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디자인 상품선정

우수디자인(GD) 상품선정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하여 공정한 심사를 거쳐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에 정부인증 심볼인 GD (Good Design) 심볼을 부여하는 제도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 이 주관한다.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전신인 한국디자인포장센터가 산업계나 일반 소비자들의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산업디자인의 개발과 제품의 부가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1985년에 처음 시행하였다.
우수디자인(GD) 상품선정
[편집]관련 법률
[편집]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제 16128호 제6조(우수산업디자인상품의 선정 등)[1]
①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우수한 산업디자인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이하 "우수산업디자인상품"이라 한다)을 선정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개정 2009. 5. 21., 2013. 3. 23.>
②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선정된 우수산업디자인상품에 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시상을 할 수 있다. <개정 2009. 5. 21., 2013. 3. 23.>
③ 삭제 <1999. 2. 5.>
④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선정된 우수산업디자인상품에 대하여는 그 상품이 우수산업디자인상품임을 나타내는 표지(이하 "우수산업디자인표지"라 한다)를 붙여서 판매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09. 5. 21., 2013. 3. 23.>
⑤ 삭제 <2014. 12. 30.>
⑥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우수산업디자인상품의 선정기준 및 방법, 시상, 지원과 제4항에 따른 우수산업디자인표지의 사용기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09. 5. 21., 2014. 12. 30.>
역사
[편집]- 1983년 6월 한국무역협회는 한국 상품을 수입하는 각국 바이어들에게 우리나라 상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이때 한국 상품의 디자인이 다른 나라의 상품보다 우수해 구매한다고 한 답변은 2.4%에 불과했다.[2] 이에 품질 면에서 아무리 우수하다 하더라도 디자인 분야에서 낙후되면 국제경쟁력에서 진가를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불거지자[3], 당시 KIDP는 1985년 디자인 진흥 정책 중 하나로 선진국의 모범 사례를 참고해 우수디자인(Good Design, GD) 선정 제도(이하 GD 선정제)를 제정·실시했다.[4]
- 1994년 중소기업 산업디자인 지도상품전 개최를 통해 1백여 중소업체들의 새로운 제품들을 선보였다.[5]
- 2000년부터는 인간 공학과 감성 공학을 결합시킨 실용적인 디자인, 친환경적 요소를 가진 디자인 등이 나타났다.[6]
- 1985년부터 2020년까지 총 32,913개의 상품이 출품되었으며 12,666개의 상품이 선정되었다.[7]
GOOD DESIGN 심볼변천사
[편집]- 한국디자인진흥원은 기관 설립 50주년과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 36년을 기념해 세계 속의 한국디자인 위상을 높이고자 최근 GD심볼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디자인 인증 심볼로 자리잡기 위해 레드색상으로 재정립했고 이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대표컬러와도 동일하다.[2]
역대 우수디자인상품 출품수 및 선정 현황(1985~2020)
[편집]연도 | 출풀수(개) | 선정수 | ||
---|---|---|---|---|
선정 | 수상 | 계 | ||
1985 | 284 | 48 | 48 | |
1986 | 250 | 62 | 62 | |
1987 | 511 | 149 | 149 | |
1988 | 675 | 116 | 116 | |
1989 | 288 | 125 | 125 | |
1990 | 473 | 118 | 118 | |
1991 | 380 | 117 | 117 | |
1992 | 174 | 70 | 70 | |
1993 | 309 | 72 | 15 | 87 |
1994 | 389 | 117 | 15 | 132 |
1995 | 447 | 147 | 25 | 172 |
1996 | 602 | 267 | 43 | 310 |
1997 | 422 | 160 | 41 | 201 |
1998 | 346 | 138 | 41 | 179 |
1999 | 419 | 131 | 24 | 155 |
2000 | 685 | 281 | 39 | 320 |
2001 | 750 | 211 | 38 | 249 |
2002 | 861 | 278 | 52 | 330 |
2003 | 908 | 327 | 55 | 382 |
2004 | 1346 | 680 | 64 | 744 |
2005 | 1378 | 580 | 64 | 644 |
2006 | 1461 | 596 | 63 | 659 |
2007 | 1604 | 587 | 65 | 652 |
2008 | 1757 | 577 | 69 | 646 |
2009 | 1864 | 554 | 63 | 617 |
2010 | 1426 | 399 | 55 | 454 |
2011 | 1501 | 479 | 57 | 536 |
2012 | 1739 | 544 | 69 | 613 |
2013 | 1703 | 542 | 81 | 623 |
2014 | 1222 | 408 | 70 | 478 |
2015 | 1349 | 435 | 85 | 520 |
2016 | 1120 | 356 | 87 | 443 |
2017 | 1146 | 377 | 95 | 472 |
2018 | 875 | 261 | 78 | 339 |
2019 | 1041 | 340 | 80 | 420 |
2020 | 1208 | 405 | 79 | 484 |
합계 | 32913 | 11054 | 1612 | 12666 |
외부 링크
[편집]- 한국디자인진흥원 (https://kidp.or.kr)
- 역대 우수디자인상품 수상작 더보기
각주
[편집]- ↑ “산업디자인진흥법 법률 16128호 제6조(우수산업디자인상품의 선정 등)”. 《국가법령정보센터》. 2019년 4월 1일. 2020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설립 50주년 한국디자인진흥원,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 로고 변경”. 《중앙일보》. 2020년 11월 10일. 2020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가전업계 "디자인에 눈을 돌려라"”. 《매일경제》. 1984년 9월 5일. 2020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우수디자인 「GD마크」 첫 도입”. 《조선일보》. 1985년 9월 29일. 2020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산뜻·세련…구매욕구 자극 중기 디자인지도 우수상품전”. 《매일경제》. 1994년 12월 11일. 2020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대통령상-현대자동차 '싼타페'”. 《매일경제》. 2000년 8월 3일. 2020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우수디자인(GD)] 듀얼 정수기·플립 휴대폰…`K-디자인`의 힘 봤다”. 《매일경제》. 2020년 11월 20일. 2020년 12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