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 교통
성남시의 교통은 경기도 성남시의 교통체계에 대한 설명이다. 주요 대중교통수단은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를 비롯한 시내버스와 서울로 나가는 분당선 전철 및 시외로 연결하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등이다.
철도
[편집]성남시의 도시철도 노선은 현재 신분당선과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중인 분당선과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8호선이 있다.
또한 경강선이 완공되어 분당구에서 광주시와 이천시, 여주시로의 연결되었다.
● 경강선
●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2011년 10월 28일 개통)
버스
[편집]서울로 연결하는 버스는 주로 빨간색 도색을 가진 좌석버스와 광역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분당구 관내를 연결하는 경기도 버스는 수원시나 용인시, 화성시, 오산시, 광주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 부천시, 고양시, 하남시 등 인접지역과도 바로 연결된다. 현재 시내버스 요금 체계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2008년 9월 20일에 수도권 통합요금제 도입과 함께 이용수요가 많은 정류소 4개소 이내만 정차하여 목적지로 빠르게 운행하는 간선급행버스가 분당지역에 다수 신설되었다.[1] 이때 광화문역에서 회차하던 직행좌석버스 / 광역버스의 대부분이 서울역 회차로 변경되며 일부 노선이 단축되는 등 조정이 있었다.[1] 아래의 노선은 성남시를 경유하거나 성남시 면허인 시내버스 노선이다.
고속버스 / 공항버스 / 시외버스
[편집]분당선 야탑역 부근에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야탑터미널)이 자리잡고 있어, 성남시와 전국 주요도시, 경기도 및 기타 지방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KTX 광명역 등을 연결하는 노선이 있는데 오리역을 기점으로 미금역, 정자역, 서현역을 경유하여 해당 목적지로 항하는 노선과, 구시가지에서 목적지를 연결하는 노선 두 종류가 있다.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 시간표 | ||
---|---|---|---|---|---|---|---|
3007 시외버스 | 경기고속 | 성남터미널 | ↔ | 와수리 | 장지역, 가락시장역, 잠실역, 장현, 양문, 운천, 신철원 | 4회 | 07:10, 11:10, 15:00, 18:30 |
3300 시외버스 | 경기고속 | 성남터미널 | ↔ | 전곡 연천 | 모란역, 가천대역, 가락시장역, 잠실역, 의정부, 양주역, 덕계동, 동두천, 송내지구, 동두천역, 소요산역, 학담, 한탄강, 전곡, (통현리, 연천) | 40~60분 | 연천 행은 일부 회차 운행 |
5000 공항버스 | 경기고속 | 운중동 | ↔ | 인천공항 | 판교테크노밸리, 판교역 | 11회 | 05:30, 06:30, 07:30, 09:00, 11:00, 13:00, 15:00, 16:00, 17:00, 19:00, 20:00 |
5100 공항버스 | 경기고속 | 세이브존 | ↔ | 김포공항 |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 30분 34회 | |
5200 공항버스 | 경기고속 | 단국대 오리역 | ↔ | 김포공항 |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 30분 31회 | |
5300 공항버스 | 경기고속 | 을지대입구 | ↔ | 인천공항 |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 20~30분 35회 | |
5400 공항버스 | 경기고속 | 단국대 오리역 | ↔ | 인천공항 |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 20~30분 42회 |
도로
[편집]
- 경부고속도로 판교 나들목, 판교 분기점
- 서울과의 도로연결은 성남대로를 통한 송파구로의 진입, 경부고속도로, 분당내곡로를 통한 강남구, 서초구로의 진입, 분당수서로 (동부간선도로)를 통한 송파구, 강남구, 광진구로의 진입으로 주로 분담한다.
- 남북축인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시가지가 펼쳐져 있어, 주 이동통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