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석대학교 (서울)

종류 | 사립 전문대학(~1966), 종합대학(1967~) |
---|---|
존재했던 기간 | 1938년12월 17일 | ~1971년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정릉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161 명륜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2가 창경궁로 265 |
규모 | 2캠퍼스 |
우석대학교(友石大學校)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었던 사립 대학이다. 1938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로 설립, 1957년 수도의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다가 1967년 우석대학교로 개편됐으나, 1971년 고려대학교에 합병, 폐교되었다.
재단의 빚이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교육부가 나서서 인수할 재단을 물색[1], 고려대학교가 우석대학교를 합병함으로써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71년 12월 8일 고려중앙학원의 병합이 승인되었고[2], 1971년 12월 17일 최종 폐교되었다.[3]
연혁
[편집]- 1938년 김종익(金鍾翊)이 사후 유언으로 재산을 출연하고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등이 참여하여 재단법인 우석학원(友石學園) 조직, 경성부 명륜동에 있던 경성여자의학강습소를 인수해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를 설립
- 1939년 생리학에 이종륜, 해부학 나세진 교수를 비롯, 성균관대 등 인근 대학에서 강사, 외부교수진을 영입
- 1940년 경성고등상업학교 교사를 인수하여 이전
- 1941년 부속병원 준공
- 1942년 제1회 졸업생 47명 배출
- 1948년 서울여자의과대학으로 승격
- 1957년 남녀공학으로 전환, 수도의과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66년경, 광화문 소재 수도의대 부속 광화문 병원이 광화문 지하보도 건설 및 종로 확장으로 인하여 철거되었다.[4]
- 1967년 국학대학(國學大學)을 인수, 합병하여 종합대학 우석대학교로 개편
- 1971년 경영난에 부딪쳐 고려대학교에 합병. (정릉캠퍼스는 고려대학교 병설보건대학, 명륜동캠퍼스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부속병원으로 개편)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 이 글은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