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1년에 출판된 가사 초판본 《타트라산맥 위에 번개가 쳐도 》(슬로바키아어 : Nad Tatrou sa blýska 나트 타트로우 사 블리스카 )는 슬로바키아 의 국가이다. 얀코 마투슈카(Janko Matúška)가 작사했고, 선율은 코팔라 스투디엔쿠(Kopala studienku)라는 민요를 사용한다.[ 1]
1920년 에 《나의 집은 어디에? 》와 함께 체코슬로바키아 의 국가로 채택되었고, 1993년 1월 1일 에 체코 와 분리 독립하면서 《나의 집은 어디에? 》는 체코 의 국가가, 이 노래는 슬로바키아 의 국가가 되었다. 1절과 2절이 공식적으로 불린다.[ 1]
로마자 키릴자 국제 음성 기호 𝄆 Nad Tatrou sa blýska Hromy divo bijú 𝄇 𝄆 Zastavme ich, bratia Veď sa ony stratia Slováci ožijú 𝄇 𝄆 To Slovensko naše Posiaľ tvrdo spalo 𝄇 𝄆 Ale blesky hromu Vzbudzujú ho k tomu Aby sa prebralo 𝄇 𝄆 Už Slovensko vstáva Putá si strháva 𝄇 𝄆 Hej, rodina milá Hodina odbila Žije matka Sláva 𝄇 𝄆 Na krivánskej strane Ešte jedle rastú 𝄇 𝄆 Kto jak Slovák cíti Nech sa šable chytí A medzi nás stane 𝄇[ 1]
𝄆 Над Татроу са блыска Громы диво бию 𝄆 Заставме их, братья Ведь са оны стратья Словаци ожию 𝄇 𝄆 То Словенско наше Посяль тврдо спало 𝄇 𝄆 Але блески грому Взбудзую го к тому Абы са пребрало 𝄇 𝄆 Уж Словенско встава Пута си стргава 𝄇 𝄆 Гей, родина мила Година одбила Жие матка Слава 𝄇 𝄆 На криванскей стране Эще едле расту 𝄇 𝄆 Кто як Словак цити Нех са шабле хити А медзи нас стане 𝄇
𝄆 [nat ta.trɔʊ̯ sa ˈbliːs.ka] [ˈɦrɔ.mi ˈɟi.ʋɔ ˈbi.juː ‖] 𝄇 𝄆 [ˈza.staʊ̯.me ix ˈbra.cɪ̯ɐ] [ʋec sa ˈɔ.ni ˈstra.cɪ̯ɐ] [ˈsɫɔ.ʋaː.t͡si ˈɔ.ʐi.juː ‖] 𝄇 𝄆 [tɔ ˈsɫɔ.ʋen.skɔ ˈna.ʂe] [ˈpɔ.sɪ̯ɐʎ ˈtʋr̩.dɔ ˈspa.ɫɔ ‖] 𝄇 𝄆 [ˈa.ɫe ˈbɫes.ki ˈɦrɔ.mu] [ˈvzbu.d͡zu.juː ɦɔ ˈk‿tɔ.mu] [ˈa.bi sa ˈpre.bra.ɫɔ ‖] 𝄇 𝄆 [uʂ ˈsɫɔ.ʋen.skɔ ˈfstaː.ʋa] [ˈpu.taː si ˈstr̩.ɦaː.ʋa ‖] 𝄇 𝄆 [ɦej ˈrɔ.ɟi.na ˈmi.ɫaː] [ˈɦɔ.ɟi.na ˈɔd.bi.ɫa] [ˈʐi.je ˈmat.ka ˈsɫaː.ʋa ‖] 𝄇 𝄆 [na ˈkri.ʋaːn.skej ˈstra.ne] [ˈeʂ.ce ˈjed.le ˈras.tuː ‖] 𝄇 𝄆 [ktɔ jak ˈsɫɔ.ʋaːk ˈt͡siː.ci] [nex sa ˈʂab.ɫe ˈxi.ciː] [a ˈme.d͡zi naːs ˈsta.ne ‖] 𝄇
1
타트라 산맥 위에 번개가 치고, 맹렬히 천둥이 몰아치네. 이제 멈추게 하라, 형제들이여! 결국 그들은 모두 사라지고, 슬로바키아인들은 소생하리라. 2
우리의 슬로바키아가 이제까지 깊게 잠들어 있었을지라도, 이제 천둥의 섬광이 이 땅의 의식을 회복시키며, 슬로바키아를 깨운다네. 3
크리반 언덕에는 아직도 전나무들이 자란다네. 슬로바키아인과 같이 느끼는 이가 있다면 우리 안에서 칼을 차고 일어나게 하리라. 4
이미 슬로바키아는 깨어나, 족쇄를 부숴버렸다네. 사랑하는 가족이여 영광스러운 시간이 되었다네. 어머니의 영광이 살아있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