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는긴털아르마딜로

우는긴털아르마딜로[1]
우는긴털아르마딜로
우는긴털아르마딜로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포유강
아강: 수아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빈치상목
목: 피갑목
과: 요정아르마딜로과
아과: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속: 긴털아르마딜로속
종: 우는긴털아르마딜로
(C. vellerosus)
학명
Chaetophractus vellerosus
(Gray, 1865)
우는긴털아르마딜로[1]의 분포 지역

우는긴털아르마딜로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우는긴털아르마딜로 또는 카이토프락투스 벨레로수스(Chaetophractus vellerosus)는 아르마딜로의 일종이다.[3][4] 우는긴털아르마딜로라고도 불린다. 남아메리카의 중부와 남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굴을 파는 성질을 지닌 아르마딜로이다.[2] "우는" 또는 "비명"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자신을 건들거나 위협하면 날카로운 소리를 지르는 습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4]

대한민국에서는 비명을 지르는 털이 많은 아르마딜로로 명명 되었다.

특징

[편집]

이 종은 긴털아르마딜로 속에서 가장 작고 날씬한 종 중 하나이지만, 속에 속한 다른 종들보다 귀가 더 길다. 수컷 아르마딜로의 길이는 328에서 400mm(12.9에서 15.7인치)이며, 평균 길이는 376mm(14.8인치)이고 암컷의 길이는 265에서 419mm(10.4에서 16.5인치)이며, 평균 길이는 368mm(14.5인치)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543에서 1,329그램(19.2에서 46.9온스) 사이이며, 평균 860그램(30온스)이다. 암컷의 몸무게 범위는 257에서 1,126그램(9.1에서 39.7온스)이며, 평균 무게는 814그램(28.7온스)이다.

이 아르마딜로는 다른 아르마딜로 종보다 털이 더 많이 자란다. 아르마딜로는 18개의 띠가 있으며, 그 중 6~8개는 움직일 수 있는 띠이다. 등쪽의 털은 연한 갈색이다.

범위 및 서식지

[편집]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낮은 고도에서 높은 고도까지 건조한 지역에 굴을 파는 아르마딜로이다.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파라과이의 그란 차코와 팜파스 지역 일부에서 발견된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동부에서 고립된 개체군이 발견된다.

그것의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림, 온대 관목지,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 관목지, 온대 초원, 아열대 또는 열대 건조 저지대 초원, 뜨거운 사막, 온대 사막, 경작지, 목초지, 그리고 일부 농장이다. 아르마딜로가 굴을 뚫을 수 없는 암석이 많은 지역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주요 서식지 범위의 연평균 강수량은 200~600mm(7.9~23.6인치)인 반면에, 부에노스아이레스 인구 지역에서는 연평균 강수량이 1,000mm(39인치)이다.

먹이

[편집]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를 찾는 데 보낸다.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잡식성 동물로, 곤충, 척추동물, 식물 재료(특히 프로소피스의 꼬투리)로 구성되어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된다. 우는긴털아르마딜로들은 겨울에 최대 10%까지 체중을 증가시켜 1~2cm(0.39~0.79인치) 두께의 피하지방층을 형성한다. 척추동물은 여름에 부피 기준 27.7%에서 겨울에 13.9%까지 우는긴털아르마딜로의 먹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가장 흔한 먹이 종은 도마뱀, 새, 개구리, 쥐 종인 동부파타고니아저빌쥐이다. 이 아르마딜로는 먹이를 먹는 동안 모래를 많이 섭취하며, 한 번에 위 부피의 50%까지 차지할 수 있다.

생식

[편집]

우는긴털아르마딜로의 임신 기간은 60일부터 75일 사이이다.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생후 9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해지며, 1년에 두 번 우는긴털아르마딜로 새끼를 낳는다.

행동

[편집]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여름에는 야행성이고 겨울에는 주행성이다. 물 없이도 오랜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 종종 덤불과 관목의 바닥에 굴을 파고 지낸다. 범위 내에 여러 개의 굴이 있으며, 각 굴에는 두 개 이상의 입구가 있을 수 있다. 동물이 굴을 점유하고 있을 때는 보통 입구가 밀폐되어 있다. 굴의 지름은 20~38cm(7.9~15.0인치)일 수 있으며 길이는 수 미터일 수 있다.

우는긴털아르마딜로의 서식지는 최소 3.4헥타르(8.4에이커)로 기록되어있다. 또한 이 동물은 굴에 둥지를 짓지 않는다.

인간과의 상호작용

[편집]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볼리비아 차코 지역의 일부에서 식량을 위해 심하게 사냥당한다. 때때로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어 사냥개에게 죽임을 당하기도 한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해안 지방의 분리된 일부 개체군은 지역 사람들의 채굴 활동으로 인해 심한 악영향을 받는다. 특히 우는긴털아르마딜로의 등딱지는 류트와 유사한 남미 악기인 차랑고(charango)를 만드는 데 인기가 높다.

아종

[편집]

2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으나 좀더 완전한 분류학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이유는 후술.[2]

  • C. v. vellerosus (Gray, 1865)
  • C. v. pannosus (Gardner, 2007)

분류학

[편집]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1865년 John_Edward_Gray에 의해 볼리비아 동부의 산타크루즈 데 라 시에라에서 채집한 대영박물관의 표본에서 Dasypus vellerosus로 처음 기술되었다. 현재 두 아종(C. v. vellerosus (Gray, 1865)과 C. v. pannosus (Gardner, 2007)이 인정되고 있지만, 이 분리의 분류학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15년 한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의 지명 아종과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체형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형태학적으로도 두개골 비교나 유전학적으로도 둘을 구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는긴털아르마딜로는 긴털아르마딜로의 지명 아종의 다른 이름일 가능성이 높으며 긴털아르마딜로속 또는 다계통군일 가능성이 높다. IUCN(국제자연보전연맹,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은 현재 우는긴털아르마딜로의 기록을 삭제했다고 알려져있다.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요정아르마딜로과의 계통 분류이다.[5]

요정아르마딜로과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여섯띠아르마딜로

큰긴털아르마딜로

피치아르마딜로

우는긴털아르마딜로

† 글립토돈아과

요정아르마딜로아과

애기아르마딜로

큰요정아르마딜로

세띠아르마딜로아과

왕아르마딜로

브라질세띠아르마딜로

남방세띠아르마딜로

큰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차코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북방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남방벌거숭이꼬리아르마딜로

각주

[편집]
  1. Gardner, A.L. (2005). “Order Cingulata” [피갑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9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Chaetophractus velleros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0.4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9.0. 31 October 2010에 확인함. 
  3. Luaces, JP; Ciuccio M, Rossi LF, Faletti AG, Cetica PD, Casanave EB, Merani MS (2011). “Seasonal changes in ovarian steroid hormone concentrations in the large hairy armadillo (Chaetophractus villosus) and the crying armadillo (Chaetophractus vellerosus)”. 《Theriogenology》 75 (5): 796–802. PMID 21247625. 
  4. Eisenberg, John Frederick; Redford, Kent Hubbard (1999). 《Mammals of the Neotropics: The central neotropics: Ecuador, Peru, Bolivia, Brazil》 illurat판.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1쪽. ISBN 978-0-226-19542-1.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5. Delsuc, F.; Gibb, G. C.; Kuch, M.; Billet, G.; Hautier, L.; Southon, J.; Rouillard, J.-M.; Fernicola, J. C.; Vizcaíno, S. F.; MacPhee, R. D. E.; Poinar, H. N. (2016년 2월 22일).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Current Biology》 26 (4): R155–R156. doi:10.1016/j.cub.2016.01.039.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