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Jyusin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Jyusin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WStarBot (토론) 2008년 10월 23일 (목) 21:36 (KST) 답변

넘겨주기 생정자제

[편집]

지금 생성하고 계시는 넘겨주기를 넘춰주세요. 특허청은 대한민국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123.215.23.123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01:42 (KST)답변

다른 경우도 있다면 동음이의어 문서로 바꾸면 될것 같은데요. 국방부처럼요.--Jyusin (토론) 2008년 10월 26일 (일) 01:46 (KST)답변

금와왕을 금와로 바꾸웠다면 대소왕도 대소로 바꾸워 주세요.

올림포스->올륌포스?

[편집]

일단 국립국어원의 용례집에는 올림포스로 표기되어있군요. 위키백과:외국어의 한글 표기에 따르면 위키백과에서는 '문교부 고시 제85-11호(1986년 1월 7일)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기 때문에 주로 용례집의 표기를 많이 사용합니다만, 총의가 있다면 예외를 둘 수 있겠지요.--..TTT..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13:59 (KST)답변

위키백과에서는 천병희 역을 많이 참고하는 것 같네요.--Jyusin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14:20 (KST)답변
국립국어원의 그리스어 표기 시안에도 υ는 고전 그리스어 나 현대 그리스어 모두 "ㅟ"가 아닌 "ㅣ"로 옮기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천병희 역을 사용한다는 건 어디서 얻은 정보이신가요? -- ChongDae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16:03 (KST)답변
현재의 규칙[1]과 차기 표기법 시안 모두 υ는 "ㅣ"로 적고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16:14 (KST)답변
고대그리스어 표기에 관해서는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이 없는 것 같네요. 천병희역 뿐 아니라 최근 정암학당 같은 전문번역가 집단에서 번역한 책에서도 고대그리스어로 'ㅟ'를 쓴 것을 볼수 있씁니다. 'ㅣ'로 표기한다면 다시 바꿔야 할것이 꽤 많겠네요.--Jyusin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16:32 (KST)답변
7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글에는 'ㅟ'로 사용된것을 봤는데, 교과서에서 사용되었어도 통용 표기 수준이니 안될것 같습니다. ß (토론) 2009년 9월 21일 (월) 16:36 (KST)답변

애거사 크리스티

[편집]

왜 옮기시나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09년 9월 22일 (화) 21:11 (KST)답변

"애거사"가 맞을텐데요.--Jyusin (토론) 2009년 9월 22일 (화) 21:12 (KST)답변
"애거서"[ǽɡəθə]가 맞습니다. http://engdic.daum.net/dicen/contents.do?query1=E22540 서명: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42 (KST)답변
외래어 표기법의 영어 표기 원칙에 "어말의 -a[ə]는 ‘아'로 적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2]--Jyusin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46 (KST)답변
애거사 크리스티로 이미 굳어져 통용되고 있는 고유명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제4장 인명 지명의 표기에는 1내지 3장의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http://www.korean.go.kr/08_new/data/rule03_0301.jsp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58 (KST)답변
"어말의 -a[ə]는 ‘아'로 적는다."는 조항을 찾을 수 없습니다. 조항 번호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38 (KST)답변
제가 보고 있는 영어 외래어 표기법은 http://www.korean.go.kr/08_new/index.jsp 입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39 (KST)답변
링크가 잘못달려 다시 답니다. 영어 외래어 표기법 : http://www.korean.go.kr/08_new/data/rule03_0201.jsp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40 (KST)답변
[3]에 (5)-(가)에 있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41 (KST)답변
(앞으로 당김) 확인 했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이 표제어 역시 노엄 촘스키와 같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문서의 표제어는 노엄 촘스키의 토론이 정리된 후 다시 말씀드렸으면 합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47 (KST)답변
함께 토론해도 괜찮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51 (KST)답변

노엄 촘스키

[편집]

noam은 노엄(noʊm)이 맞습니다. en:Noam Chomsky를 참조하세요.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49 (KST)답변

외래어 표기법의 영어 표기 원칙에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4]--Jyusin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50 (KST)답변
예외적으로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백:제목 선정하기를 참고해주세요. --RedMosQ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54 (KST)답변
어떤 것을 참조하라는 건가요? 많이 쓰이는 표기라면 노암 촘스키아가사 크리스티도 있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56 (KST)답변
거스 히딩크도 그렇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도 있습니다. 표기법으로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기는 하지만, 많이 쓰이는 표기를 예외적으로 허용하기도 하니 참고해주세요. --RedMosQ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0:58 (KST)답변
ʊ는 u가 아닙니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의 인명 지명 표기법에 대해서는 위에 적었습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00 (KST)답변
만약 원래 표기법대로 적으면 어떤 식으로 읽혀지는지를 적기 위해서는 틀:통용 표기 사용을 사용해서 표기하시면 됩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00 (KST)답변
이견이 있는 만큼 문서를 이동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문서 토론란에 표제어 관련 토론을 열겠습니다. 문서는 일단 되돌려 둡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01 (KST)답변
외래어 표기 용례집을 확인하였습니다. '놈'과 '애거사'로 나와있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03 (KST)답변
저와 님의 의견이 다르니 다른 분들의 의견을 듣자는 것입니다. 표제어를 원상 회복하고 토론을 해 봅시다. 관련 의견은 토론:노엄 촘스키에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Jjw (토론) 2009년 9월 30일 (수) 01:04 (KST)답변

의견토론:노엄 촘스키를 보시면 저 외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여러 가지 사유로 놈 촘스키를 표제어로 하는 것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통용 표기 사용}}을 사용하고 표제어를 노엄 촘스키로 유지하였으면 합니다. 이견 있으시면 해당 토론란에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더 이상 의견 없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10월 6일 (화) 02:42 (KST)답변

반달하지 마세요.

