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앞엉덩뼈가시
위앞엉덩뼈가시 | |
---|---|
![]() 폐쇄막, 위앞엉덩뼈가시는 그림의 오른쪽 위에 표시되어 있다. | |
![]() 오른쪽의 아래에서 두 번째에 위앞엉덩뼈가시가 표시되어 있다. | |
정보 | |
상위 구조 | 엉덩뼈 |
식별자 | |
라틴어 | spina iliaca anterior superior |
영어 |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
TA98 | A02.5.01.111 |
TA2 | 1327 |
FMA | 49465 |
위앞엉덩뼈가시(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또는 상전장골극(上前腸骨棘)은 엉덩뼈에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구조로, 표면해부학에서 중요한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엉덩뼈능선의 앞쪽 끝에 위치하며, 고샅인대와 넙다리빗근이 위앞엉덩뼈가시에 붙는다.[1] 넙다리근막긴장근도 위앞엉덩뼈가시의 가쪽 측면(엉덩뼈결절에서는 5cm가량 떨어진 지점)에 붙는다.[2][3]
구조
[편집]위앞엉덩뼈능선은 골반에서 엉덩뼈능선의 앞쪽 끝을 일컫는다. 표면해부학에서 핵심적인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촉진하기도 쉽다. 마른 사람의 표면에서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살찐 사람에서는 비교적 어렵다. 이때 앉은 자세에서는 위앞엉덩뼈가시에 붙은 근육이 이완되며 촉진이 쉬워진다.[4] 고샅인대와 넙다리빗근,[1][5] 넙다리근막긴장근이 위앞엉덩뼈가시에 붙는다.[2][3]
갈비밑신경,[6] 넙다리동맥 (위앞엉덩뼈가시와 두덩뼈결합 사이를 지나감),[5] 엉덩아랫배신경[7] 등 여러 구조물이 위앞엉덩뼈가시 근처에 위치한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위앞엉덩뼈가시는 맥버니점, 넬라톤선, 실제 다리 길이 등의 다른 임상적 랜드마크를 확인하기 위한 단서가 된다. 탈장의 치료와 같은 다양한 수술적 접근 시에도 중요한 표면의 랜드마크가 된다.[8] 엉덩아랫배신경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신경의 손상 부위가 위앞엉덩뼈가시보다 위쪽인지 아래쪽인지를 알아낼 수도 있다.[7]
위앞엉덩뼈가시 근처의 엉덩뼈능선에서 뼈를 얻어 몸의 다른 부위에 이식할 수 있다.[6] 갈비밑신경은 위앞엉덩뼈가시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이식 시 손상될 위험이 있다.[6]
엉덩정강띠 증후군이 있을 때, 엉덩정강띠가 위앞엉덩뼈가시 위쪽으로 지나가는 지점에서 자극될 수 있다.[3]
추가 이미지
[편집]- 오른쪽 골반뼈 바깥면
- 오른쪽 골반뼈 속면
- 피부 아래쪽의 샅굴구멍
- 위앞엉덩뼈가시는 그림의 왼쪽 상단에 있으며, 다양한 근육이 위앞엉덩뼈가시에서 시작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Chaitow, Leon; DeLany, Judith (2011년 1월 1일), Chaitow, Leon; DeLany, Judith, 편집., “Chapter 12 - The hip”,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muscular Techniques, Volume 2 (Second Edition)》 (영어) (Oxford: Churchill Livingstone), 391–445쪽, doi:10.1016/b978-0-443-06815-7.00012-7, ISBN 978-0-443-06815-7,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Garten, Hans (2013), “M. tensor fasciae latae”, 《The Muscle Test Handbook》 (Elsevier), 236–237쪽, doi:10.1016/b978-0-7020-3739-9.00091-2, ISBN 978-0-7020-3739-9,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haitow, Leon; DeLany, Judith (2011년 1월 1일), Chaitow, Leon; DeLany, Judith, 편집., “Chapter 11 - The pelvis”,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muscular Techniques, Volume 2 (Second Edition)》 (영어) (Oxford: Churchill Livingstone), 299–389쪽, doi:10.1016/b978-0-443-06815-7.00011-5, ISBN 978-0-443-06815-7,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대한해부학회 (2017년 1월 25일). 《국소해부학》 3판. 도서출판 고려의학. 400쪽. ISBN 978-89-7043-868-9.
- ↑ 가 나 Jacob, S. (2008년 1월 1일), Jacob, S., 편집., “Chapter 6 - Lower limb”, 《Human Anatomy》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135–179쪽, doi:10.1016/b978-0-443-10373-5.50009-9, ISBN 978-0-443-10373-5,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Rea, Paul (2015년 1월 1일), Rea, Paul, 편집., “Chapter 3 - Lower Limb Nerve Supply”,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Limbs》 (영어) (Academic Press), 101–177쪽, doi:10.1016/b978-0-12-803062-2.00003-6, ISBN 978-0-12-803062-2,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Mirjalili, S. Ali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45 - Anatomy of the Lumbar Plexu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609–617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47-0, ISBN 978-0-12-410390-0,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Molloy, Robert E. (2005년 1월 1일), Benzon, Honorio T.; Raja, Srinivasa N.; Molloy, Robert E.; Liu, Spencer S., 편집., “Chapter 75 - Truncal Blocks: Intercostal, Paravertebral, Interpleural, Suprascapular, Ilioinguinal, and Iliohypogastric Nerve Blocks”, 《Essentials of Pain Medicine and Regional Anesthesia (Second Edition)》 (영어)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636–644쪽, doi:10.1016/b978-0-443-06651-1.50079-4, ISBN 978-0-443-06651-1, 202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위앞엉덩뼈가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Anatomy diagram: 03281.000-3”. 《Roche Lexicon - illustrated navigator》. Elsevier. 2012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Diagram at Wayne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