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동 (구미시)
신평1동 新坪一洞 | |
---|---|
![]() | |
로마자 표기 | Sinpyeong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행정 구역 | 9통, 61반 |
법정동 | 원평동 일부, 신평동 일부, 광평동 일부 |
관청 소재지 | 구미시 칠성로 32 |
지리 | |
면적 | 0.98 km2 |
인문 | |
인구 | 3,282명(2022년 3월) |
세대 | 1,891세대 |
인구 밀도 | 3,3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평1동 행정복지센터 |
신평2동 新坪二洞 | |
---|---|
로마자 표기 | Sinpyeong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행정 구역 | 8통, 46반 |
법정동 | 신평동 일부, 공단동 일부 |
관청 소재지 | 구미시 신비로7길 9 |
지리 | |
면적 | 0.30 km2 |
인문 | |
인구 | 3,100명(2022년 3월) |
세대 | 1,548세대 |
인구 밀도 | 10,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평2동 행정복지센터 |
신평동(新坪洞)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의 법정동이다. 신평1동, 신평2동은 행정동이다.
역사
[편집]- 조선시대 신평동, 도덕동, 덕산동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선산군 하고면 신평동, 도덕동, 덕산동, 자죽동 일부, 상고면 원평동 일부[1]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선산군 하고면 신평동, 도덕동, 덕산동, 자죽동 일부, 상고면 원평동 일부[2]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신평동[3]
- 1963년 1월 1일 선산군 구미읍 신평동
- 1973년 3월 10일 공단 조성으로 신부동, 낙계동 주민 246세대를 이주하여 신평3동을 설치하였다.
- 1977년 3월 2일 경상북도 구미출장소(선산군 구미읍) 광평지소 관할
-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시 신평동
- 신평1동, 신평2동을 신평1동으로 합동하고, 신평3동을 신평2동으로 개칭하였다.
- 1982년 12월 31일 공단동 일부(장한, 우석아파트 일원)를 편입하였다.
교육 기관
[편집]각주
[편집]-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13년 12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