[편집]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뉴욕 시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를 훼손했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뉴욕 주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를 훼손했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뉴욕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를 훼손했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언어판의 위키백과에서 'New York'을 검색하면 뉴욕 주에 대한 문서가 나오지 뉴욕 시에 대한 문서는 나오지 않습니다. 게다가 당신의 편집은 총의를 무시한 편집입니다. 일단 토론부터 하시고 편집해주세요. 편집 분쟁을 원치 않습니다. --Rayesworied 토론 · 기여 2009년 10월 7일 (수) 21:39 (KST)답변

뭐가 반달이라는 거죠?? 한국어에서 '뉴욕'은 도시를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Jyusin (토론) 2009년 10월 7일 (수) 21:42 (KST)답변
여기는 한국 위키백과가 아닙니다.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람다람쥐 토론 · 기여 2009년 10월 7일 (수) 21:45 (KST)답변
네. 한국어요.--Jyusin (토론) 2009년 10월 7일 (수) 21:46 (KST)답변

귀위크 칸

[편집]

귀위크라는 게 몽골에서 읽혀지는 옳은 발음입니까, 아니면 영문판에서 나오는 발음인 Guyuk를 그냥 가지고 오신겁니까?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10월 19일 (월) 00:31 (KST)답변

표준국어대사전과 두산백과사전의 표제어를 참조하였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10월 19일 (월) 14:57 (KST)답변

한국의 성씨의 분류

[편집]

한국의 성씨의 분류를 새로이 생성하시는 것은 좋은데, 백과사전 항목에서 없는 인물이거나 한국역대 인물정보시스템에 검색해 해당 본관의 인물이 없으면, 생성하지 않는 쪽이 좋습니다. 분류에 들어갈 항목이 성씨를 설명한 문서 하나라면, 있을 필요가 없으니까요. 참고하십시오. --Gwpei (토론) 2009년 10월 24일 (토) 02:14 (KST)답변

참고하겠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10월 24일 (토) 02:15 (KST)답변

되돌림

[편집]

Jyusin님, 잠시 주목해 주세요. Jyusin님이 청주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길라잡이질문방 등을 참고하시면 작성하신 내용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더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이 계속될 경우 관리자에 의하여 편집이 차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습니다. 좋은 편집을 부탁드립니다. 술이라는 단어도써야 맞습니다. 그래서 제가 동음이의어 처리한거죠. --北京 (대화 / 편집항목·메세지) 2009년 10월 26일 (월) 17:52 (KST)답변

저명성의 차이가 크면 바로 넘겨주기 처리해도 되지 않나요?--Jyusin (토론) 2009년 10월 26일 (월) 18:05 (KST)답변

쿠빌라이

[편집]

오래전 얘기지만... 쿠빌라이 칸으로 돌렸습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10월 27일 (화) 06:20 (KST)답변

이천군 (경기도)

[편집]

Jyusin님께서 이천군 (강원도) 토론에 남기신 글 보고 토론이 너무 과열된 것 같아 보여 이천군 (경기도)도 만들어봤습니다. 저도 그 토론에서는 Jyusin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한편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에 보면 군 전체가 시로 승격된 고양군, 양주군, 광주군 (경기도) 등도 있기도 하여 만들어봤는데 이들은 일부가 서울특별시나 타 시군에 이관되었으므로 이천군과 경우가 다른가 보군요. 또 영풍군, 영일군, 김해군 등과 같은 경우는 군의 읍이 먼저 시로 승격됐다가 후에 도농복합시로 통합되었으므로 역시 경우가 다르고요. 이천군 (경기도), 용인군, 김포군, 논산군 등과 같이 일부 읍이 먼저 시로 승격됐다가 도농복합시로 통합된 것이 아니고 군 전체가 한꺼번에 시로 승격된 경우는 Jyusin님 말씀대로 해당 시 역사 메뉴에 설명하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 Tosque (토론) 2009년 11월 13일 (금) 00:04 (KST)답변

분할 또는 흡수, 통합된 경우가 아니면, 폐지된 행정구역으로 만들기보다는 시의 연혁(역사)에서 설명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11월 13일 (금) 00:11 (KST)답변

안트베르펜

[편집]

도시 깃발을 지우신 이유가 특별히 있으신지요? adidas (토론) 2009년 12월 5일 (토) 22:05 (KST)답변

별 이유는 없지만, 문서 내용은 빈약한데 비해 꼭 필요한 그림같지는 않아서요.--Jyusin (토론) 2009년 12월 5일 (토) 22:07 (KST)답변

터키어 지명

[편집]

아, 용례집이 저는 국어원 사이트에 규범 표기 검색에 나오는 걸 이르는 줄 알았는데, 다른 것이었군요. ;; 용례집 살펴봤는데, 좀 문제가 있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Antakya, Konya같은 표기야 어떤 식으로 하건 대동소이한 문제라 지금으로선 용례집대로 따라도 무방할듯 한데, 터키어 고유의 로마자 표기를 보니 용례집에선 거의 무시되어 있어 문제가 커 보이더군요. 현대 그리스어의 경우, 용례집의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대신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를 표제어로 삼는게 맞는 것처럼 수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시안을 따르는 게 아니라, 표기의 정확성을 따지는 선에서요. Plinio (토론) 2009년 12월 13일 (일) 12:44 (KST)답변

명백히 수정이 필요한 표기에 대해서는 그렇게 해도 좋겠죠. 다만 해당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 이유를 간단히 언급해둘 필요는 있겠습니다. :)--Jyusin (토론) 2009년 12월 13일 (일) 20:58 (KST)답변
그렇겠지요. 표기 용례집은 예전에 본 적이 있긴 했는데 모르고 있다가,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 Plinio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17:29 (KST)답변

이천군 문서와 비슷한 경우입니다.

