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코잇 선교사 가옥
![]() | |
![]() | |
종목 | 문화재자료 (구)제259호 (2005년 12월 27일 지정) |
---|---|
면적 | 1동, 지하1층/2층 연면적 320.21m2 |
수량 | 일원 |
소유 | 사회복지법인 애양원 |
위치 |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매산길 53 (매곡동) |
좌표 | 북위 34° 57′ 34″ 동경 127° 28′ 47″ / 북위 34.95944° 동경 127.47972°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 | |
종목 | 등록문화재 (구)제125호 (2004년 12월 31일 지정) (2005년 12월 27일 해지) |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순천 코잇 선교사 가옥(順川 코잇 宣敎師 家屋)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매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다. 2004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25호 '순천 구 선교사 코잇 가옥'으로 지정되었다가[1], 2005년 12월 27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59호로 재지정되었다.
개요
[편집]1910년대에 형성된 순천 선교촌에 남아 있는 2층 석조건물로, 1913년 건립되었고 코잇(Coit, Robert Thronwell, 한국명 고라복, ?-1932) 선교사와 관련이 있다. 이 가옥은 한국근대사회에서 전개된 기독교 선교활동의 한 모습을 보여주는 유구이다. 특히 목포와 광주에 이어 순천에서 이루어진 선교활동을 위한 선교사 가옥으로서 그 형태와 내용면에서 의미가 크다.
코잇 선교사가옥은 옛 순천 선교촌내 건물로 원상에서 다소의 변화가 있으나 가장 보존이 잘 된 것으로 기독교 전래사, 한국근대 초기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이며 건축학적인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
등록문화재 지정사유
[편집]일제강점기 초기 미국남장로회가 추진한 한국남부지역 선교의 최종거점역할을 하던 순천선교단지의 코잇목사 사택으로 지역의 역사, 문화적 가치가 있다. 남향의 포치형 현관을 취한 전형적인 미국선교사사택의 특성을 보이면서도 지붕형태, 외관에서는 한양절충형의 특성을 보인다.[1]
등록문화재 말소사유
[편집]2005.12.27일자로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9호로 지정[2]
각주
[편집]- ↑ 가 나 문화재청고시제2004-65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장, 관보 제15885호(그2), 79-86면, 2004-12-31
- ↑ 문화재청고시제2006-3호(문화재등록 말소), 제16163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06. 1. 3. / 188 페이지 / 92.3KB
참고 자료
[편집]- 순천코잇선교사가옥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