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프 (대한민국의 잡지)
![]() | |
---|---|
국가 | ![]() |
언어 | 한국어 |
웹사이트 | 문화미래 이프 이프 블로그 |
《이프》는 대한민국의 잡지이다. 성인지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등장한 언론이다. 1990년대에 '여성학'을 보다 대중친화적으로 풀어내면서 주목을 받았다.
개요
[편집]1997년 창간된 이프는 대한민국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담아내기 위해 등장한 언론이다. 이프는 성 차별을 바로잡는 일에 참여하였고, 대한민국 최초의 여신학 박사 학위 취득자인 김신명숙은 《이프》의 편집인으로서 활동한 바 있다.[1][2][3][4]
역사
[편집]이프는 학자, 저널리스트, 영화평론가, 여성운동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여성들이 의기를 투합해 1997년 5월에 창간했다. 이프(IF)는 Infinite Feminist, I'm a Feminist의 약어이다. 2006년 오프라인 《이프》가 완간호를 내면서 종간된 후 2007년 웹진 《이프》가 탄생했다.[5] 2006년 6월 9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 《문화미래 이프》를 설립하였다.
2015년 10월 2일 웹사이트를 새롭게 단장하면서 과거 발행되었던 1997년 창간호부터 2006년 36호 완간호까지 PDF 형태로 선보였고 독자들이 무료로 자료를 읽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이프 창립자 유숙열 공동대표, 초대 편집장 박미라 심신통합치유학 박사, 변상욱 CBS 대기자, 조박선영 작가(이프 전 온라인팀장) 등이 고정으로 참여해 《이프》 창간 관련 이야기와 최근의 이슈를 다양하게 다루는 팟캐스트 《웃자!뒤집자!놀자!》를 시작하여 외연 확대를 꾀하였다.[6][7][8]
특징
[편집]이프의 기본 개념을 '여성의 욕망을 아는 잡지'로 잡았고 여성의 진정한 욕망을 알기 위한 방법으로 '웃자! 뒤집자! 놀자!'라는 세 가지 스피릿을 창안했다.
편집 방향
[편집]- 기존의 여성잡지처럼 여성을 소비의 주체만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 여성운동단체나 대학에서 나오는 여성학 서적처럼 전문적인 언어로 여성을 소외시키지 않는다.
- 여성이 현실 속에서 부딪히는 문제와 의제를 유쾌한 방법으로 전달한다.
-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도모한다.
- 글쓴이의 주관이 드러나는 여성적인 글쓰기를 추구한다.
- 기존의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기회를 갖기 어려운 여성 필자들을 발굴하여 그들의 눈과 귀와 입을 통해 새로운 여성 역사를 기록한다.
- 우리 삶을 분열시키는 모든 형태의 경계선을 허물고자 한다.
- 대중 문화와 고급 문화를 분리하지 않는다.
- 정치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나누지 않는다.
- 개인과 사회를 분리하지 않는다.
- 남성과 여성의 분리를 원하지 않는다.
- 분리와 구분으로 인해 차별받고 소외된 모든 원칙들에 딴지를 건다.
관련 기사
[편집]- 한국 페미니즘 어떻게 달라졌나
- 기획취재/ if… 만약 그들이 없었다면? ①왜 ‘마초와의 전쟁’을 선포했나. FACTOLL. 2015년 10월 28일.
- 기획취재/ if… 만약 그들이 없었다면? ②이프에서 메갈리아까지. FACTOLL. 2015년 10월 28일.
- 기획취재/ if… 만약 그들이 없었다면? ③시작은 미미했지만 '울림'은 컸다. FACTOLL. 기사입력 2015년 10월 28일. 기사수정 2015년 10월 29일.
- 기획취재/ if… 만약 그들이 없었다면? ④그들이 돌아온 이유 "사랑한다". FACTOLL. 기사입력 2015년 10월 28일. 기사수정 2015년 10월 29일.
- 김서영. "박수 못 받아도 여성들 목소리 대변". 경향신문. 기사입력 2015년 10월 14일. 기사수정 2015년 10월 15일.
- 김서영. "여자들이 다시 웃고 뒤집고 놀 수 있었으면". 경향신문. 2015년 10월 15일.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김신명숙. 상처의 시대가 여신을 부른다. 여성신문. 2013년 6월 12일.
- ↑ 이은경. 김신명숙, “여성운동에도 ‘힐링’이 필요합니다”. 여성신문. 2013년 9월 2일.
- ↑ 국종환. '2014 세계 성평등 지수'. 뉴스1. 2014년 10월 28일.
- ↑ 윤상준. 한국 성평등 117위로 세계 최하위권...WEF발표 보관됨 2015-04-02 - 웨이백 머신. 글로벌이코노믹. 기사입력 2014년 10월 29일. 최종수정 2015년 2월 26일.
- ↑ 김두식. ‘외로워서, 전향을 할까도 생각했었어’. 한겨레신문. 2012년 3월 30일.
- ↑ 이하나.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 팟캐스트로 부활. 여성신문. 2015년 10월 1일.
- ↑ 이유진.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 부활…온라인서 PDF판 무료 배포. 한겨레. 2015년 10월 2일.
- ↑ 이하나. ‘팟캐스트 페미니즘’ 2030 사로잡을까. 여성신문. 2015년 10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