[편집]

사람들이 '광주'라고 할때는 '경기도 광주시'와 '광주광역시'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나 광주광역시는 '광주시'가 아닙니다. 대한민국에 '광주시'라는 행정구역은 '경기도 광주'만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기도 광주에 대한 문서가 '광주시' 문서가 되어야 합니다. 게다가 광주시 동음이의 문서는 상당수가 광주와 중복됩니다. {{다른 뜻}}을 사용하면 충분한 경우입니다. 게다가 한국어 위키백과 안에서도 이천군 대표문서도 강원도 이천군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동음이의 문서로 해야한다는 의견보다 많은 상태입니다.(토론:이천군 참조.) 게다가 네이버 백과사전도 광주시를 '경기도 광주'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로 하고 있습니다.(이천군도 '강원도 이천'을 설명하는 문서로 하고 있음.) --Kovn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15:42 (KST)답변

님의 기여를 보니 다중계정인것 같군요. 그냥 '광주시'라고 하면 흔히 광주광역시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광주광역시를 '광주시'로 줄여서 쓸때도 많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18:09 (KST)답변
그냥 '광주시'라고 하면 광주광역시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는 출처를 보여주십시오.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광주'를 떠올리는 게 반반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이천군 문제에 관심도 없고, 사용자:Jonsoh와는 더더욱 관련이 없습니다. 저는 광주시에 대해 토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광주광역시를 광주시로 줄여쓰는 경우가 많다고 해서 그것이 정식 행정구역명이 될 수는 없습니다. 대한민국에 광주시라는 행정구역명을 가지고 있는 곳은 '경기도 광주'밖에 없기 때문에 '경기도 광주'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가 광주시의 대표문서가 되어야 합니다. 네이버 두산엔싸이버백과사전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22:24 (KST)답변
광주광역시 이전에 광주시였습니다. 지금도 광주광역시를 흔히 광주시로 줄여 부르는 건 사실 아닌가요? 위키백과에서는 일반적인 용례도 중요시합니다.--Jyusin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22:29 (KST)답변
그 문제는 토론:이천군을 참조하십시오. 강원도 이천군을 대표문서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더 많습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에서 일반적 용례를 중요시한다는 규칙은 없습니다. 공식적인 것이 우선이고, 그런 것과 크게 관련없을 경우에만 일반적 용례를 따라 표제어를 정하는 것입니다. 백과사전은 공식적인 것이 우선입니다. 그 예로 우리가 라스베이거스라고 하면 네바다 주의 라스베이거스를 떠올리지만 en:Las Vegas는 동음이의어 문서입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23:01 (KST)답변
이천군 문서에서 다중계정을 이용해 의견을 남긴 사용자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아직 총의가 형성되었다고 볼수 없습니다. 정당한 방식으로 총의가 만들어지면, 그것에 따르면 되겠죠.--Jyusin
광주시 문서는 애초에 당신이 임의대로 만든 문서로 총의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만들어진 문서입니다. 총의가 생긴다면 만들어도 아무 말 않겠는데 총의가 없이 만들어진 문서이기 때문에 되돌리는 것입니다. 자신의 의견만 고수하지 말고 광주시 문서를 광주시 (경기도 문서로 넘겨주기 처리한 후 토론을 열어 총의를 형성하시기 바랍니다. 계속 되돌리시면 편집분쟁을 시작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겠습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6일 (수) 23:28 (KST)답변
님은 편집할때마다 총의를 묻고 편집하나요? 이것에 대해서 언제 총의라는게 있었습니까? 몇몇 사용자가 자기 맘에 안들면 총의가 없다고 하더군요. 그렇게 되돌리고 싶으시면, 님이 총의를 만들어보시죠.--Jyusin (토론) 2009년 12월 16일 (수) 23:33 (KST)답변
이건 문서 편집에 대해 따진 것이 아닙니다. 문서 이동에 대해 따진 것입니다. 문서를 이동하실 때는 사소한 것이 아닌 한 총의를 거치셔야 합니다. 그리고 전라남도의 광주시는 광주광역시의 이전 행정 구역일 뿐입니다. 이전 행정구역과 현존 행정구역을 동급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지신 것 같은데 현존 행정구역에 가중치를 줘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6일 (수) 23:37 (KST)답변
문서 이동 역시 편집의 일부입니다. 사소한 것의 여부를 무슨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모르겠지만, 현재 명칭을 기준으로 해야한다는 것 역시 총의로 형성된 바 없고, 단지 님의 주장일 뿐입니다. 현재 명칭 못지 않게 과거 명칭과 통칭도 중요합니다.--Jyusin (토론) 2009년 12월 16일 (수) 23:41 (KST)답변
과거의 명칭 중요도와 현재의 명칭 중요도가 동일합니까? 현재의 명칭 중요도가 더 높지 않습니까? 그리고 네이버에서 광주시를 검색한 결과입니다. 경기도에 대한 지식인 박스가 뜨고, 연관검색어도 '경기도 광주'에 대한 것이 더 많을 뿐더러 블로그 검색결과를 제외하면 통합검색 결과에 나온 것은 '경기도 광주'에 대한 것이 월등히 많습니다. 이래도 광주시의 뜻이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고 할 수 있나요? 그리고 보통 광주광역시를 뜻할 때는 전라남도의 광주시라고 하던가 '전라도 광주'라고 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7:05 (KST)답변
그 주장에 동의 안한다는 것입니다. 포털 검색어가 진리인가요? 차라리 총의를 구해보시죠.--Jyusi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7:11 (KST)답변
포털 검색어가 출처로 이용될 수 없다는 말은 처음 듣습니다만? 포털 검색결과는 검색어에 대해 사람들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키백과를 많이 보시면 알겠지만 네이버 검색결과나 구글링 결과를 출처로 인용한 경우도 굉장히 많습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7:16 (KST)답변
열심히 하세요. 총의를 얻으시길 바랍니다.--Jyusi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7:18 (KST)답변
다중계정 진짜 아닙니다. 함부로 의심하지 마세요. 제가 편집태도, 말투를 증거로 들어 당신을 사용자:팔산천개청명오약신도의 다중계정으로 의심한다면 기분이 어떻겠습니까? --Kov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7:52 (KST)답변
저는 가입하기 전부터 위키백과에 대해 많은 관심을 지니고 위키백과를 돌아보았습니다. 그렇지만 편집은 안하고 계정등록도 안하다가 얼마전에 등록한것입니다. 이래도 의심하실건가요? --Kov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7:57 (KST)답변

