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과학기자상
올해의 과학기자상은 한국과학기자협회가 해마다 탁월한 보도 실적을 보인 과학·의학 기자에게 시상하며, 과학기자는 송곡(松谷)과학기자상, 의학기자는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학기자상이라고 부른다.
부문별 역대 수상자
[편집]과학기술 부문 | 정보통신 부문 | 의학의료 부문 | 기상과학 부문 | |
---|---|---|---|---|
2002년 | 김길원(연합뉴스) | 김정기(SBS) | 이성주(동아일보) | |
2003년 | 박방주(중앙일보 차장) 공항진(SBS 차장) | 김재섭(한겨레신문) | 이준규(경향신문 차장) | |
2004년 | 김진두(YTN) 이은정(경향신문) | 백용대(디지털타임스) | 권대익(한국일보) | |
2005년 | 조문기(MBC) | 안영진(한겨레신문) | ||
2006년 | 김희원(GSK·한국일보) 안영인(GSK·SBS) | 박태균(GSK·중앙일보 전문위원) | ||
2007년[1] | 오춘호(한국경제신문 차장): 이공계 살리기 캠페인의 일환인 '스트롱 코리아'기획 취재와 한국의 과학자시리즈 등을 통해 과학기술 대중화와 과학교육 경쟁력 강화에 기여 | 민태원(국민일보): 희귀병 환자들의 고통을 집중 조명한 심층 기사를 보도해 환자들의 권익 보호에 기여[2] | ||
심재우(중앙일보) | ||||
2008년[3] | 이영완(조선일보): 신기술의 원리와 개발 현황 및 전망을 흥미롭게 분석, 전달 | 이충헌(KBS): 방송계 최초의 의학전문기자로서 의학기사의 신뢰도를 높이고 방송언론계에 의학전문기자의 기반을 마련[4] | ||
이주영(연합뉴스): 과학기술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해 과학문화 확산에 이바지하고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자단 대표로 과학보도 환경 개선에 헌신 | ||||
2009년[5] | 김상연(동아사이언스 팀장):‘첨단기술 따라잡기’ ‘지구의 해, 극한의 과학자들(2008)’ ‘세계 과학관을 가다(2008)’ ‘미래를 여는 풀뿌리 과학(2009)’ 등 주요 과학 시리즈를 기획, 게재해 첨단 과학과 신기술의 개발 현황 및 전망을 흥미롭게 분석, 전달 | 이진한(동아일보): ‘이중 게재 논문 자진 철회, 의료계 양심 바이러스 확산’을 제목으로 내과에서 시작된 논문 자진 철회를 단독으로 보도 | ||
2010년[6] | 안경애(디지털타임스 차장): 나로호1, 2차발사, 국가핵융합연구장치(KSTAR), 원자력연구원 등 과학을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고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알리는 역할에 주력 | 임승환(YTN 팀장): 의학적 이슈에 대해 각 분야별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심층 취재를 통해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줌 | 이기문(KBS 팀장) | |
2011년 | 지윤태(MBC 부장) | 심재억(서울신문 부장):‘명사들의 건강보감’, ‘Doctor & Disease’, ‘한국인의 희귀난치병’ 등 다양한 기획기사와 심층 보도로 국민건강 증진과 건전한 의료문화 창달에 기여[7] | 이상엽(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자상·SBS)[8] | |
2012년[9] | 김규태(동아사이언스 팀장): 동아일보 과학팀장과 인터넷과학뉴스 편집장으로, 과학 대중화에 기여 | 김명룡(머니투데이 바이오헬스팀): 건강의학 기사를 발굴해 왔으며, 연구개발에 매진하는 제약바이오기업들을 소개해 이들 기업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공항진(GSK·SBS 사회1부 기상과학팀장): SBS 기상과학담당 기자로, 지구온난화와 관련 대응 및 기후변화 분야를 심층 보도해 왔다. 또 기상재해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재해방송 기법도 개발 | |
2013년[10] | 박근태(조선비즈): 아리랑 5호가 북한 핵실험 지역을 촬영하지 못했다는 것을 단독 보도하는 등 꾸준히 과학기술 분야를 사회 문제와 연결시킨 보도를 한 공로 | 임소형(한국일보) | ||
김잔디(YTN): 일반인들에게 꼭 필요한 의학 기사를 발굴해 알기 쉽고 재미있게 보도해 의학기사의 신뢰도를 높인[11] | ||||
2014년[12] | 이현경(동아사이언스): ‘인터넷 과학뉴스’ 담당 팀장으로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서도 참신한 과학기술 뉴스와 깊이 있는 과학기술 분석 기사를 수시로 보도해 과학 선진화와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13] | 박광식(KBS기자): 얼굴 필러 시술의 ‘실명’ 위험성을 단독 보도하는 등 검증된 의학 뉴스로 국민건강 및 보건의료 향상에 이바지 | ||
박효순(경향신문): 진료·연구·교육 삼박자를 갖춘 뛰어난 여의사들을 발굴해 소개한 ‘여의열전(女醫列傳)’ 기획 시리즈[14] | ||||
2015년 | 정연욱(KBS): 신빙성 있는 취재를 바탕으로 정부 중요 정책에 대한 우려를 단독 보도한 것을 높이 평가해 수상자로 선정 | 서한기(연합뉴스): ‘건강검진 비용으로 한해 최대 18조5천억원 사용’(11월 15일자) 기사가 “의료산업으로까지 성장한 한국 건강검진의 실태와 비용규모 등을 엿볼 수 있는 연구결과를 분석해 국내 의료실태를 되돌아보며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선정했다” 며 “특히 같은 주제로 복수의 기사가 심사 대상에 올랐으나, 서한기 기자의 기사가 보도 시점에서 가장 빨랐던 것으로 확인돼 최종 수상 기사로 선정됐다”고 선정[15]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올해의 과학인상' KAIST 이지오 교수ㆍ'GSK의ㆍ과학 기자상' 한경 오춘호 기자
- ↑ ‘올해의 과학인상’ 이지오 교수 ‘과학기자상’ 국민일보 민태원 기자 등
- ↑ `GSK 의.과학기자상'에 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 '올해의 GSK 의·과학기자상' 발표
- ↑ 올해의 GSK과학기자상 수상자 김상연·이진한 기자 선정.
- ↑ GSK 과학기자상에 임승환 YTN 기자 · 안경애 디지털타임스 기자
- ↑ 본지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올해의 GSK과학기자상에
- ↑ 심재억·지윤태·이상엽씨 2011년의 GSK의과학기자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GSK과학기자상 공항진ㆍ김명룡, 송곡기자상 김규태씨”.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조선비즈 박근태 기자 올해의 과학기자로 선정
- ↑ YTN 김잔디 기자 '올해의 GSK 의학기자상'
- ↑ 한국과학기자협회 창립 30주년 ‘2014 과학언론인의 밤’ 행사
- ↑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송곡과학기자상 수상
- ↑ “2014년 ‘GSK의학기자상’에 박효순-박광식 기자”.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8일에 확인함.
- ↑ 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12월 과학기자상 수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