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자리 엡실론
안드로메다자리 엡실론 | ||
![]()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안드로메다자리 ε 안드로메다자리 엡실론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안드로메다자리 30 | |
밝은 별 목록 | HR 163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3546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74164 | |
소천성표 | BD +28°103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3031 | |
관측 정보 | ||
별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 |
적경(α) | 00h 38m 33.3461s[1] | |
적위(δ) | +29° 18′ 42.3135″[1] | |
겉보기등급(m) | 4.38[1] | |
절대등급(M) | 0.69[2]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84.43 ± 0.15 km/s[1] | |
적경 고유운동 | -229.04 ± 0.20 km/s[1] | |
적위 고유운동 | -253.11 ± 0.13 km/s[1] | |
연주시차 | 19.91 ± 0.19 mas[1] | |
거리 | 164 ± 2 ly[주 1] | |
성질 | ||
광도 | 51 ± 1 L☉[3] | |
나이 | (5.71 ± 5.29) × 109년[3] | |
분광형 | G6IIIFe-3CH1[4] | |
U-B 색지수 | 0.47[1] | |
B-V 색지수 | 0.87[1] | |
V-R 색지수 | 0.68[1] | |
R-I 색지수 | 0.51[1] | |
J-H 색지수 | 0.426[1] | |
J-K 색지수 | 0.51[1] | |
추가 사항 | ||
질량 | 1.01 ± 0.35 M☉[3] | |
반지름 | 9.04 ± 0.34 M☉[3] | |
표면온도 | 5,082 ± 20 K[3] | |
중원소 함량 (Fe/H) | -0.53 ± 0.05[3] | |
표면 중력 (log g) | 2.49 ± 0.14[3] | |
자전 속도 | 1.70 ± 0.45 km/s[3] | |
항성 목록 |
안드로메다자리 엡실론(ε And / ε Andromedae)은 안드로메다자리에 있는 별이다. G형 거성으로, 핵에서 수소가 다하고 헬륨이 융합에 관여하는 레드클럼프 항성으로 추측된다.[5]
주해
[편집]- ↑ 연주시차를 이용한 계산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eps And”. 《SIMBAD》. 2019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Takeda, Yoichi; 외. (2008년 8월). “Stellar Parameters and Elemental Abundances of Late-G Giants” (PDF).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781~802.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Jofré, E.; 외. (2015년 2월). “Stellar parameters and chemical abundances of 223 evolved stars with and without planets” (PDF). 《Astronomy & Astrophysics》 (EDP Sciences): 1~46.
- ↑ Keenan, Philip C.; 외. (1989년 10월).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45~266.
- ↑ Puzeras, E.; 외. (2010년 10월).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tudy of red clump stars in the Galaxy: iron-group elements” (PDF).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225~1,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