제 의견은 총의를 이미 얻었습니다만...

[편집]

현존 행정구역이 대표문서가 되어야 합니다. 이천군 문서도 대표문서가 강원도 이천군이니 제가 총의를 얻은거네요. 당연히 광주시 문서도 경기도 광주시가 대표문서가 되어야 합니다. 지금 상황에서 총의를 위반하는 건 당신입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8:10 (KST)답변

이천군 문서는 계속 토론중입니다.--Jyusi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8:11 (KST)답변
이천군 문서와 토론:이천군 보세요. 강원도 이천군이 대표문서로 되어있는데 뭔 말씀이십니까? 토론이 얼마 전에 끝난것으로 보입니다. --Kovn (토론) 2009년 12월 17일 (목) 18:13 (KST)답변

성균관대학교

[편집]

토론:성균관대학교를 참고해 주세요 =] --  모다   /토론/ 2009년 12월 22일 (화) 22:04 (KST)답변

네.--Jyusin (토론) 2009년 12월 22일 (화) 22:06 (KST)답변

소작

[편집]

황후의 표제어는 거의 일괄적으로 황후의 시호를 따르고 있습니다. 서태후나 측천무후만 예외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12월 27일 (일) 00:39 (KST)답변

너무 획일적으로 하기보다는 케이스별로 생각했으면 합니다. 더 많이 쓰이는 표기도 있을 것이고, 중국어나 일본어판 표제어도 참고하면 좋을 듯 합니다. 일단 알겠습니다.--Jyusin (토론) 2009년 12월 27일 (일) 00:46 (KST)답변
그러기엔 이 인물이 한국에 알려진 적은 별로 없습니다. 한국 역사를 통틀어 언급된 적도 적습니다. 거기에다 다른 칭호(예로 들면 본명인 소작)으로 잘 알려진 편도 아니며 소작이란 이름을 듣고 "아 이사람이다."라고 감이 오지 않는 이상, 다른 보통 황후, 왕비와 같이 시호를 써주는게 타당하다 봅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09년 12월 27일 (일) 10:06 (KST)답변

주앙 지우베르투

[편집]

조앙 또는 죠앙 이 정확합니다 . 브라질에선 끝에 나오는 O 는 우 발음에 가갑게 발음합니다만 그렇치않은 경우 오발음을 해줍니다 (저는 현재 브라질에 사는 사람입니다)Antonio yoo (토론) 2010년 1월 1일 (금) 03:21 (KST)답변

위키백과에서는 정확한 발음보다는, 우선적으로 외래어 표기법에 맞추어 표기합니다.--Jyusin (토론) 2010년 1월 2일 (토) 22:29 (KST)답변

고황후

[편집]

착오가 계신 듯 싶습니다. 여황후를 제외한 나머지 황후는 따로 시호가 있으며 (그들은 고씨 성의 황후입니다. 북위의 고황후는 숭헌황후라는 시호가 따로 있네요.) 고황후란 시호는 여황후만이 유일합니다. 문서 관리 요청에 요청하여 바꾸겠습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3일 (일) 14:35 (KST)답변

이미 제가 문관에서 말씀드린 대로 여후라는 호칭은 후대의 황제(문제 이후의 한제)들이 여황후를 의도적으로 낮추기 위해 쓰인 말이었다는 것은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4일 (월) 00:54 (KST)답변
그런 식이라면 광해군도 해당되겠네요. 국내 출판물을 비롯해서 여러곳에서 여후라고 쓰고 있는데, 왜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네요. 어쨌든 표제어에 대해서는 토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1월 4일 (월) 01:00 (KST)답변
광해군은 틀립니다. 여황후는 고황후라는 시호도 있었고 나중에 가서 복위는 되지만, 광해군은 시호도 없고 복위되지도 않습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4일 (월) 01:04 (KST)답변
님의 의견은 알았습니다. 하지만, 여후가 틀렸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토론을 통해 총의를 모아주세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4일 (월) 01:09 (KST)답변
총의는 이곳에서 모아도 되지 않을까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4일 (월) 01:11 (KST)답변
토론:고황후 (한)에서 하는 것이 나을것 같네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4일 (월) 01:13 (KST)답변

문조에 대하여

[편집]

문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사도세자인 장조는 장종에서 장조로 개명되었고 문조도 익종에서 문조로 개칭되었으니 문조가 바른 표현입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3일 (일) 14:49 (KST)답변

