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닌올
![]() | |
이름 | |
---|---|
우선명 (PIN) 2-aminopropan-1-ol | |
식별자 | |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5.644 |
EC 번호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3H9NO | |
몰 질량 | 75.111 g·mol−1 |
겉보기 | 무색 고체 |
녹는점 | 96 °C racemate 72-72 °C for R or S |
끓는점 | 174.5 °C (346.1 °F; 447.6 K)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신호어 | 위험 |
H314 | |
P260, P264, P280, P301+330+331,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10, P321, P363, P405, P501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알라닌올(영어: alaninol)은 화학식이 CH3CH(NH2)CH2OH인 유기 화합물이다. 무색 고체인 이 화합물은 아미노 알코올로 분류된다.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 등의 강한 환원제로 알라닌의 카복실기를 하이드록실기로 전환시켜 생성할 수 있다.[1] 이 화합물은 카이랄성이며 카이랄성 화합물의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라세미체의 물리적 특성은 거울상 이성질체의 물리적 특성과 다소 다르다. 알라닌올은 비대칭 촉매작용에 사용되는 수많은 카이랄 리간드의 전구체이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ickman, D.A.; Meyers, A.I.; Smith, G.A.; Gawley, R.E. (1990). “Reduction of α-Amino Acids”. 《Organic Syntheses》 7: 530. doi:10.15227/orgsyn.063.0136. 202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Dawson, Graham J.; Frost, Christopher G.; Williams, Jonathan M.J.; Coote, Steven J. (1993). “Asymmetric palladium catalysed allylic substitution using phosphorus containing oxazoline ligands”. 《Tetrahedron Letters》 34 (19): 3149–3150. doi:10.1016/S0040-4039(00)934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