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털쇠주머니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수아강 |
하강: | 유대하강 |
목: | 주머니쥐목 |
과: | 주머니쥐과 |
아과: | 주머니쥐아과 |
속: | 쇠주머니쥐속 |
종: | 양털쇠주머니쥐 (M. demerarae) |
학명 | |
Marmosa demerarae | |
(Thomas, 1905) | |
학명이명 | |
Micoureus demerarae (Thomas, 1905) | |
양털쇠주머니쥐[1]의 분포 지역 | |
![]() 양털쇠주머니쥐의 분포 | |
보전상태 | |
|
양털쇠주머니쥐(Woolly mouse opossum, 학명: Marmosa demerarae)는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유대류의 일종이다.[3] 콜롬비아 중부, 베네수엘라, 프랑스령 기아나, 가이아나, 수리남, 페루 동부, 볼리비아 북부 그리고 브라질 북부 지역에 분포한다.[4] 이전에는 별도의 양털쇠주머니쥐속(Micoureus)으로 분류했지만 2009년부터 양털쇠주머니쥐속을 쇠주머니쥐속(Marmosa)의 아속으로 분류하고 있다.[5]
각주
[편집]- ↑ Gardner, A.L. (2005). “Order Didelphimorphia” [주머니쥐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Brito, D., Astua de Moraes, D. & Soriano, P. (2011). “Marmosa demerarae”.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2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Gardner, A.L. (2005). “Order Didelphimorphia” [주머니쥐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ardner, A.L.; Creighton, G.K. (2007). 〈Genus Micoureus〉. Gardner, A.L. (ed.). 《Mammals of South America. Volume 1: Marsupials, Xenarthrans, Shrews, and Ba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7쪽. ISBN 978-0-226-28240-4.
- ↑ Voss, R. S.; Jansa, S. A. (2009).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lassification of didelphid marsupials, an extant radiation of New World metatherian mammal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22: 1–177. doi:10.1206/322.1. 2246/5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