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아교통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7년 6월) |
창립 | 1987년 2월 28일 |
---|---|
산업 분야 | 운수업 |
본사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로 411-5, 411-7 (월전동) |
핵심 인물 | 최창구 (대표이사) |
제품 | 시내버스 |
모기업 | 순천교통 |
계열사 | 을로운수, 현대교통, 순천교통 |
웹사이트 | 유한회사 삼아교통 |
유한회사 삼아교통(有限會社 三亞交通)은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본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로 411-5, 411-7 (월전동)[1]에 있다.
역사
[편집]1987년 2월 28일에 광주여객 광주시 광산구 월전동 분리 독립 설립되었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규모가 제일 작은 편이며 현재 직행좌석 1개, 간선노선 2개, 지선노선 3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 7월 29일부터 현대교통에 인수되어 순천교통, 을로운수, 현대교통 계열사가 되었다.
현황
[편집]2016년 5월 기준이다.[2]
운행업체 | 면허 대수 | 주소 | 면허 일자 | |||
---|---|---|---|---|---|---|
대수 합계 |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 | 시외버스 | |||
삼아교통 | 49 | 49 | - | - | 광산구 동곡로 411-7 | 1987년 2월 28일 |
운행 노선
[편집]- ● 좌석02번: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한국에너지공과대학본관(대진운수, 대창운수, 동화운수, 라정시내버스, 세영운수, 을로운수, 삼원운수, 대원시내버스, 현대교통 공동운행)
- ● 지원45번: 도산동 ~ 월남동(운천저수지 경유)
- ● 운림50번: 세하동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 지원56번: 월남동 ~ 광주역(동화운수, 을로운수 공동운행)
- ● 상무64번: 세하동 ~ 비엔날레전시관(삼원운수 공동운행)
- ● 대촌69번: 칠석 ~ 양동시장역
- ● 송암73번: 도산동 ~ 서광주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