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읍민속마을오메기술

성읍민속마을오메기술
(城邑民俗마을오메기술)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무형문화재
종목무형문화재 (구)제3호
(1990년 5월 30일 지정)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성읍민속마을오메기술(城邑民俗마을오메기술)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 좁쌀로 빚은 탁주이다. 1990년 5월 30일 제주특별자치도의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

제주도는 논이 매우 귀한 섬이라 쌀로 술을 빚지 않으며, 술의 재료는 밭곡식인 ‘조’다. 제주도는 근래까지도 청주나 소주를 좁쌀로 빚는 것이 정통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좁쌀로 술을 빚어 온 역사는 조의 경작만큼 오래되었다.

제주도에서는 좁쌀로 탁주와 청주 등을 빚어 왔는데 탁주를 두고 ‘오메기술’이라고 한다. 오메기술은 탁주를 만드는 술떡의 이름인 ‘오메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떡으로 만든 술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오메기술을 만드는 데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보통 40되들이 밑술을 담는데 메좁쌀 12되와 누룩을 만들 밀과 보리 10되어가 든다. 술은 언제라도 빚을 수 있지만 24절기 중 상강(음력 10월 24일)이 지나서 새좁쌀로 빚어야 좋다. 성읍민속마을 오메기술은 기능보유자 김을정씨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전승자

[편집]
구분 성명
(생년월일)
성별 기예능 주소 인정·해제일자 비고
보유자 강경순
(1956. 3.19.)
술 제조 서귀포시 성읍정의현로 56번길 5 2019.11.22 인정[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제주특별자치도 고시 제2019-196호,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고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도보 제821호, 24~25쪽, 2019-11-22
    인정사유: 강경순은 오메기술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누룩 제조공정, 양조기술 등 제주 전통방식의 오메기술 제조 기법을 잘 전승하고 있음, 리더쉽과 교수 능력 역시 뛰어나며, 매년 전통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매우 활발하게 전수활동을 해나가고 있음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