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풍산 류씨 금계재사
![]() | |
![]() | |
종목 | 국가민속문화재 (구)제288호 (2016년 7월 1일 지정) |
---|---|
면적 | 1,729m2 |
수량 | 6동 |
위치 |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권태사길 116 (성곡리 886번지) |
좌표 | 북위 36° 38′ 2″ 동경 128° 39′ 34″ / 북위 36.63389° 동경 128.65944°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 | |
종목 | 유형문화재 (구)제146호 (1982년 2월 24일 지정) (2016년 7월 1일[1] 해지) |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安東 豊山柳氏 金溪齋舍)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풍산부원군 류중영 선생(1515∼1573)을 기리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46호로 지정되었다가, 2016년 7월 1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88호로 승격되었다.[2]
개요
[편집]풍산부원군 류중영 선생(1515∼1573)을 기리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선생은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며 교육의 진흥과 민생안정에 힘써 어진 정치를 행했었다. 후에 이조참판에 올랐으며, 선조(재위 1567∼1608) 때의 영의정 유성룡의 아버지이다.
몸채인 숭실재·영모루·부속건물이 연이어져 ㅁ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으며, 건축양식이 옛 방식을 지니고 있어 주목된다.
1987년 보수 때 영조 12년(1736)에 공사의 시작과 끝, 참여자 이름 따위를 기록한 글인 상량문이 발견되었다. 상량문에 의하면 본래 ‘능효사’의 한 건물인데 풍산 유씨가 제사지내기 위한 건물로 사들여 2차례의 수리를 거쳤다고 한다.
국가민속문화재 지정사유
[편집]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는 조선시대 명재상 서애 류성룡의 부친 입암 류중영의 묘소를 수호하고 묘제를 지내는 곳으로 16세기 중반 이전 사찰 건물을 인수하여 사용하다가 18세기 초부터 누각을 비롯한 여러 건물을 지어 튼 口자형 배치를 이루고 있다.[2]
전면에 두 개의 누를 둔 흔치 않은 큰 규모의 재사로 누·재사건축의 유형과 변천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료일 뿐 아니라 안동지역을 대표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특히 사찰 건물이었던 숭실재의 주심포계 공포와 고식의 영쌍창 및 벽체구성 등은 양식편년의 귀한 자료이다.[2]
풍산류씨 문중에서는 유교적인 제례의 관습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에서 조상의 묘소를 관리하고 조상을 숭배하는 것을 문중 내부적으로 족회소를 만들어 전승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족중입의(族中立議) 등의 문서 통해 후손들이 어떻게 조상을 모실 것인지를 남겨 후손들이 그대로 시행하도록 한 점 등은 유교적 이념 확립과 조상숭배의식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어도 현재도 후손들이 거의 그대로 전승하고 있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참고 자료
[편집]-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