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연세대학교 핀슨관
![]() | |
윤동주 시비 뒤로 보이는 핀슨관 | |
종목 | 국가등록문화재 (구)제770호 (2019년 12월 30일 지정) |
---|---|
면적 | 1동, 등록면적 344m2 |
소유 |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서울 연세대학교 핀슨관은 1922년에 연세대학교 남자 기숙사로 건립된 건축물이다. 2019년 12월 30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70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
[편집]핀슨관은 연세대학교의 기숙사로는 두 번째로 지어진 건물로, 건물 공사비 마련을 지원한 미국남감리교 총무 핀슨(Pinson) 박사의 이름을 땄다. 초창기에는 남자 기숙사로 쓰이다가, 신과대학, 음악관을 거쳐 학교법인 사무처에서 사용하였다.[2] 2000년 5월 13일 핀슨관 2층에 윤동주 기념실이 마련되었고[3], 2012년 11월에 윤동주의 유족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원고와 윤동주의 유고 및 유품을 연세대학교로 기증한 것을 계기로[4], 2013년 2월 27일에 핀슨관에서 윤동주기념관 현판식을 열고 학술정보관에서 유고·유품 기증 특별전을 개막하였다.[5] 2020년 1월 20일, 핀슨관에 윤동주기념관이 개관하였다.[6]
핀슨관은 연희전문학교 시절 윤동주 시인 등과 함께 근현대사 속 인물들이 생활했던 기숙사 건물이라는 역사적 의미와 함께, 동시대 건립된 학교 기숙사 건물이 대부분 사라진 상황 속에서 건축형태 및 구조, 생활환경 등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1] 연세대학교에 현존하는 건물 중 스팀슨관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건물이기도 하다.[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19-172호, 2019년 12월 30일.
- ↑ 이해인 (2010년 10월 2일). “윤동주도 ‘기숙사생’이었다고?!”. 연세춘추.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연세대학교 홍보팀 (2000년 6월 1일). “「윤동주 기념실」 문 열었다”. 《연세대학교》.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권혜정 (2012년 11월 18일). “윤동주 시인 육필원고 20일 연세대에 기증...보전처리 후 공개 전시”. 뉴스1.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김한솔 (2013년 2월 27일). “윤동주 시인 육필원고·까까머리 시절 사진 등 공개”. 경향신문.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김주환 (2020년 1월 20일). “윤동주 시인 살던 연세대 핀슨관, 윤동주기념관으로 재탄생”. 연합뉴스.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연세대학교 홍보팀 (2020년 1월 21일). “윤동주 시인의 기숙사 핀슨관, 윤동주기념관으로 재탄생”. 《연세대학교》. 2020년 2월 24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서울 연세대학교 핀슨관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