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남디 아지키웨
은남디 아지키웨 Nnamdi Azikiwe | |
---|---|
![]() 은남디 아지키웨(1963년) | |
나이지리아의 제1대 대통령 | |
임기 | 1963년 10월 1일~1966년 1월 16일 |
총리 | 아부바카르 타파와 발레와 |
후임: 존슨 아그이이론시(제2대) |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04년 11월 16일 |
출생지 | 북부 나이지리아 보호국 나이저주 중게루 |
사망일 | 1996년 5월 11일 | (91세)
사망지 | 나이지리아 에누구주 에누구 |
국적 | ![]() |
학력 | 컬럼비아 대학교 하워드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정당 | 나이지리아 인민당 |
배우자 | 플로라 아지키웨(1936년~1983년) 우체 아지키웨[1] 우고예 컴포트 아나체[2] |
자녀 | 7명 |
종교 | 기독교 |
은남디 벤저민 아지키웨(영어: Nnamdi Benjamin Azikiwe, 1904년 11월 16일~1996년 5월 11일)는 1963년부터 1966년까지 나이지리아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나이지리아의 정치인이다.[3] 독립의 원동력으로 여겨지는 그는 "나이지리아 민족주의의 아버지"로 알려지게 되었다.[4][5]
현재의 나이저주의 중게루에서 동부 나이지리아 아남브라주의 이보족 부모에게서 태어난 그는 어린 소년 시절에 하우사어를 배웠다(북부의 주요 토착어).[6] 아지키웨는 나중에 이모와 할머니와 함께 오니차(부모의 조국)에서 살도록 보내졌고, 그곳에서 그는 이보어를 배웠다.[7] 라고스에 머물면서 그는 요루바어를 접하게 되었고, 대학에 다닐 때 그는 다른 나이지리아 문화를 접하게 되었고, 3개의 언어를 구사하게 되었다.[8]
아지키웨는 벤 아지키웨(영어: Ben Azikiwe)라는 이름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스토어 칼리지, 컬럼비아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하워드 대학교를 다녔다. 그는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나이지리아를 대표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식민지 당국과 접촉했다.[9] 그는 1934년 아프리카로 돌아와 골드코스트에서 언론인으로 일하기 시작했다.[10] 영국령 서아프리카에서 그는 언론인과 정치 지도자로서 나이지리아와 아프리카 민족주의를 주창했다.[11][12]
정치 경력
[편집]아지키웨는 나이지리아 최초의 민족주의 단체인 나이지리아 청년 운동(NYM)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941년 그는 새뮤얼 아키사냐를 NYM의 입법회 공석 후보자로 지지했지만, NYM 집행위원회는 어니스트 이콜리를 선출했다.[13]
아지키웨는 다수의 요루바 지도부가 이제부-요루바 조직원과 이보족을 차별한다고 비난하며 NYM에서 사임했다. 일부 이제부 당원들이 그를 따라다니며 민족적 노선을 따라 운동을 분열시켰다.[14] 그는 1944년 허버트 매컬리와 함께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국가 평의회(NCNC)를 공동 설립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아지키웨는 1946년에 평의회 사무총장이 되었다.[15]
대통령직 및 만년
[편집]아지키웨는 1960년 11월 16일, 총독이 되었고, 아부바카르 타파와 발레와가 총리를 맡았고, 영국 추밀원에 임명된 첫 나이지리아인이 되었다.[16] 1963년 나이지리아가 공화국이 되었을 때, 그는 나이지리아 최초의 대통령이었다. 두 직책 모두에서 아지키웨의 역할은 대부분 의례적이었다.[17]
그와 그의 민간 동료들은 1966년 나이지리아 쿠데타로 공직에서 해임되었고, 그는 쿠데타 이후 암살을 피한 가장 저명한 정치인이었다. 아지키웨는 비아프라의 대변인으로 1967년부터 1970년까지 비아프라 전쟁 기간 동안 비아프라의 지도자 추쿠에메카 오두메구 오주쿠에게 조언했다.[18] 그는 전쟁 기간 동안 나이지리아로 그의 충성을 돌려주었고, 팜플렛과 인터뷰를 통해 오죽우에게 전쟁을 끝낼 것을 호소했다. 《뉴욕 타임스》는 그의 정치에 대해 "아지키웨 박사는 평생 동안 북부인들과의 동맹으로 인해 미국의 또 다른 중요한 남부 단체인 요루바의 사회주의 성향의 지도자 오바페미 아울로오와 갈등을 빚었다"고 전했다.[19]
전쟁이 끝난 후 1972년부터 1976년까지 라고스 대학교의 총장을 지냈다. 1978년 나이지리아 인민당에 입당하여 1979년과 198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3년 나이지리아 쿠데타 이후 그는 무의식적으로 정계를 떠났다.
