, 19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