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자리 에타
오리온자리 에타 | ||
![]() 오리온자리에서의 오리온자리 에타의 위치 | ||
명칭 | ||
---|---|---|
다른 이름 | η Ori, 28 Orionis, BD−02°1235, HD 35411, HIP 25281, HR 1788, SAO 132071[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
적경(α) | A : 05h 24m 28.61672s[2] | |
적위(δ) | A : –02° 23′ 49.7311″}[2] | |
겉보기등급(m) | 3.42[3] (4.50 + 5.90 + 5.65 + 4.95)[4]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3.34 ± 1.07 밀리초각[2] | |
성질 | ||
광도 | 10,276 L☉ | |
분광형 | Aa: B1 V Ab: B3 V Ac: B3 V B: B2 V[4] | |
U-B 색지수 | –0.90[3] | |
B-V 색지수 | −0.17[3] | |
변광성 분류 | 알골형 식변광성[5] | |
추가 사항 | ||
질량 | Aa : 4.8 M☉[4] | |
표면온도 | 26,600[6] K | |
표면 중력 (log g) | 0.88±0.05[6] | |
자전 속도 | +19.8[7][6] | |
동반성 수 | 3 | |
항성 목록 |
오리온자리 에타는 오리온자리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민타카와 리겔 사이의 오리온의 허리띠 서쪽에 위치하며 리겔보다 민타카에 더 가깝게 위치해있다. 이 항성은 지구 에서 약 1,000 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이 항성은 또한 오리온자리 OB1 성협에 속해있다.[8]
구성
[편집]오리온자리 에타는 두 동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B는 주성으로부터 약 2밀리도각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이 낮고 흐릿한 동반성 C는 거의 2도각 떨어져 있다. 이 둘은 서로를 약 1,800년마다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주성인 오리온자리 A는 그 자체로도 분광 삼중성으로, 다양한 시선속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먼 동반성 Ac는 약 0.04"의 간격에서 스펙클 이미징을 사용하여 관측 분리가 해결되었다. Ac는 9.4년 동안 다른 두 성의 주위 궤도를 공전한다. 서로 가장 가까운 두 별인 Aa와 Ab는 천문 단위의 약 10분의 1 정도인 0.1 AU만큼 떨어져 있으며 8일 이내에 서로의 궤도를 돌고 있다.[10]
이 항성계는 밝은 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오리온자리 OB1 성협에 속해있다. 이 성협은 탄생한지 약 300만년에서 많게는 1200만년 가량밖에 안된 분광형 O나 B의 뜨겁고 무거운 별들 수십 개가 연속으로 작은 무리를 지어 있는 성협이다. 이 성협에는 뜨겁고 밝은 별들 뿐 아니라 좀 더 질량이 작은 별이나 갓 태어난 원시별 수천 개도 함께 포함되어 있는데, 이중 오리온자리 에타의 나이는 중간 정도인 600만년 가량이다. 이 별은 성협 중에서도 오리온의 검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는 OB1b 성협에 속해있다.[11]
가변성
[편집]
그림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으로 TESS 데이터에서 기록되었던 오리온자리 에타의 광곡선은 일식과 0.432일의 변동을 보여준다. 오리온자리 에타는 겉보기 등급 3.31에서 약 3.6 등급으로 4일마다 밝기가 변화한다. 이것은 가장 가까운 두 항성 Aa와 Ab 사이의 일식 때문이다. 1차 및 2차 일식은 각각 0.24 및 0.23 크기로 매우 유사하다.[12]
또한 반성 Ab는 0.3일의 주기와 매우 작은 진폭으로 본질적으로 주성보다 가변적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 별은 특이한 변광 스펙트럼선을 가지고 있으며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과 유사한 불안정성 띠에 놓여 있다. 이로서 이 항성은 알골과 유사한 변광성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13]
기타
[편집]오리온자리 에타는 톰 페티의 1991년 앨범 Into the Great Wide Open에 수록된 곡 The Dark of the Sun에서 오리온의 칼 아래 강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는 가사로 언급돼 있다. 1979년 앨범 'Stormwatch'에 수록된 Jethro Tull의 곡 'Orion'에는 '당신의 충실한 개는 주인보다 빛나고, 당신의 보석을 새긴 칼은 세상이 굴러갈수록 빛난다'는 가사가 실려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CDM J05245-0223AB -- Double or multip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2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 ↑ 가 나 다 Crawford, D. L.; Barnes, J. V.; Golson, J. C. (1971). “Four-color, H-beta, and UBV photometry for bright B-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The Astronomical Journal》 76: 1058. Bibcode:1971AJ.....76.1058C. doi:10.1086/111220.
- ↑ 가 나 다 Balega, I. I; Balega, Yu. Yu; Hofmann, K. -H; Tokovinin, A. A; Weigelt, G. P (1999). “Parameters of four multiple systems from speckle interferometry”. 《Astronomy Letters》 25 (12): 797. Bibcode:1999AstL...25..797B.
- ↑ Watson; 외. (2006–2012). “AAVSO International Variable Star Index VSX”. 《VizieR》. 2020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De Mey, K.; Aerts, C.; Waelkens, C.; Van Winckel, H. (1996). “The early-type multiple system η Orionis. II. Line profile variations in component Ab”. 《Astronomy and Astrophysics》 310: 164. Bibcode:1996A&A...310..164D.
- ↑ Evans, D. S. (June 20–24, 1966). Batten, Alan Henry; Heard, John Frederick, 편집.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Proceedings from IAU Symposium No. 30》 30: 57. Bibcode:1967IAUS...30...57E.
- ↑ “MAST: Barbara A. Mikulski Archive for Space Telescopes”.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1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HIP 25281”. 《Multiple Star Catalog》. 2020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 ↑ Waelkens, C.; Lampens, P. (1988). “The early-type multiple system eta Orionis. I. Photometric variability and rediscussion of the physical parameters of the compon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194: 143. Bibcode:1988A&A...194..143W.
- ↑ Abt, H. A; Levato, H (1977). “Spectral types in the Orion OB1 association”.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89: 797. Bibcode:1977PASP...89..797A. doi:10.1086/130230.
- ↑ Warren, W. H., Jr; Hesser, J. E (1978). “A photometric study of the Orion OB 1 association. III - Subgroup analyse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36: 497. Bibcode:1978ApJS...36..497W. doi:10.1086/1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