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시절 (드라마)
![]() 女高時節 | |
장르 | 시트콤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2001년 9월 2일 ∼ 2002년 10월 27일 |
방송 시간 | 일요일 밤 9시 50분 ~ 10시 50분(2001년 9월 2일 ~ 2002년 2월 24일) 일요일 밤 10시 50분 ~ 11시 40분(2002년 3월 3일 ~ 2002년 10월 27일) |
방송 분량 | 1시간 15분 (2001년 9월 2일 ~ 2002년 2월 24일) 55분 (2002년 3월 3일 ~ 2002년 10월 27일) |
방송 횟수 | 53부작 |
원작 | 장사현 |
연출 | 이상훈 |
각본 | 장사현 |
출연자 | 아래 참고 |
음성 | 2채널 모노(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여고시절> 공식 홈페이지 |
![]() |
《여고시절》은 2001년 9월 2일부터 2002년 10월 27일까지 SBS에서 일요일 저녁마다 방영된, 1970년대 ~ 1980년대의 여고생들의 모습을 그린 일요 시트콤이다.
등장 인물
[편집]- 이유진
- 예지원 (중도 투입, 10회~)
- 정보석
- 유정현
- 김지영
- 이주희 (중도 하차, ~40회)
- 임성민 (중도 하차, ~13회)
- 김정난
- 김성겸
- 조오련 (중도 하차, ~39회)
- 홍록기 (중도 투입, 29회~)
- 오주은 (중도 투입, 30회~)
- 한태윤 (중도 투입, 35회~)
특별 출연
[편집]- 백지연 (1회)
- 설운도 (2회)
- 전영록 (3회)
- 구준엽 (3회, 43~46회)
- 엄정화 (4회)
- 이선정 (5회, 37회)
- 홍경민 (7회, 53회)
- 이지희 (13회)
- 이지현 (23회)
- 강수지 (33~42회)
- 홍진경 (34회)
- 박상민 (37회)
- 김혜리 (50회)
- 구창모
- 박용식
결방
[편집]- 2001년 12월 30일 : 송년특집 <빅스타 명장면 NG열전> 1~2부 편성
- 2002년 6월 9일 : 월드컵 편성 등으로 결방
- 2002년 6월 16일 : 월드컵 편성 등으로 결방
- 2002년 6월 30일 : 월드컵 편성 등으로 결방
- 2002년 7월 7일 : 특집 <히딩크 사단의 비밀> 편성[1]
- 2002년 9월 1일 : 故 이주일 추모특집 <이주일, 황제가 남긴 웃음> 편성으로 결방
- 2002년 9월 22일 : 추석특선영화 친구 편성[2]으로 결방
- 2002년 10월 6일 : 6시부터 아시안게임 야구 예선 <한국 VS 일본> 중계가 편성되어[3] SBS 8 뉴스가 8시 40분, 그 여자 사람잡네가 9시 10분, 라이벌이 10시 10분부터 11시 15분까지 편성되어 결방
참고 사항
[편집]- 이영자가 여고동창생의 일원이자 다이어트 강사로 출연할 예정이었지만 지방흡입술 파동 때문에 무산됐다[4].
- 출연진에 속했던 임성민은 해당 작품에 캐스팅되면서 그 동안 진행을 맡아 온 SBS 예능 프로그램 《장미의 이름》에서 2001년 가을개편 때 중도하차했는데[5], 정작 본 작품에서 자신의 대사가 점점 줄어드는 등 출연 분량 부족으로 배역이 위축되자 2001년 11월 25일 방송분을 끝으로 하차했다[6].
- 정보석이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으로 시트콤 연기에 도전하였다.[7]
- 전문연기자가 아닌 MC 등이 극에 출연한 탓에 전달력이 미흡했던 데다가 억지웃음을 유발했다는 지적[8]이 있었다.
- 선정적 소재와 폭력성, 수준 이하의 대사 등[9]으로 비난을 샀다.
- 당초 오후 9시 50분에 방송되었으나 SBS가 《유리구두》를 통해 주말 특별기획드라마를 부활시킴에 따라 2002년 3월 3일부터 10시 50분으로 변경됐다. 동시간대에 방송된 MBC 《타임머신》 뿐 아니라 2002년 7월 14일 첫 회가 나간(첫 회는 일요일 밤 11시에 방영했으나 2회부터 일요일 밤 10시 30분에 방송) iTV <What's up>[10](2002년 11월 10일부터 <자니 윤 나이트쇼>로 제목 변경했고 2003년 1월 26일까지 일요일 밤 10시 30분에 방영됐지만 그 해 2월 8일부터 4월 5일 마지막회까지 토요일 밤 11시 30분에 방송됨) 때문에 시청률이 떨어져 결국 2002년 가을개편으로 막을 내렸다.
각주
[편집]- ↑ 문향란 (2002년 6월 28일). “방송3社 "월드컵 열기 잇자"…4강진출 결산등 '뒷풀이'프로 잇달아 편성”. 한국일보. 2018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일에 확인함.
- ↑ 이수진 (2002년 9월 18일). “추석연휴 안방서 스크린 사냥”. 문화일보. 2017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조재영 (2002년 10월 7일). “SBS「야인시대」시청률 49.2%”. 연합뉴스. 2019년 6월 13일에 확인함.
- ↑ 이선정 (2001년 7월 11일). “[방송가] 인기 아나운서들 연기자로 변신”. 국제신문. 2017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김호일 (2001년 11월 8일). “[TV마당] 방송사 프로개편 MC 교체 잇따라”. 부산일보. 2017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박수현 (2001년 11월 21일). “중도하차 연기자에 시청자 불만”. 파이낸셜뉴스. 2018년 1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2일에 확인함.
- ↑ 한승주 (2001년 8월 28일). “SBS 새 시트콤 ‘여고시절’‘태조왕건’에 도전장”. 국민일보.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김신성 (2001년 9월 14일). “시청자가 프로 비평 나섰다”. 세계일보.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허유신 (2002년 2월 20일). “교사에 상소리 시키는 ‘여고시절’”. 경향신문. 2017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김호경 (2002년 7월 10일). “[인터뷰] iTV 토크쇼 맡아 10년만에 복귀하는 자니 윤”. 국민일보. 2019년 6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SBS 일요시트콤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 | 여고시절 (2001.9 2 ~ 2002.10.27) | - |
SBS TV 일요일 밤 9시 50분 프로그램 | ||
메디컬 센터 (2000.10.22 ~ 2001.8.12) | 여고시절 (2001.9.2 ~ 2002.2.24) | |
SBS TV 일요일 밤 10시 50분 프로그램 | ||
SBS 영화특급 (2001.5.6 ~ 2002.2.24) | 여고시절 (2002.3.3 ~ 2002.10.27) | 깜짝! 스토리랜드 (2002.11.3 ~ 2003.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