사망
[편집]아지키웨는 1996년 5월 11일, 에누구에 있는 나이지리아 대학 병원에서 오랜 병 끝에 9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고향인 오니차에 묻혔다.[20]
각주
[편집]- ↑ Nuhu Musa, Jamila. “Flora Azikiwe: Nigeria' maiden First Lady at a glance”. 《Peoples Daily》. 2015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15일에 확인함.
- ↑ Adebanwi, Wale (January 2021). “Burying "Zik of Africa": The Politics of Death and Cultural Crisis”.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영어) 63 (1): 41–71. doi:10.1017/S0010417520000377. ISSN 0010-4175.
- ↑ “Dr. Azikiwe To Be First President”. 《The Times》 (London, England). 1963년 9월 17일. 8면 – The Times Digital Archive 경유.
- ↑ “On this day in 1904 Dr. Benjamin Nnamdi Azikiwe, was born in Zungeru, Niger State, North-Central Nigeria”. 《Jay FM》 (미국 영어). 2017년 11월 16일. 2020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Crowcroft, Barnaby (2020), Kumarasingham, H., 편집., “The Radical Nationalist as Constitutional Head of State: Nigeria, 1960–66”, 《Viceregalism: The Crown as Head of State in Political Crises in the Postwar Commonwealth》, Cambridge Imperial and Post-Colonial Studies Series (영어)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79–202쪽, doi:10.1007/978-3-030-46283-3_7, ISBN 978-3-030-46283-3, S2CID 226564363
- ↑ Omotola, Balogun (2017년 12월 11일). “BIOGRAPHY OF DR. BENJAMIN NNAMDI AZIKIWE.”. 《Diamond Boat Consult》 (영어).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Meet the First Black Man to Rule Nigeria after Queen Elizabeth, He was of Igbo Origin | opera news”. 《opera.news》. 2020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Nnamdi Azikiwe”. 《The Times》 (London, England). 1996년 5월 14일. 19면 – The Times Digital Archive 경유.
- ↑ Flint, John E. (1999). “'Managing nationalism': The colonial office and Nnamdi Azikiwe, 1932–43”. 《The Journal of Imperial and Commonwealth History》 27 (2): 143–158. doi:10.1080/03086539908583061.
- ↑ “Nnamdi Azikiwe | president of Nigeria | Britannica”. 《www.britannica.com》 (영어). 2022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35.
- ↑ “Azikiwe fights for Africa”. 《New York Amsterdam News》. 1950년 1월 7일 – ProQuest 경유.
- ↑ Sklar, Richard L. (2004). 《Nigerian Political Parties: Power in an Emergent African Nation》. Africa World Press. 53–54쪽. ISBN 978-1-59221-209-5.
- ↑ Sklar, Richard L. (2004). 《Nigerian Political Parties: Power in an Emergent African Nation》. Africa World Press. 53–54쪽. ISBN 978-1-59221-209-5.
- ↑ Sklar, Richard L. (2004). 《Nigerian Political Parties: Power in an Emergent African Nation》. Africa World Press. 57–58쪽. ISBN 978-1-59221-209-5.
- ↑ 《Nigeria Year Book 1962》. Daily Times. 1962. 112쪽.
- ↑ Nigeria's Forgotten Heroes: Nnamdi Azikiwe – "Father of the Nation" (Part 2).
- ↑ Omotola, Balogun (2017년 12월 11일). “BIOGRAPHY OF DR. BENJAMIN NNAMDI AZIKIWE.”. 《Diamond Boat Consult》 (영어). 2020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French, Howard W. (1996년 5월 14일). “Nnamdi Azikiwe, the First President of Nigeria, Dies at 91”. 《The New York Times》. 2018년 11월 8일에 확인함.
- ↑ “Victor Umeh weeps at Zik's Grave”. 《The Sun》. 30 October 2014. 5 Januar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제1대 나이지리아의 대통령 1963년~1966년 | 후임 존슨 아그이이론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