간단히 인터넷 검색을 참조합니다. [5]
저도 처음엔 익종인줄 알았죠. 하지만 최종 결정된 묘호를 따져야 하니 문조가 올바른 표제어입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3일 (일) 15:03 (KST)답변
이것 역시 토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현재 문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니 표제어 변경 틀을 붙여 토론을 하는 것이 어떨까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3일 (일) 15:04 (KST)답변
국사편찬위원회에선 이미 문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그랬고 거기에다가 문화재청에서도 그러는데 당연히 문조가 옳지 않을까요? 최종 확정되지 않은 묘호라면 장조도 사도세자로 옮겨야 합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3일 (일) 15:07 (KST)답변
장조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문조는 확인이 안되는 것 같네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3일 (일) 15:17 (KST)답변
이건 백과사전보다도 나라의 역사물 편찬을 주관하는 국사편찬위원회의 결정을 따라야 합니다. 그럼 고종황제가 장조와 문조 둘 다 같이 추존했는데 장조는 되고 문조는 안된단 말씀인가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3일 (일) 15:19 (KST)답변
안된다는게 아니라 확인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결정했다는 확인을 어디서 하셨는지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3일 (일) 15:23 (KST)답변
교과서에선 세보에서 익종이 아닌 문조로 규정합니다. 문조가 묻혀있는 동구릉에서도 익종이 아닌 문조로 기술하네요. [6]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3일 (일) 15:24 (KST)답변
무엇이 맞는지 잘 모르겠지만 조선 문조로 이동하는 것에 반대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토론이 필요한 것 같긴 하네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3일 (일) 15:28 (KST)답변

넘겨주기나 틀 삭제 신청시

[편집]

안녕하세요. 인물들 문서 제목 다듬으시느라 고생이 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라 넘겨주기나 문서를 삭제신청 하실엔 해당 넘겨주기를 가리키고 있는 문서들의 링크도 같이 수정해주시면 관리자들이 처리하기에 조금 더 편할것 같습니다. 또한 틀 문서의 경우 많은 문서에 삽입된 경우 삭제시 대형사고가 발생하기에 함부로 삭제하기가 어렵습니다. 만약 불필요한 틀이라 생각되시면 우선 그 문서들로부터 틀을 없애주셨으면 합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5일 (화) 21:40 (KST)답변

네. 가리키고 있는 문서를 정리하는 것을 잊었네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5일 (화) 21:43 (KST)답변

그냥

[편집]

삭제 토론을 열까요?--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8일 (금) 01:34 (KST)답변

현재 속해 있는 문서도 없는데, 열 필요가 있을까요? 해당 분류가 없더라도 역사를 분류하는데 문제가 없고, 무엇보다 서양 중심적 시각에 따라 세계사의 분류를 나눌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기준이 모호한 분류라 동서양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도 어렵습니다. 왕조사로 분류하는 편이 명확하지 않나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8일 (금) 01:39 (KST)답변
제 토론란에서 윤성현님도 분류삭제를 반대하시네요.--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8일 (금) 14:57 (KST)답변

삭제 토론 개설

[편집]

위키백과:삭제 토론/역사 관련 분류에 참여해주세요. :)--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8일 (금) 18:34 (KST)답변

분류 관련 토론에 위키프로젝트가 끼어 있더군요. 일단 제거 하겠습니다.--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9일 (토) 01:20 (KST)답변
어차피 관련된 것인데 제거할 필요가 있을까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9일 (토) 01:44 (KST)답변

문서

[편집]

[7] 이러한 편집을 하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동음이의 문서를 이동하면 되지, 굳이 넘겨주기를 새로 만드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만.--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13일 (수) 19:30 (KST)답변

문서가 단 둘뿐이고, 그중 하나가 본뜻을 가진 문서인데, 굳이 동음이의 문서까지 둘 필요가 있을까요? 다른 뜻 넘겨주기로 처리하는 편이 낫지 않나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13일 (수) 19:34 (KST)답변

되돌림

[편집]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분류:고대 중국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삭제에 반대하신다면 토론에도 참여해서 의견을 남겨주세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13일 (수) 21:36 (KST)답변

보아하니

[편집]

분류 이동을 위해서 단순 치환작업을 하시는 것 같은데, 차라리 백:봇편집에 요청해놓는 것이 어떨까요?? 손 많이 아프실텐데......--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13일 (수) 22:19 (KST)답변

분류가 워낙 엉망이라서, 수작업이 불가피합니다. 많이 할 생각은 없어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13일 (수) 22:21 (KST)답변

정이 등 도학자 문서에서 임의로 초상을 삭제한 것에 대한 문의

[편집]

정호, 소옹, 장재, 주돈이, 동중서 문서에서 초상을 모두 삭제해 버렸더군요. 그럴 이유가 있나요? 해당 문서의 다른 언어 위백과 견주어 보기 바랍니다. 그리고 유학 틀은 개개 학자까지 붙일 까닭이 없습니다. 번잡해지니 틀에 언급된 항목에만 두면 됩니다. 우선 정이만 되돌렸습니다만, 합당한 사유가 없다면, 손수 되돌리세요.--Dalgial (토론) 2010년 1월 19일 (화) 22:36 (KST)답변

일본어 위백은 유학 틀에서 ‘유학의 역사’라는 항목을 두고 맹자와 순자까지만 학파로서 인물을 보이고, 나머지는 학문의 흐름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중국어 위백은 개개 인물을 모두 틀에 명시하고 있군요. 둘 중에 어느 것이 타당한지 토론을 해 보죠. 하지만, 초상은 두 언어 위백 모두 두고 있으니 참고하십시오.--Dalgial (토론) 2010년 1월 19일 (화) 23:12 (KST)답변
틀을 넣으니 그림을 넣을 자리가 마땅치 않더군요. 그림이 없으면 허전한가요? 초상화급은 아닌것 같아 뺐지만, 문서에 필요한 것이라면 굳이 반대할 생각은 없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1월 22일 (금) 22:23 (KST)답변
자리가 없다고 뺐다니 다시 넣는 것이 좋겠네요. 초상화급이 아니더라도 해당 인물에 대한 이해를 돕는 그림이니까요. 해당 인물들의 중국어나 일어 위백을 둘러 보시고, 그림은 도로 넣어 주세요. --Dalgial (토론) 2010년 1월 23일 (토) 00:03 (KST)답변

