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검은따오기
![]() | |
---|---|
![]() 케냐의 아프리카검은따오기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사다새목 |
과: | 저어새과 |
아과: | 따오기아과 |
속: | 검은머리흰따오기속 |
종: | 아프리카검은따오기 (T. aethiopicus) |
학명 | |
Threskiornis aethiopicus | |
(Latham, 1790)[1] | |
향명 | |
아프리카검은따오기의 분포 지역 | |
![]() 아프리카검은따오기의 분포 지역 (초록색) | |
보전상태 | |
|
아프리카검은따오기(African sacred ibis)는 저어새과에 속하는 물새인 따오기아과의 일종이다. 아프리카 대부분과 이라크, 이란, 쿠웨이트의 작은 지역이 원산지이다.[2] 특히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토트 신과 관련된 역할로 유명하다. 이 종은 현재 이집트에서 멸종되었다.
묘사
[편집]성체 개체의 몸 길이는 68cm이며 엉덩이에 어두운 깃털을 제외한 전백색의 몸통 깃털이 있다. 날개 길이는 112~124cm, 몸무게는 1.35~1.5kg이다.[3][4] 수컷이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약간 더 크다.[5]
대머리와 목, 두꺼운 곡선 모양의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흰색 날개는 비행 중인 검은색 뒷면 테두리를 보여준다. 눈은 갈색이며 짙은 빨간색 궤도 고리가 있다.[3] 성별은 비슷하지만 어린 개체는 더러운 흰색 깃털, 작은 부리와 목에 깃털이 있고, 녹색-갈색 견갑골과 기본 덮개에는 검은색이 더 많다.[3]
이 새는 보통 침묵하지만 때때로 목소리 친척인 하다다따오기와 달리 강아지 같은 울음소리를 낸다.
분포
[편집]출생지
[편집]아프리카검은따오기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이라크 남동부에서 번식합니다. 남아프리카 새 중 일부는 잠비아까지 1,500km 북쪽으로 이주하고, 적도 북쪽의 아프리카 새는 반대 방향으로 이주한다. 이라크 인구는 보통 이란 남서부로 이주하지만, 방랑하는 부랑자는 오만만큼 남쪽으로 멀리,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의 카스피해 연안까지(1945년 이전) 멀리까지 목격되었다.[6][7][8][9]
유입
[편집]최초의 아프리카검은따오기는 1700년대 중반 이집트에서 프랑스로 수입된 두 마리였다.[10] 1800년대에 유럽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에서 최초의 탈출구가 목격되었다. 1970년대에는 유럽과 다른 지역의 많은 동물원에서 새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식민지에 가두는 것이 유행이 되었고, 이 지역에서는 먹이를 찾을 수 있었지만 매일 동물원에 둥지를 틀었다. 따라서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카나리아 제도, 미국 플로리다주, 대만, 아랍에미리트, 바레인에 야생 개체 수가 정착했다.[2][9][11]
일부 연구에 따르면 유럽에 유입된 개체군은 경제적, 생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12], 다른 연구에 따르면 유럽 토종 조류 종에 심각한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13]
생태학
[편집]서식지
[편집]아프리카검은따오기는 내륙과 해안의 습지와 갯벌에서 서식한다. 물속이나 근처의 나무에 둥지를 튼 것이 좋다. 매우 얕은 습지에서 물을 건너거나 부드러운 토양이 있는 습한 목초지에서 천천히 발을 구르며 먹이를 먹는다. 또한 경작지와 쓰레기 투기장에도 방문할 예정이다.[14][15]
먹이
[편집]이 종은 주로 낮에 먹이를 먹는 포식자로, 일반적으로 무리를 지어 먹는다. 먹이는 주로 곤충, 벌레, 갑각류, 연체동물 및 기타 무척추동물과 다양한 물고기, 개구리, 파충류, 작은 포유류 및 부육으로 구성된다.[3][15][16] 지렁이와 같은 무척추동물을 위해 긴 부리로 토양을 탐사하기도 한다.[16] 심지어 때로는 씨앗을 먹기도 한다.[2]
번식
[편집]이 종은 보통 우기에 1년에 한 번 번식한다. 번식기는 아프리카에서 3월부터 8월까지이며, 이라크에서는 4월부터 5월까지이다.[3] 바오밥나무에 막대기 둥지를 짓는다. 이 새는 나무 군집에 둥지를 틀고 황새, 왜가리, 아프리카저어새, 아프리카뱀새, 가마우지와 같은 다른 대형 물떼새와 함께 둥지를 짓는다. 또한 연안 섬이나 버려진 건물에 단일 종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섬 둥지는 종종 지상에서 만들어진다. 대형 군집은 수많은 하위 군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마리의 새를 수 있다.[14][16]
암컷은 한 시즌에 1~5개의 알을 낳으며 부모 모두 21~29일 동안 배양한다.[4] 부화 후 한 부모가 처음 7일 동안 계속 둥지에 머무른다.[3] 병아리는 35~40일 후에 부화하고 44~48일 후에 독립하여 부화 후 1~5년 후에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4]
각주
