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메스재단 미술상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 |
---|---|
나라 | ![]() |
첫 시상 | 2000년 |
웹사이트 | https://www.fondationdentreprisehermes.org/en |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은 에르메스재단에서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미술상이다. 2000년 에르메스 코리아가 외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한국 미술계 지원을 통한 한국 문화예술계 발전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시작되었다.[1] 대한민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미술상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2][3]
운영
[편집]2000년부터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로 설립되어 2008년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매년 최종후보 3인의 신작을 전시한 후 최종 수상자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나, 2016년 제16회부터 격년제로 변경되었고[5], 제18회부터는 국내외 미술계 인사 4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1차 서류 심사와 2차 심층 인터뷰 심사를 통해 최종 수상자 1인을 선정한다.[1]
수상자는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개인전을 선보이게 되며, 향후 4개월간 파리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회를 갖게된다.
수상자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입력 2018.12.19 16:43 (2018년 12월 19일). “제18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에 전소정 작가 선정”. 2021년 5월 3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에 장민승씨
- ↑ “제16회 에르메스재단미술상 최종 수상자 정금형 발표”. 2015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미술상의 불확실한 미래
- ↑ 가 나 “미술작가 정금형, 제16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수상”. 《뉴스1》. 2015년 5월 1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웹 아티스트 장영혜씨 '에르메스 미술상' 수상”. 《중앙일보》. 2000년 10월 16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김범씨 佛에르메스코리아 미술상 수상”.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박이소씨 ‘에르메스 미술상’수상”. 2002년 7월 11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에르메스미술상 서도호씨”. 2003년 10월 26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에 박찬경씨”. 《hankyung.com》. 2004년 10월 22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在佛 미술가 구정아씨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 2005년 10월 21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임민욱씨 에르메스미술상 수상”.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 김성환씨”. 《mk.co.kr》.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송상희씨”. 2008년 10월 23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헤럴드경제 (2010년 3월 29일). “박윤영 설치미술가, 에르메스미술상 수상”.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에르메스 미술상 수상에 양아치씨 선정”. 2010년 9월 2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작가 김상돈씨 ‘에르메스 미술상’”. 2011년 9월 22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구동희씨,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2012년 9월 14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에 정은영씨”.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장민승 작가, 미술계 최고 권위 ‘에르메스상’ 수상”. 2015년 2월 14일.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정아란 (2017년 3월 3일). “올해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에 작가 오민”. 《연합뉴스》. 201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전소정 작가, 제18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수상”. 《중앙일보》. 2018년 12월 19일.
- ↑ “제19회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에 류성실 작가”. 2021년 3월 2일. 2021년 3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프랑스어/영어) 에르메스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