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대자명심보감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구)제365호 (2016년 7월 1일 지정) |
---|---|
수량 | 2권 1책 |
시대 | 조선시대 |
위치 | |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
좌표 | 북위 36° 38′ 38″ 동경 127° 28′ 14″ / 북위 36.64389° 동경 127.47056°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신간대자명심보감(新刊大字明心寶鑑)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다. 2016년 7월 1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65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
[편집]《명심보감》은 어린이들의 학습을 위하여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편집하여 만든 것으로 유교문화권의 일상생활 지침서로 이용되어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서적이다. 《신간대자명심보감》은 범립본(范立本) 《명심보감》이 간행된 지 62년만인 1454년 청주에서 새롭게(新刊) 목판인쇄의 형태로 대자(大字)로 간행된 판본을 뒤에 인쇄한 책자이다.[1]
표제는 ‘신간대자명심보감’이나 서문, 목록, 권별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서문은 명심보감, 목록은 신간교정대자명심보감(新刊校正大字明心寶鑑), 권상 권수․권말제는 신간대자명심보감, 권하 권수제는 신간명심보감, 권말제는 신간교정대자명심보감이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참고 자료
[편집]- 신간대자명심보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