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밤바스피스
사카밤바스피스는 오르도비스기에 살았던 무악어류의 멸종된 속이다. 사카밤바스피스는 곤드와나 대륙 가장자리의 얕은 물에서 살았다.[1] 사카밤바스피스는 많은 표본이 알려진 가장 유명한 아란다스피드이다.
설명
[편집]사카밤바스피스의 길이는 대략 25 cm이다. 사카밤바스피스의 몸 모양은 머리가 크고 몸통이 납작하며 꿈틀거리는 꼬리를 가지고 지느러미가 없어 올챙이 와 닮았다. 사카밤바스피스는 자동차 헤드램프 처럼 정면에 눈이 있다.
갑옷
[편집]사카밤바스피스는 중앙선에서 올라간 상부(등쪽) 판과 깊고 곡선을 이루는 하부(복쪽) 판으로 만든 머리 방패를 가지고 있었다. 이 머리 방패는 참나무 잎 모양 또는 물방울 모양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었다.[2][3] 또한 이 두 가지를 측면을 따라 연결하고 아가미 부위를 덮는 좁은 아가미 판도 가지고 있었다.[2] 눈은 훨씬 앞쪽에 있었고 그 사이에는 두 개의 작은 콧구멍이 있었다. 내골격뼈와 추정 콧구멍으로 둘러싸인 이 콧구멍은 머리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며 이는 아란다스피드를 결정짓는 큰 특징 중 하나이다.[2][3] 나머지 몸은 머리 뒤쪽에 긴 끈 모양의 비늘 로 덮여 있었다.[2]
꼬리
[편집]꼬리는 비교적 큰 등쪽과 배쪽 막과 길쭉한 척추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척추엽의 뒤쪽 끝은 작은 지느러미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꼬리 구조는 현재 익갑류 계통의 arandaspids 및 astraspids와 함께 그룹화되어 있는 헤테로스트라칸류 의 꼬리 구조와는 차이를 보인다. (Gagnier 1993, 1995; Donoghue & Smith 2001; Sansom et al. 2005). 헤테로스트라칸류의 꼬리 구조는 대칭형(diphycercal)으로 보이고 몇 개의 큰 방사형으로 강화되어 있었다(Janvier 1996).[4]
발견과 종
[편집]사카밤바스피스 는 이 속의 첫 번째 화석이 발견된 볼리비아 코차밤바 주 사카밤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 이 속의 모식종인 S. janvieri (Gagnier, Blieck & Rodrico, 1986)는 볼리비아의 Anzaldo Formation 에서 알려졌다.[5] 이 볼리비아 종의 알려진 표본은 30마리가 있으며, 모두 매우 좁은 공간에 빽빽이 들어차 있는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그 이유로는 아마도 큰 폭풍으로 인한 담수의 갑작스러운 유입으로 인해 죽어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볼리비아 종은 많은 수의 lingulid 완족류 와 연관되어 발견되었으며, 이들 또한 동시에 죽었음을 알 수 있다.[6]
불확정 표본( Sacabambaspis sp. 로 설명되는 것)은 곤드와나 대륙의 경계에 해당하는 많은 국가에서 발견되었다. Young(1997)은 호주 중부 의 Stokes Siltstone 과 Carmichael Sandstone 에서 이 속의 화석을 설명했다.[7] 호주 중부의 Horn Creek Siltstone에서 발견된 분리된 비늘은 볼리비아 비늘과 매우 유사한 모양을 띄고 있었다.[6] 또한 아르헨티나 에서도 표본이 보고되었다.[1] Sansom et al. (2009)은 아라비아 반도의 오만의 Amdeh Formation 에서 발견된 표본을 설명했다. 오만에서의 발견을 통해 사카밤바스피스가 남미 와 호주 같은 남부 지역에만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고대 곤드와나 대륙 주변 전체에 존재했음을 알게 되었다.[1][8]
고생물학
[편집]급송
[편집]턱은 없었지만 사카밤바스피스의 입에는 약 60 줄의 작은 뼈로 된 구강 판이 늘어서 있었다. 이 판은 구강과 인두의 확장과 수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흡입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6]
감각 시스템
[편집]사카밤바스피스 의 화석은 감각 구조( 측선 체계)의 명확한 증거를 보여준다. 이것은 포식자가 일으키는 움직임 같은 물 속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열린 신경 종말이 있는 각 기공의 선이다. 이러한 기관들이 규칙적인 선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사카밤바스피스는 물 속의 교란이 어느 방향과 거리에서 오는지 감지할 수 있었다.[3]
대중 문화에서
[편집]2023년, 한 유저가 2022년 8월에 핀란드 헬싱키 자연사 박물관의 사카밤바스피스 모델에 대한 바이럴 게시물을 올린 이후 밈과 팬아트의 원천이 되었다.[9] 사카밤바스피스 밈에 영감을 받은 노래 サカサカバンバンバスピスピス (Sakasakabanbanbasupisupisu )는 일본 음악 프로듀서 Yakamochi가 2023년 6월 13일에 발매하였으며, Kotonoha Akane과 Aoi 의 일본어 Neutrino 보컬 뱅크를 사용했다. 2025년 3월 현재 YouTube 에서 41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같이 보기
[편집]- 아란다스피드(Arandaspida)
참고문헌
[편집]- ↑ 가 나 다 Sansom, Ivan J.; Miller, C. Giles; Heward, Alan; Davies, Neil S.; Booth, Graham A.; Fortey, Richard A.; Paris, Florentin (2009). “Ordovician Fish from the Arabian Peninsula”. 《Palaeontology》 (영어) 52 (2): 337–342. Bibcode:2009Palgy..52..337S. doi:10.1111/j.1475-4983.2009.00846.x.
- ↑ 가 나 다 라 Benton, Michael J. (2005). 《Vertebrate Palaeontology 3rd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47쪽. ISBN 978-1-4051-4449-0.
- ↑ 가 나 다 Taylor & Francis (2001). 《PE Ahlberg (ed.) Major Events in Early Vertebrate Evolution》. Sansom IJ, MM Smith & MP Smith. 156–171쪽.
- ↑ Pradel, A.; Sansom, I. J.; Gagnier, P. Y.; Cespedes, R.; Janvier, P. (2006). “The tail of the Ordovician fish Sacabambaspis”. 《Biology Letters》 (Alan Pradel, Ivan. J Sansom, Pierre-Yves Gagnier, Ricardo Cespedes, and Philippe Janvier) 3 (1): 72–75. doi:10.1098/rsbl.2006.0557. PMC 2373808. PMID 17443969.
- ↑ 가 나 Gagnier, Pierre-Yves; Blieck, Alain R. M.; S., Gabriela Rodrigo (1986). “First Ordovician vertebrate from South America”. 《Geobios》 (영어) 19 (5): 629–634. Bibcode:1986Geobi..19..629G. doi:10.1016/S0016-6995(86)80058-4. ISSN 0016-6995.
- ↑ 가 나 다 “Australia: The Land Where Time Began”. 2013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Young, G. C. (1997년 4월 16일). “Ordovician microvertebrate remains from the Amadeus Basin, central Australi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7 (1): 1–25. Bibcode:1997JVPal..17....1Y. doi:10.1080/02724634.1997.10010948. ISSN 0272-4634.
- ↑ Miller, George (2011년 6월 24일). “How can something that small appear on TV?”. 《NaturePlus》. 2018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Amber V (2023년 6월 16일). “470-million-year-old fish Sacabambaspis goes viral in Japan, Among Us dev joins in on fun”. Automaton Media. 2024년 2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팔레오스의 프테라스피도모르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