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075 안중근
SS-075 {{{이름}}} | |
---|---|
![]() | |
대략적인 정보 | |
함종 | 잠수함 |
함번 | SS-075 |
제작 | 현대중공업 |
운용 | ![]() |
진수 | 2008년 6월 4일 |
취역 | 2009년 11월 |
일반적인 특징 | |
배수량 | 기준 1,700 t, 수중 1,860 t |
전장 | 65 m |
선폭 | 6.3 m |
흘수 | 6 m |
추진 | 디젤엔진: 2 x MTU 16V 396 (3.12 MW) AIP 시스템: 2 x HDW PEM 연료전지 모듈 BZM120 (2 x 120 kW)[1] 전기모터: Siemens Permasyn 1기 (2.85 MW) |
속력 | 수상 12 노트, 수중 20 노트, 수중 연료전지 6 노트 |
잠수 깊이 | 400 m |
항속거리 | 수상 12,000 해리 수중 420 해리 (8노트 속력) 수중 연료전지 1,248 해리 (4노트 속력) |
승조원 | 27명 (장교 5명, 승무원 22명) |
무장 | 533mm 어뢰관 X 8 4개는 하푼 발사가능 하푼 블록 2 어뢰 16문 재장전 기뢰 |
장갑 | HY100 고장력강 |
SS-075 안중근(安重根)은 대한민국 해군의 손원일급 잠수함의 3번함이다. 1909년 대한제국 시절 한국을 침략하고 동양 평화를 깨뜨릴 야욕을 보이던 일본의 정치가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 의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무장
[편집]손원일급에는 533mm 어뢰발사관이 8개 탑재되어 있으며, 한국은 사거리 500km인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인 천룡을 손원일함에 탑재할 것이라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사거리 1,000km와 1,500km 버전도 개발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 버전이 533mm 어뢰발사관에 장착가능한지에 대해서는 확인보도가 없었다. 원래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은 533mm 어뢰발사관에서 발사가능하도록 개념설계된 것이었다. 대한민국도 최근에 이것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2]
각주
[편집]- ↑ Albert E. Hammerschmidt(Siemens AG, Erlangen). “Fuel Cell Propulsion of Submarines” (PDF). 2011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일에 확인함.
- ↑ 엄기영 (2006년 10월 24일). “軍, 사거리 1000km 순항 미사일 개발”. 국민일보.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27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 고틀란드급 잠수함 - 세계 최초, 스웨덴 최초의 AIP 잠수함
- 손원일급 잠수함 - 동아시아 최초, 대한민국 최초의 AIP 잠수함
- 소류급 잠수함 - 동아시아 2번째, 일본 최초의 AIP 잠수함
- 상트페테르부르크급 잠수함 - 동아시아 3번째, 러시아 최초의 AIP 잠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