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의 향토문화유산
영암군의 향토문화유산은 국가 또는 도 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 중 인위적·자연적으로 형성된 향토적인 문화유산으로서 역사적·학술적·예술적·경관적 가치가 큰 유·무형 문화유산과 고고학적 가치를 가진 자료 등을 말하며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1]
- 향토유형 문화유산 : 건조물, 전적, 서적, 회화, 조각, 고고학자료, 성곽, 명승지, 동·식물자생지, 민속자료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
- 향토무형 문화유산 : 연극, 음악, 무용, 공예기술, 의식, 음식제조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한 것.
지정 목록
[편집]번호 | 그림 | 명칭 | 소재지 | 소유자 (관리자) | 지정·해제일자 | 비고 |
---|---|---|---|---|---|---|
1호 | 용하기 (用下記) |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 497 | 장암대동계 | 2009년 7월 3일 지정 | ||
2호 | 죽림정 |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385 | 현삼식 | 2009년 7월 3일 지정 | ||
3호 | 영암 육우당 (靈岩 六友堂) |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323 | 박찬기 | 2009년 7월 3일 지정 | ||
4호 | 삼효려 | 영암군 영암읍 농덕리 495-5 | 신정현 | 2009년 7월 3일 지정 | ||
5호 | 수성사 | 영암군 영암읍 남풍리 224 | 수성사 | 2009년 7월 3일 지정 | ||
6호 | 송정사 소장 고문서 | 영암군 서호면 화송리 592 | 김상회 | 2012년 5월 21일 지정 | ||
7호 | 호산 추원당 및 임장유 묘비 | 영암군 신북면 이천리 848 | 임경렬 | 2017년 8월 8일 지정 | ||
8호 | 양달사 장군 유적 (梁達泗 將軍 遺蹟) | 장독샘 : 영암군 영암읍 동무리 137-7 시묘유적 : 영암군 도포면 봉호리 산65 | 양금호 | 2019년 8월 22일 지정 | [1] |
각주
[편집]- ↑ 영암군 향토문화유산 보호 조례 제2조
참고 문헌
[편집]![]() | 이 글은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