[편집]- ↑ 가 나 국립생물자원관. “아프리카검은따오기”.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가 나 다 라 “Threskiornis aethiopic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2. 201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Ramsey, C. “Threskiornis aethiopicus”.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Animal Diversity Web.
- ↑ 가 나 다 “Sacred Ibis Bird”. Animal Corner.
- ↑ “African sacred ibis”. sa-venues.
- ↑ Report on the Conservation Status of Migratory Waterbirds in the Agreement Area (PDF) (보고서). Wetlands International, for the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African-Eurasian Migratory Waterbirds Secretariat. March 1999. 20쪽.
- ↑ “Threskiornis aethiopicus”.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African-Eurasian Migratory Waterbirds (AEWA). 2018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Watson, Mike (2014). BirdQuest Tour Report: Oman & Bahrain 2014 (PDF) (보고서). Birdquest Tours. 20, 26쪽.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Yésou, Pierre; Clergeau, Philippe (2005). “Sacred Ibis: a new invasive species in Europe” (PDF). 《Birding World》 18 (12): 517–526.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Leclerc Comte de Buffon, Georges-Louis (1812). 《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avec la description du Cabinet du Roi vol. 19》 [Natural History, General and Particular]. 번역 Smellie, William 2판. London: T. Cadell and W. Davies. 1–16쪽.
- ↑ Charlier, Phillip (2016년 4월 25일). “The Sacred Ibis Runs Rampant in Taiwan”. 《The Wild East Magazine》.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Kumschick, S.; Nentwig, W. (2010). “Some alien birds have as severe an impact as the most effectual alien mammals in Europe”. 《Biological Conservation》 143 (11): 2757–2762. Bibcode:2010BCons.143.2757K. doi:10.1016/j.biocon.2010.07.023.
- ↑ Marion, L. (2013). “Is the Sacred ibis a real threat to biodiversity? Long-term study of its diet in non-native areas compared to native areas.”. 《Comptes Rendus Biologies》 336 (4): 207–220. doi:10.1016/j.crvi.2013.05.001. PMID 23849724.
- ↑ 가 나 Kopij, Grzegorz (1999). “Breeding ecology of the Sacred Ibis Threskiornis aethiopicus in the Free State, South Africa” (PDF). 《South African Journal Wildlife Research》 29 (1): 25–30. ISSN 0379-4369. 2018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Smits, R.R.; van Horssen, P.; van der Winden, J. (2010년 2월 26일). A risk analysis of the sacred ibis in The Netherlands (PDF) (보고서). Bureau Waardenburg B.V. Report nr 10-005.
- ↑ 가 나 다 “Threskiornis aethiopicus (African sacred ibis, Sacred ibis)”. Biodiversity Explorer. 2018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Sacred Ibis—The Atlas of Southern African Birds
- Invasive Species Factsheet African sacred ibis on DAISIE European Invasive Alien Species Gateway
- 아프리카검은따오기 사진 갤러리 - VIREO (드렉셀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