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평택고속도로
고속국도 | |
---|---|
17 ![]() | |
익산평택고속도로 | |
고속국도 제17호선의 일부 | |
총연장 | 132.0 km |
개통년 | 2024년 12월 1일(안중 나들목~부여구룡 나들목)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
주요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
종점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
주요 교차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호남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당진청주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지방도 제619호선 |
익산평택고속도로(益山平澤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7호선의 일부)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을 기점으로,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을 종점으로 하여 공사중인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개요
[편집]고속도로 보급률이 낮은 충청내륙지역 및 호남권의 고속도로 신설 건설로 지역균형발전의 가속화와 서해안고속도로 및 경부고속도로의 상습정체구간 통행여건의 개선이 기대를 목적으로 건설되는 고속도로이다. 평택 ~ 부여 구간이 2020년에 우선 착공되며, 부여 ~ 익산 구간은 향후 2029년에 착공될 예정이다.
역사
[편집]- 2017년 2월 27일 : 실시협약 체결
- 2018년 1월 12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익산 ~ 평택선)로 지정[1]
- 2019년 12월 6일 : 평택 ~ 부여 ~ 익산(서부내륙)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137.7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3]
- 2024년 12월 10일: 평택~부여 구간 개통[4]
나들목 · 분기점
[편집]-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번호 | 이름 | 로마자 이름 | 구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세종평택로와 직결 | ||||||||
17 | 안중 | Anjung | - | 0.00 | 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 경기도 | 평택시 | |
TG | 안중 요금소 | Anjung TG | ||||||
14 | 현덕 분기점 | Hyeondeok JC | 173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 |||||
13 SA | 평택호 평택호휴게소 | Pyeongtaekho Pyeongtaekho SA | 평택호2길 | 양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 ||||
12 | 영인 | Yeongin | 국도 제39호선 (아산로) | 충청남도 | 아산시 | |||
11 | 아산 분기점 | Asan JC | 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 | |||||
9 | 예산추사고택 | Yesan-Chusagotaek(Sinam) | 국도 제32호선 (예당평야로) | 예산군 | ||||
8 | 예산 분기점 | Yesan JC | 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 |||||
7 SA | 예산예당호 예산 예당호 휴게소 | Yesan Yedangho Yesan Yedangho SA | 지방도 제619호선 (예당로) | 양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 ||||
6 | 청양 | Cheongyang | 구봉로 | 청양군 | ||||
5 | 부여 분기점 | Buyeo JC | 151호선 서천공주고속도로 | 부여군 | ||||
4 | 부여구룡 | Buyeoguryong | 국도 제4호선 (대백제로) | |||||
공사중 |
주요 통과지
[편집]- 부여군 (임천면 · 충화면 · 장암면 · 남면 · 규암면 · 구룡면 · 은산면) - 청양군 (남양면 · 청양읍 · 비봉면) - 홍성군 장곡면 - 예산군 (광시면 · 대흥면 · 응봉면 · 오가면 · 신암면) - 아산시 (선장면 · 도고면 · 신창면 · 인주면 · 영인면)
구성
[편집]- 차로 수
- 총 연장
- 제한속도
- 안중IC/포승JC(지선)~아산JC 최고 100 km/h, 최저 50 km/h
- 아산JC~부여구룡IC 최고 110 km/h, 최저 50 km/h
터널
[편집]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팔봉산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운곡리 | 239m | 2024년 | 평택 방면 |
209m | 부여 방면 | |||
대흥2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 | 475m | 2024년 | 평택 방면 |
470m | 부여 방면 | |||
봉수산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동산리 | 4,286m | 2024년 | 평택 방면 |
4,274m | 부여 방면 | |||
비봉터널 | 충청남도 청양군 비봉면 용천리 | 369m | 2024년 | |
남양2터널 |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온직리 | 344m | 2024년 | |
남양1터널 |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온직리 | 630m | 2024년 | 평택 방면 |
640m | 부여 방면 | |||
은산3터널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 | 494m | 2024년 | |
은산2터널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 | 334m | 2024년 | |
은산1터널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경둔리 | 680m | 2024년 | 평택 방면 |
695m | 부여 방면 |
교량
[편집]- 평택호2대교
- 공세교
- 월선2교
- 도수천교
- 월선1교
- 삼원들천교
- 불당천교
- 부엉박천교
- 장구목천교
- 도흥2천교
- 곡교천1교
- 선창1교
- 학성천교
- 군덕1교
- 신엄천교
- 도고천교
- 대정교
- 무한천2교
- 두곡교
- 용궁교
- 오촌교
- 신석2교
- 신석1교
- 월곡3교
- 월곡2교
- 둔터골천교
- 평촌2천교
- 승지물천교
- 마사천교
- 구례천교
- 노전천교
- 천태교
- 무한천1교
- 양사1교
- 용천교
- 장승1교
- 군량천교
- 금정1교
- 구룡천교
- 매암천교
- 온직천교
- 온직1교
- 대양1교
- 경둔교
- 수목3교
- 수목2교
- 수목1교
- 수목천1교
- 수목육교
- 구봉3교
- 구봉4교
구간 단속
[편집]- 봉수산터널 ~ 예산추사고택 나들목의 통과전 (평택방향) 18.8 km, 제한속도 100 km/h (2024년 12월 10일 시행)
- 오가졸음쉼터의 통과후 ~ 구례천교 (부여방향) 13.8 km, 제한속도 100 km/h (2024년 12월 10일 시행)
같이 보기
[편집]사진
[편집]각주
[편집]-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8호, 2018년 1월 12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708호, 2019년 12월 6일.
- ↑ 2일 평택~부여~익산(서부내륙) 고속도로 실시계획 승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9년 12월 3일 작성.
- ↑ 국토교통부공고 제2024-1650호, 2024년 12월 10일.
외부 링크
[편집]- 서부내륙고속도로주식회사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