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재 (경제평론가)
이원재 | |
---|---|
국적 | 대한민국 |
경력 | 싱크탱크 <여시재> 기획이사, 희망제작소 소장, 한겨레경제연구소장,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직업 | 경제평론가 |
활동 기간 | 2018년 ~ 현재 |
소속 | 다음세대 정책실험실 <LAB2050> 대표 |
이원재는 대한민국의 경제평론가이다. 2018년 다음세대 정책실험실 <LAB2050>을 설립하고 대표를 맡았다. 싱크탱크 <여시재> 기획이사, 희망제작소 소장, 한겨레경제연구소장,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등을 지냈다.[1][2]
이력
[편집]그는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한겨레신문 경제부 기자를 지냈다. 이후 미국 MIT에서 MBA 과정을 밟았고 귀국 후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거쳐 한겨레경제연구소의 소장으로서 5년 반 정도 활동하였다.[3][4] 2014년부터 시민단체 희망제작소 부소장으로 일하다가 2015년 1월 희망제작소 소장이 되었다.[5] 2016년에는 싱크탱크 여시재에 합류해 기획이사를 맡았고, 2018년에는 새로운 싱크탱크 LAB2050을 설립하고 대표를 맡았다. 경제 관련 강연을 하고 토론회에도 참여하였다.[6][7] 신문에 경제 칼럼을 기고하였으며 MBC, 연합뉴스TV 등에 출연하여 경제 상황에 대해 평론을 하였다.[8][9][10]
《한국경제 하이에나를 죽여라》, 《이원재의 5분 경영학》, 《이상한 나라의 경제학》등을 쓴 저술가이기도 하다. 2005년에 출판한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요약 보고되고 해당 보고서가 대통령 지시로 청와대 홈페이지에 공개되었다.[11] 또 2013년 10월에 실시된 경향신문의 '뉴 파워라이터 20' 기획에서 '뉴 파워라이터 20인'에 선정되기도 하였다.[12][13] CEPR(Center for Economic Policy and Reaserch)에서 일한 경험도 있다.
2013년부터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오감경제/경제칼럼〉 코너를 진행하였다.[14] 언론인 김종배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이슈 털어주는 남자', '시사통 김종배입니다'에 출연한 바 있고, 김종배가2016년부터 TBS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를 진행하게 되자 '10분 경제' 코너에 참여하였다.[15][16] 또한 'KBS 공감토론'에 패널로 참여해 매주 목요일 토론을 벌였다.[17]
학력
[편집]-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슬론경영대학원 MBA
경력
[편집]저서
[편집]-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원앤원북스. 2005년. ISBN 8990966426
- 《한국경제 하이에나를 죽여라》. 더난출판사. 2007년. ISBN 9788984054257
- 《이원재의 5분 경영학》. 한겨레출판사. 2009년. ISBN 9788984313606
- 《이상한 나라의 경제학》. 어크로스. 2012년. ISBN 9788997379019
- 《이상한 나라의 정치학》. 한겨레출판사. 2013년. ISBN 9788984316928
- 《아버지의 나라 아들의 나라》. 어크로스. 2016년. ISBN 9788997379804
각주
[편집]- ↑ 정용인. 민간 싱크탱크 ‘여시재’ 한국의 브루킹스?. 주간경향. 2016년 8월 31일.
- ↑ 오두환. 여시재(與時齋) 실체와 50대 잠룡들. 일요서울. 2017년 2월 3일.
- ↑ 安캠프 “與, 경제민주화 지금하지 왜 대통령되면 한다고 하나”. 노컷뉴스. 2012년 9월 28일.
- ↑ 이정환. "답이 안 나온다고? 30년 뒤를 먼저 보자". 미디어오늘. 2013년 11월 12일.
- ↑ 설승은. 희망제작소 이원재 신임소장 "유연한 사회 만들어야". 연합뉴스. 2015년 1월 11일.
- ↑ 안석현. "윤리소비, 공유경제로 자본주의 난제 해결". 조선비즈. 2013년 8월 2일.
- ↑ 윤진호. `싼것보다 가치있는 제품 구매` 정부 조달방식 바꿔야. 매일경제. 2013년 6월 26일.
- ↑ 우리 아이는 얼마의 가치를 갖는가. 한겨레신문. 기사입력 2013년 11월 12일. 최종수정 2013년 11월 13일.
- ↑ 노경진. 경제민주화 정책방향은?‥현실 고려한 '개혁' . MBC. 2012년12월 21일.
- ↑ '버냉키 쇼크'...한국경제 영향은?. 뉴스와이. 2013년 6월 22일.
- ↑ 이구순.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의 근거 있다"...대통령 보고서. 아이뉴스24. 기사입력 2005년 4월 12일. 최종수정 2005년 4월 12일.
- ↑ 백승찬. (뉴 파워라이터)(1) 문화학자 엄기호. 경향신문. 2013년 10월 11일.
- ↑ 한윤형. 삼성이 ‘표준’인 대한민국의 초상. 미디어스. 2013년 10월 14일.
- ↑ 이민지. 손석희 떠난 ‘시선집중’ 성적표 어떨까. 뉴스엔. 2013년 8월 7일.
- ↑ 윤찬웅. "경제민주화 진심이라면 왜 지금 합의 못 하나?". 오마이뉴스. 2012년 10월 8일.
- ↑ "줄어드는 파이를 쪼개면? 남는 건 아귀다툼". 프레시안. 2015년 9월 4일.
- ↑ “KBS 공감토론 패널”.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6일에 확인함.
- ↑ 전예현. 안캠프, 금태섭 상황실장·이원재 정책기획팀장. 내일신문. 2012년 9월 21일.
참고 자료
[편집]- 여시재 보관됨 2017-02-12 - 웨이백 머신
- LAB2050
- 미래에서 온 도자기 파편, 기본소득ㅣ홍기빈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소장. LAB2050. 2019년 4월 10일.
- (김준일의 핫6)“기본소득 주장 아니고 수학” 국민기본소득제 제안한 LAB2050 이원재 대표. 국민TV. 2019년 11월 14일.
- (김경래의 최강시사) "증세 없이, 전 국민에게 기본소득 월 30만원씩 지급 방안 있다니까요!"- 이원재 대표(랩2050). KBS. 2020년 6월 10일.
외부 링크
[편집]전임 (초대) | 제1대 시대전환 공동대표 2020년 2월 23일 ~ 2020년 3월 29일 | 후임 (비상대책위원장)홍석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