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의 행정 구역

울주군의 행정 구역은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주군의 면적은 756.05km2이며,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80,442세대, 215,659명이다.[1]

행정 구역

[편집]
행정구역 한자 면적 세대 인구 행정 지도
온산읍 溫山邑 38.42 10,774 28,223
언양읍 彦陽邑 68.78 10,530 27,654
온양읍 溫陽邑 63.94 9,467 25,511
범서읍 凡西邑 77.16 20,920 66,020
삼남읍 三南邑 31.02 6,870 16,726
청량읍 靑良邑 59.91 5,653 14,321
서생면 西生面 36.84 4,019 9,043
웅촌면 熊村面 51.95 3,797 9,496
두동면 斗東面 63.49 1,875 3,977
두서면 斗西面 78.85 1,714 3,564
상북면 上北面 123.33 3,832 9,042
삼동면 三同面 62.35 991 2,082
울주군 蔚州郡 756.05 80,442 215,659

법정리

[편집]
읍·면 법정리
범서읍 구영리(九英里), 굴화리(屈火里), 두산리(斗山里), 망성리(望星里), 사연리(泗淵里), 서사리(西沙里), 입암리(立岩里), 중리(中里), 척과리(尺果里), 천상리(川上里)
언양읍 구수리(九秀里), 남부리(南部里), 다개리(茶開里), 대곡리(大谷里), 동부리(東部里), 반곡리(盤谷里), 반송리(盤松里), 반연리(盤淵里), 반천리(盤泉里), 서부리(西部里), 송대리(松臺里), 어음리(於音里), 직동리(直洞里), 태기리(台機里), 평리(平里)
온산읍 강양리(江陽里), 당월리(唐月里), 대정리(大亭里), 덕신리(德新里), 방도리(方島里), 산암리(山岩里), 삼평리(三平里), 우봉리(牛峰里), 원산리(元山里), 이진리(梨津里), 처용리(處容里), 학남리(學南里), 화산리(華山里)
온양읍 고산리(高山里), 남창리(南倉里), 내광리(內光里), 대안리(大安里), 동상리(東上里), 망양리(望陽里), 발리(鉢里), 삼광리(三光里), 외광리(外光里), 운화리(雲化里)
청량읍 개곡리(開谷里), 덕하리(德下里), 동천리(東川里), 문죽리(文竹里), 삼정리(三亭里), 상남리(上南里), 용암리(龍岩里), 율리(栗里), 중리(中里)
삼남면 가천리(加川里), 교동리(校洞里), 방기리(芳基里), 상천리(象川里), 신화리(新華里)
두동면 구미리(九味里), 만화리(萬和里), 봉계리(鳳溪里), 삼정리(三政里), 월평리(月坪里), 은편리(銀片里), 이전리(泥田里), 천전리(川前里)
두서면 구량리(九良里), 내와리(內瓦里), 미호리(嵋湖里), 복안리(伏安里), 서하리(西河里), 인보리(仁甫里), 전읍리(錢邑里), 차리(次里), 활천리(活川里)
삼동면 금곡리(金谷里), 둔기리(芚基里), 보은리(寶隱里), 작동리(鵲洞里), 조일리(早日里), 출강리(出崗里), 하잠리(荷岑里)
상북면 거리(巨里), 궁근정리(弓根亭里), 길천리(吉川里), 덕현리(德峴里), 등억알프스리(登億알프스里), 명촌리(鳴村里), 산전리(川前里), 소호리(蘇湖里), 양등리(楊等里), 이천리(梨川里), 지내리(池內里), 천전리(川前里), 향산리(香山里)
서생면 나사리(羅士里), 대송리(大松里), 명산리(明山里), 서생리(西生里), 신암리(新岩里), 용리(龍里), 위양리(渭陽里), 진하리(鎭下里), 화산리(禾山里), 화정리(禾亭里)
웅촌면 검단리(檢丹里), 고련리(古蓮里), 곡천리(曲泉里), 대대리(大垈里), 대복리(大福里), 석천리(石川里), 은현리(銀峴里), 초천리(椒泉里), 통천리(通川里)

연혁

[편집]
법률 제1068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울산군 울산읍 일원 울산시 일원
울산군 방어진읍 일원
울산군 대현면 일원
울산군 하상면 일원
울산군 청량면 두왕리
울산군 범서면 무거리, 다운리
울산군 농소면 화봉리, 송정리
울산군(울산시 관할구역 제외) 일원 울주군 일원
  • 1963년 1월 1일 서생면을 동래군으로 이속하였다.[3] (12면)
  • 1963년 3월 1일 삼남면 소재 삼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2면 1출장소)
  • 1979년 3월 1일 군청사를 북정동에서 옥동으로 이전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양산군 서생면을 울주군으로 편입하였다. (13면)
  • 1989년 4월 1일 삼남면 삼동출장소를 삼동면으로 승격하였다. (14면)
  •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을 울산군(蔚山郡)으로 명칭을 환원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와 울산군의 통합으로, 기존 울산군(읍·면) 지역을 관할하는 울산시 울주구(蔚州區)가 설치되었다.[4]
  • 1995년 3월 2일 농소면이 농소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3면)
  • 1996년 2월 1일 온산면과 언양면을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 (3읍 11면)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어, 울주구(蔚州區) 일원(농소읍, 강동면 제외)을 관할로 자치군인 울주군을 설치하였다. 농소읍, 강동면을 울산광역시 북구에 편입하였다. (2읍 10면)
  • 2001년 3월 1일 온양면과 범서면을 각각 읍으로 승격하였다. (4읍 8면)
  • 2002년 8월 30일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5]이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편입되고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6]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됨.[7]
  • 2018년 4월 1일 쳥량면을 청량읍으로 승격하였다. (5읍 7면)
  • 2020년 11월 1일 삼남면을 삼남읍으로 승격하였다. (6읍 6면)

각주

[편집]
  1. 통계조회 및 다운로드, 2014년 1월 10일 확인
  2. 법률 제1068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5월 10일)
  3.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4. 법률 제4801호 전라남도광양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12월 22일)
  5. 무거동 265-4, 265-12, 265-15, 266-2, 266-3, 267-7, 267-8, 268-3, 270-1, 303-8, 1037-35, 1037-37번지
  6. 굴화리 7-10, 7-11, 8-4, 681-2번지
  7. 대통령령 제17692호 울산광역시남구와울주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2002년 7월 30일 공포.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