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영어: amino acid neurotransmitter)은 시냅스를 통해 신경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아미노산이다. 신경전달물질은 세포외 배출이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시냅스 이전 뉴런의 축삭돌기 말단에서 분비된다.[1]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세포외 배출)은 Ca2+ 에 의존적이며 시냅스 이전 뉴런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다.
종류
[편집]흥분성 아미노산은(EAA)은 시냅스 이후 세포를 활성화시킨다.[2] 억제성 아미노산(IAA)은 시냅스 이후 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2]
아미노산[3][4] | 흥분성 또는 억제성 |
---|---|
아스파르트산 | 흥분성 |
β-알라닌 | 억제성 |
시스테인 | 흥분성 |
GABA(사람 성인의 뇌) | 억제성(성인), 흥분성(발달 중) |
글리신 | 억제성 |
글루탐산 | 흥분성 |
호모시스테인 | 흥분성 |
타우린 | 억제성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Axon Terminal : on Medical Dictionary Online”. 2009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D'haenen, Hugo; den Boer, Johan A. (2002). 《Biological Psychiatry》 (digitised online by Google books). Paul Willner. John Wiley and Sons. 415쪽. ISBN 978-0-471-49198-9. 2008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Dalangin, R; Kim, A; Campbell, RE (2020년 8월 27일). “The Role of Amino Acids in Neurotransmission and Fluorescent Tools for Their Det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1 (17): 6197. doi:10.3390/ijms21176197. PMC 7503967. PMID 32867295.
- ↑ Foye, William O.; Lemke, Thomas L. (2007).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David A. William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46쪽. ISBN 978-0-7817-68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