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법조언론인
올해의 법조언론인은 2007년에 창설한 법조언론인클럽이 제정한 언론상이다.
역대 수상자
[편집]연도 | 수상자 | |
---|---|---|
2012년 | 한국일보 사회부 법조팀 김영화 남상욱 김혜영 기자 | 19대 총선에서 양경숙 라디오21 전 대표가 민주통합당 공천 희망자들로부터 공천헌금 명목으로 수십억원을 수수한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를 특종 보도 |
SBS 사회2부 조기호, 김범주 기자와 한국일보 사회부 법조팀 김영화, 남상욱, 김혜영 기자 |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 관련 취재를 하는 과정에서 김광준 부장검사의 금품수수 혐의를 포착해 특종 보도 | |
2013년 | <한겨레> ‘전두환 전 대통령 은닉재산 특별취재팀’ 고나무·김경욱·송경화·김선식 기자 | 2012년 5월부터 참여저널리즘 방식인 ‘크라우드소싱’ 취재기법을 활용해 전두환 전 대통령의 미납추징금 환수를 위한 ‘전두환 재산찾기 연속 기획보도’ |
문화방송(MBC) ‘시사매거진 2580’의 임소정 기자 | ‘여대생 청부살인 사건’을 저지른 영남제분 회장의 부인 윤길자씨가 허위진단서를 이용해 형집행정지를 받은 사실을 보도 | |
2014년 | 정대하 <한겨레> 사회2부 기자 | 허재호 전 회장의 ‘황제노역’ 사건을 보도[1] |
올해의 법조인
[편집]연도 | 수상자 | |
---|---|---|
2012년 | 한부환 대한변협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위원장 변호사 | 2007년 법학교육위원회 초대위원으로 로스쿨 인가기준 마련 작업에 참여 |
2013년 | 박인환(61) 대일항쟁기 피해조사 지원위원회 위원장 | 일제 때 강제동원된 국민·후손들에게 위로금을 지급하고 피해자 유해 봉안을 주도 |
2014년 | 박주민 |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법률자문[1] |
각주
[편집]- ↑ 가 나 “올해의 법조 언론인에 '황제노역' 보도 한겨레 정대하 기자”. 《미디어오늘》. 2015년 1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