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통물천
선통물천 | |
(지리 유형: 강) | |
선통물천 표지석 (복원) | |
나라 | 대한민국 |
---|---|
지방 | 서울특별시 |
소속 | 한강 수계 |
발원지 | 아현천 |
-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
하구 | 봉원천 |
-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
선통물천(善通物川)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아현천에서 분기하여 터널로 쌍룡산을 뚫고 염리동과 대흥동을 차례로 통과한 뒤 신수동에서 봉원천으로 합류하던 하천이다.[1]
1925년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인공하천으로, 현재까지 하수 처리 및 범람원 조절기능을 수행해 오고 있어 지속적 관리를 통하여 보존해야 할 시설물로 인정받아 2013년 서울 미래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아현동 쪽 터널 입구에는 ‘선통물(先通物)’이 음각된 표지석이 있었으나 보존 처리된 후 매립되었고, 이를 시에서 복제하여 2014년 원래 자리에 전시하였다.[2] 그 글씨는 제6대 조선총독인 우가키 가즈시게가 쓴 것이다.[3]
유래
[편집]조선 시대, 선통물천은 아현천의 다른 이름이었다. 마포에 모인 여러 물자를 배에 나눠 실은 뒤 아현천을 거슬러 올라가 돈의문 부근까지 운반하였는데, 이렇듯 물건이 먼저 통과하는 하천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었다. 한자로는 先通物川으로 표기하였는데, 나중에 善通物川으로 바뀌었다.[4]
연혁
[편집]- 1932년 5월: 경성부의 5개년 계획사업[5]에 의하여 착수된 쌍룡산을 관통하는 터널의 공사가 준공되었다.[6] 이 터널은 길이는 약 620 m, 단면의 폭은 약 4 m였다.[7]
- 1953년 하반기: 긴급 준설 공사가 진행되었다.[8]
- 1962년: 아현동 일대의 빗물이 아현천으로 유입되어 마포 일대를 침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통물천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9]
- 1969년 9월 2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염리동 36-2의 선통물천을 복개하고, 지상 4층의 상가 및 동사무소 겸용 건물을 건설하는 계획이 등장하였다.[10] 이 건물은 완공 이후 염리시장으로 불렸으며, 나중에 지번은 염리동 36-249으로 바뀌었다.
- 1976년 1월 19일: 염리시장이 시장으로 등록되었다.[11]
- 1985년: 신수동 일대 135 m 구간이 복개되었다.[12]
- 1986년: 신수동 일대 195 m 구간이 복개되었다.[13]
- 1993년 ~ 1994년: 숭문중·고등학교 앞 210 m 구간이 복개되었다.[14]
- 2016년 상반기: 염리시장이 철거되었다.
- 2016년 5월 21일: 경의선숲길이 전 구간 완공되었다. 이 공원의 신수동 구간에는 선통물천이 재현되었다.[15]
참고 문헌
[편집]- 남자영 (2012). 《강상대고활 : 마포나루 삶의 이야기》. 서울: 마포나루사단법인. ISBN 9788997127139.
각주
[편집]- ↑ 남자영 2012, 80-81쪽.
- ↑ 진민경 (2014년 11월 25일). “[단독]문화재 훼손, 일단 파묻고 ‘나 몰라라’”. 시사포커스. 2017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채승기 (2016년 6월 7일). “서울 곳곳에 있는 일제 조선총독 글씨 새긴 정초석”. 중앙일보.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남자영 2012, 80쪽.
- ↑ 우원상 (2007년 4월 16일). “홍제천의 봄(30)/능안골, 애오개, 굴레방 다리민초 가슴속 자리”. 서대문사람들. 2017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선통물천 표지석”. 《서울역사 아카이브》. 서울역사박물관. 2017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남자영 2012, 81쪽.
- ↑ “善通水(선통수)「턴넬」”. 경향신문. 1953년 7월 15일.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남자영 2012, 82쪽.
- ↑ 서울시 관리과 (1969년 9월 2일). 《도시계획 변경 의뢰》. 서울시 내부 공문. ; 최봉준 (2015년 2월). 〈기반시설 구축과 상가아파트 건립〉. 《서울의 도시화 초기과정에서 민간부문의 역할과 기여 : 1960-70년대 서울 민관협력 특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55-57쪽.에서 재인용함.
- ↑ 전통시장 통통 보관됨 2017-08-07 - 웨이백 머신 검색결과. 키워드 “염리시장”. 2017년 7월 24일 검색함.
- ↑ “麻浦(마포) 新水(신수) 선통물川(천) 半(반)만 복개하고 방치”. 동아일보. 1985년 8월 2일.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노응근 (1986년 1월 13일). “麻浦(마포)”. 경향신문.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최동식 (1993년 5월 27일). “行政(행정)에 밀리는 교육환경”. 동아일보.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김정엽 (2016년 5월 26일). “경의선 숲길 공원 전 구간 개통”. 한겨레. 2017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아현동 쪽 선통물천 터널 사진 - 5678서울도시철도 웹진 “행복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