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미 (식물학자)
이유미 | |
---|---|
출생 | 1962년 2월 28일 |
성별 | 여성 |
직업 | 식물분류학자 |
학문적 배경 | |
학력 | 서울대학교 임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박사 |
이유미(李惟美, 1962년 2월 28일[1]~ )는 대한민국의 식물분류학자이다. 1999년 국립수목원이 개원되는 데 기틀을 마련하였다. 2014년 제9대 국립수목원장에 취임하면서 산림청이 1967년 개청한 뒤 47년 만의 첫 여성 고위공무원이 되었다.[2] 국립수목원 초기의 연구직 공무원이 원장이 된 첫 사례이다.[3]
약력
[편집]1985년 2월에 서울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1987년에 동 대학원 임학과 석사를 1992년에 동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박사를 졸업했다.[1]
1994년 산림청 임업연구원 수목원과에서 임업연구사로 공직을 시작했다.[3] 2014년 4월에 제9대 국립수목원장,[1] 개방형 공모를 통해 2017년 9월에 제10대 국립수목원장에 올랐다.[4] 2020년 세종시에 새로 개원하는 세종국립수목원의 원장으로 부임하였다.
저서
[편집]-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 가지》(1995, 현암사) (2005 증보판, 2015 개정증보판) : 식물학 도서로는 이례적으로 19쇄를 찍은 스테디셀러이다. 이유미가 “글을 쓰기 이전엔 나무와 머리로 만났다면, 글을 쓰면서는 마음으로 만났어요. 100가지 나무 하나하나와 사연을 공유하고 감정을 이입했습니다. 식물학자들은 일생에 참 많은 식물을 만나지만 그렇게 고민하는 시간은 좀처럼 갖지 못합니다. <우리 나무 백 가지>는 제 인생을 바꾼 책입니다.”라고 말했다. 이 책을 읽고 숲해설가 혹은 식물학자가 되기로 한 이도 많다. 출판계에서도 《우리 나무 백 가지》 이후 대중을 위한 식물학 도서들이 잇달아 출간되는 등 세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 책이다.[5]
- 《한국의 야생화》(2003, 다른세상)
-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2004, 지오북)
- 《내 마음의 야생화 여행》(2011, 진선북스)
- 《내 마음의 나무 여행》(2012, 진선북스)
각주
[편집]- ↑ 가 나 다 “기관장 소개”. 《산림청》.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김양수 (2014년 4월 20일). “국립수목원장에 이유미 연구관…산림청 첫 여성 고위공무원”. 《연합뉴스》. 2021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최상희 (2014년 4월 24일). “이유미 국립수목원장 취임”. 《농수축산식문》.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윤슬기 (2017년 9월 19일). “이유미 국립수목원장, 제10대 원장에 재임”. 《한국조경신문》.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백승찬 (2015년 11월 12일). “이유미 국립수목원장 “삶에 나무 들여놓으면 위로와 휴식 ””. 《경향신문》.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