FA 분류

[편집]

먼저 백토:알찬 글에서 토론을 해야하지 않을까요?--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23일 (토) 23:51 (KST)답변

토론도 없이 임의로 분류를 변경한 것이 누구일까요? 문서 역사만 봐도 알수 있을건데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23일 (토) 23:53 (KST)답변
지금까지 써오고 있었던 것을 변경한다는 '통보'만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어쨋든 근 몇달간은 써온 분류이기도 하고요. 토론을 해야 할텐데요.--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1월 23일 (토) 23:55 (KST)답변
이전 상태로 되돌려놓고 토론을 해야겠죠. 그 때 이미 합의없이 임의로 변경한 분류니까요.--Jyusin (토론) 2010년 1월 23일 (토) 23:57 (KST)답변
님이 말하는 '이전 상태'로 되돌리면 잘못된 부분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서 이탈리아 요리는 기술과학 분야에 분류될 수 없으며 스타크래프트는 예술이 전혀 아닙니다.죽자사자 (토론) (기여) 2010년 1월 24일 (일) 00:01 (KST)답변
한국십진분류법에서 요리는 기술에 들어가고, 그리고 오락과 스포츠는 예술에 들어갑니다.--Jyusin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00:04 (KST)답변
요리라는 것이 520번 항목을 말하는 것인가요?죽자사자 (토론) (기여) 2010년 1월 24일 (일) 00:05 (KST)답변
590 생활과학에 들어갑니다.--Jyusin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00:07 (KST)답변

우선 양보하시어 현재 상태에서 시작하는게 가장 바람직해 보입니다. 혼란이 가중되니깐요.--NuvieK (토론 · 기여) 2010년 1월 24일 (일) 00:02 (KST)답변

분류를 새로 나누자 하여 그 뜻에 따라 나누었고 별 이의없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십진분류법은 문서를 나누는 좋은 방법이 되지 못합니다.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24일 (일) 01:10 (KST)답변

되돌림 2

[편집]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온양동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onsoh (토론) 2010년 2월 4일 (목) 22:28 (KST)답변

이런다고 님의 그런 편집을 이해해줄거라고 생각합니까?--Jyusin (토론) 2010년 2월 4일 (목) 22:32 (KST)답변

경고

[편집]

Jyusin님, 지금 당장 편집을 멈춰 주십시오. Jyusin님께서 온양 (동음이의) 문서에서 편집하신 내용은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과 맞지 않아, 편집하시기 전으로 되돌렸습니다.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지키는 기본적인 사항은 정책과 지침 문서를 참고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되돌려지기 전에 하셨던 편집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른 사용자와 먼저 토론을 하시기를 권고합니다. 자신이 관련 정책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신다면, 이 아래해당 문서의 토론란에 본인이 왜 그러한 편집을 하셨는지 의견을 먼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이 안내에도 불구하고 같은 편집이 반복되는 경우, 위키백과:차단 정책에 따라 위키백과의 관리자가 사용자 분을 차단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Jonsoh (토론) 2010년 2월 5일 (금) 01:47 (KST)답변

아시가바트

[편집]

정부 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제 84차 회의(2009년 5월 28일)에서 "아시가바트"로 표기를 정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2월 5일 (금) 18:19 (KST)답변

그런가요? 알겠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2월 5일 (금) 20:17 (KST)답변

한국 신화, 한국의 신화

[편집]

현재 신화 프로젝트에서 신화 명칭에 관한 토론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몇가지 자료들을 모아본 결과 '~의'를 없에는 쪽이 더 타당하다고 보이는 중이며, 더 확실한건 현재 국어국립원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토론에 참여해주세요.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2월 13일 (토) 19:48 (KST)답변

배니버 부시

[편집]

배니버 부시를 왜 버니바 부시로 옮기셨는지 토론란에 설명을 좀 부탁드립니다. --거북이 (토론) 2010년 2월 21일 (일) 19:34 (KST)답변

국립국어원 용례집에 나와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2월 21일 (일) 19:40 (KST)답변

하트솁수트

[편집]

기계번역을 이유로 삭제신청을 해주셨는데[8] 어떤점에서 이 글이 기계번역이라고 생각하시나요? --Park4223 (토론 / 기여) 2010년 2월 25일 (목) 21:11 (KST)답변

읽으면 바로 알수 있는것 같은데요. 다시한번 문장을 읽어보세요.--Jyusin (토론) 2010년 2월 25일 (목) 21:15 (KST)답변
약간 어색하다는 점 외에는 전혀 기계 번역 같지 않습니다.--누비에크 () 2010년 2월 26일 (금) 05:54 (KST)답변

서울특별시

[편집]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서울특별시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은 수도의 의미로도 많이 사용되는 말이며, {{서울의 역사}}는 역사 문단에 배치하는 것이 맞습니다. --202.43.180.234 (토론) 2010년 3월 20일 (토) 00:46 (KST)답변

성경 관련 인물의 이동

[편집]

어떤 표기를 쓰냐 자체가 뜨거운 감자입니다. 백:기독교의 각종 토론을 통해 원칙을 정하고 옮겨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22일 (월) 14:45 (KST)답변

양쯔 강의 명칭

[편집]

Jyusin님은 지명, 인명에 대해서 외래어표기법을 준수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왜 양쯔 강에 대해서는 어디서도 표준 표기로 제시하지 않은 창 강을 고집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18.131.64.36 (토론) 2010년 3월 27일 (토) 17:19 (KST)답변

양쯔 강이 관용적으로 잘못 굳어진 표기이기 때문이죠.(본문 참조)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양쯔 강' 표기를 안씁니다.--Jyusin (토론) 2010년 3월 27일 (토) 21:54 (KST)답변

김연아 문서 되돌림 관련

[편집]
안녕하세요 Jyusin님!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지만 김연아 문서에 하신 기여는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연습이나 시험은 연습장을 이용해 주시고, 기여를 재검토하실 때에는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책읽는달팽 (대화) 2010년 4월 1일 (목) 09:21 (KST)답변

온양시 기여자에게

[편집]

온양시 기여자에게 알립니다. 현재 위키백과:삭제 토론/온양시에서 삭제토론을 벌이고 있습니다. Jonsoh (토론) 2010년 4월 1일 (목) 17:14 (KST)답변

질문

[편집]

이천, 포천, 김포의 경우 시군 통합은 아산과 같은 경우입니다. 무슨 연유로 전자(이천 등)는 문서 통합을, 후자(아산)는 분리를 주창하는지요? Jonsoh (토론) 2010년 4월 1일 (목) 17:20 (KST)답변

사용자토론에 제3자가 개입해서 죄송하지만, 전자는 도농통합시로 바로 승격했고, 후자는 읍만 시로 분리됐다가 군과 통합된 케이스인데, 뭐가 같다는 건가요? ∫∫∫ (토론) 2010년 4월 2일 (금) 23:24 (KST)답변


안녕하세요,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김포군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양군, 양주군 문서와 같은 경우입니다. 병합을 원하신다면, 되돌리기를 하지 말고, 삭제 토론을 열어 총의를 구하도록 하십시오. Jonsoh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1:35 (KST)답변

낚였다고 생각한다면 누워서 침뱉기입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잖아요. 이상한 모함은 하지 마십시오. 정작 중요한 건 이겁니다. 고양군, 양주군에 대해서 당신의 논리를 표명해 주십시오. 양주군은 되고 김포군은 안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Jonsoh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1:54 (KST)답변
안된다고 한적 없습니다. 토론을 통해 총의를 구하세요.--Jyusin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1:58 (KST)답변
한번 더 불쾌감을 주는 트롤행위를 할 경우에는 경고없이 바로 차단신청하겠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21:59 (KST)답변

알림

[편집]

Jyusin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분류:대한민국의 교육청 문서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거나 위키백과의 삭제 정책의 삭제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 삭제 신청되었습니다.

분류:대한민국의 교육청 문서가 삭제 신청된 이유는 중복입니다. 해당 문서의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해당 문서의 변경 내력을 확인하여 어떤 분이 삭제를 신청하였는지 확인하신 후 그 사용자와 토론을 시도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키백과의 여러 편집자들과 함께 삭제에 대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얼마든지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굳이 새 분류를 만들어 교체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Irafox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17:25 (KST)답변

"대한민국 교육청"이라는 기관은 없습니다. 단지 여러 교육청이 있을뿐입니다. "~의"를 생략하는 경우는 "대한민국 경찰청"처럼 단 하나의 행정기관으로 존재하는 경우입니다.--Jyusin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17:30 (KST)답변

-의 라는 표현 차이가 크군요. 내가 인식이 부족하였습니다. 동의합니다. Irafox (토론) 2010년 8월 25일 (수) 17:31 (KST)답변

석가모니 건에 대한 보복인가요?

[편집]

저의 멀쩡한 편집을 되돌리셨더군요. --Carroback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17:14 (KST)답변

참나. 웬 보복? 님의 편집에 동의하지 않으면 보복인가요? 여러 사용자들과 편집 마찰을 일으키고 있더군요. 차단된 모 사용자의 다중계정 의심을 불러일으키게 하고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17:30 (KST)답변
차단된 모 사용자의 다중계정? 제가 U모씨라도 된다는 겁니까? 증거를 제시하거나 하지 않는다면 인신 공격으로 간주하겠습니다. --Carroback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1:47 (KST)답변
참나. 다중 계정을 의심하면 인신공격인가요? 님의 편집 스타일과 토론 태도는 그동안 차단된 여러 사용자들을 연상시키고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1:57 (KST)답변

인신 공격을 중단해주세요. ‘상대방의 인격을 비하하는 논평’은 인신 공격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추가해둡니다만, 제가 현재 문제삼은 발언은 “님의 편집 스타일과 토론 태도는 그동안 차단된 여러 사용자들을 연상시키고 있습니다.”입니다. Irafox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07 (KST)답변

단순히 다중계정이 의심된다는게 인신공격이 될수는 없습니다. 이전에 차단된 계정과 비교해볼때 토론 태도나 편집 스타일이 유사한 경우 충분히 그러한 의심을 할수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13 (KST)답변
일단 논제 제시없이 묻겠습니다. 지금 그것이 어떤 문서의 편집에 대한 토론과 관련이 있는 발언 또는 필요한 발언입니까? Irafox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15 (KST)답변
다중계정을 활용한 편집이라면 문제가 있죠. 차단된 사용자가 다중계정으로 나타나 편집분쟁이 발생하면, 그걸 감수해야 할까요? 다중계정으로 단정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유형의 편집과 토론태도가 계속되면 정황상 의심이 드는건 어쩔수 없죠.--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23 (KST)답변
다른 말씀을 하고 계십니다. “특정 사용자가 다중 계정인가”를 질문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발언에 문제가 없는가”를 질문하였습니다. 이 발언: [9] Irafox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24 (KST)답변
그렇다면 정황상 다중계정으로 의심할만한 때에도 그런 발언을 해서는 안된다는 건가요?--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27 (KST)답변
“정황”을 이 논의에 데려오지 마십시오. Carroback 사용자와 상관없이, Jyusin 사용자의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해를 못하시는 것 같아 말씀드립니다.

*‘철수는 폐만 끼치는 사람’이나 ‘나는 당신보다 우월한 사람이야’와 같이 상대방의 인격을 비하하는 논평을 게재한다면 그것은 인신 공격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나이, 인종, 성별, 성적, 취향, 종교, 민족, 국적 등을 싸잡아 비난하는 표현 역시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서는 다른 사용자의 외모나 개인적 생각을 문제 삼으면 안 됩니다. 어디까지를 "개인적 신원"으로 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이 각자 다를 수는 있지만, 자기 기준을 다른 사람에게까지 강요해서는 안 됩니다.

다른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행동은 그 어떤 핑계로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을 반드시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 상대방이 어떤 단체에 소속되어 있는지를 바탕으로 그 사용자의 생각을 비난해서는 안 됩니다.
  •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무례한 말들을 해서는 안 됩니다.

*다른 사용자에게 하는 말에는 항상 예의 있는 말투를 사용해 주세요.

  • 위키백과에서 편집자들은 이바지하려고 이곳에 옵니다.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개진할 때에 기여에 감사한다는 말을 사용할 수 있으면 그렇게 해주세요. 우리는 싸우려고 이곳에 온 것이 아닙니다.
  • 다른 사용자를 비난하고 공격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 주세요.

지금 제가 문제삼은 사용자의 발언은 ‘토론 상대방을 차단된 사용자와 비교하며 의심하는 행위를 가미하여 비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신 공격입니다. 이제 실례를 들겠습니다. 사용자:Raisekept는 토론 상대방의 국적에 대한 운운(의심 행위), 토론 상대방을 다중 계정으로 의심하고 몰아가는 행위로 인해 인신 공격의 사유로 차단된 바가 있습니다[10]. Irafox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33 (KST)답변

단순히 다중계정을 의심하는것이 위의 어떤 것에 해당하는지 모르겠네요. 다중계정을 의심하는것이 인신공격에 해당한다는 위키백과 내에서의 컨센서스가 있었나요? 위키백과:다중 계정 검사 요청 같은 곳은 아예 없어져야 하지 않을까요?--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41 (KST)답변
제가 쓴 글을 다시 읽어주세요. 다중 계정 의심은 문제될 것이 아니지만, 사용자의 발언을 다시 빌어옵니다. “님의 편집 스타일과 토론 태도는 그동안 차단된 여러 사용자들을 연상시키고 있습니다.” 이것은 ‘차단된 여러 사용자들’과 Carroback 사용자를 비교하고 깎아내리는 행위, 나아가 토론 상대방을 불필요하게 자극하는 발언인데다 현재 ‘편집에 대한 토론’과 전혀 무관한 주제를 끌어온 것이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말입니다. Irafox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44 (KST)답변
그 발언이 불편하다면 취소하도록 하죠.--Jyusin (토론) 2010년 11월 2일 (화) 22:50 (KST)답변

안녕하세요

[편집]

디미터르 베르바토프문서를 디미타르 베르바토프 문서로 이동시키셨는데, 불가리아어의 ъ는 ㅓ로 표기한다는 의견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1월 9일 (일) 18:43 (KST)답변

불가리아어 표기법은 아직 없습니다. 맨유 한국어 홈피에서도 '타'로 되어 있고, 언론이나 포털에서도 '타'로 쓰고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1월 9일 (일) 22:15 (KST)답변
국립국어원 검색 결과, 아무래도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1월 10일 (월) 00:19 (KST)답변

리그 욍

[편집]

타 언어판에서는 'Ligue 1'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문서의 표제어를 '리그 1'으로 변경하는 것은 어떨까요? --BIGRULE (토론) 2011년 2월 6일 (일) 14:13 (KST)답변

League 1도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2월 6일 (일) 15:51 (KST)답변
영어판 문서인 'League 1'은 한국어판 표제어로 풋볼 리그 1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되며, 현재 동음이의 문서인 리그 1리그 1 (동음이의) 문서로 변경하고, 리그 욍을 '리그 1'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2월 6일 (일) 16:18 (KST)답변
풋볼 리그 1도 일반적으로는 리그 1으로 부르고 있기 때문에 토론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Jyusin (토론) 2011년 2월 6일 (일) 16:20 (KST)답변
그렇군요. 그렇다면 일단 의견을 모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2월 6일 (일) 21:38 (KST)답변

[편집]

국립국어원에서는 로 등재되어 있으며, 비슷한 예로 라스팔마스 데 그란 카나리아라스팔마스로 이동되었습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2월 13일 (일) 16:58 (KST)답변

영어판을 비롯해 대부분의 언어판에서 킹스턴어폰헐로 쓰고 있습니다. 뉴캐슬어폰타인의 경우도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2월 13일 (일) 17:53 (KST)답변
'뉴캐슬어폰타인'의 경우에는 국립국어원에서도 그렇게 표기하도록 권장하고 있군요 ([11], [12]). 킹스턴어폰헐과는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BIGRULE (토론) 2011년 2월 13일 (일) 23:22 (KST)답변
거꾸로 '헐'이 잘못된 경우라고 생각할수도 있죠.--Jyusin (토론) 2011년 2월 13일 (일) 23:33 (KST)답변
라스팔마스의 경우도 토론이 필요해 보이네요.--Jyusin (토론) 2011년 2월 13일 (일) 23:35 (KST)답변
그렇군요. 일단 다른 분들께 문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1년 2월 15일 (화) 17:44 (KST)답변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라 '헐'로 되돌립니다. Sawol (토론) 2011년 2월 15일 (화) 18:11 (KST)답변
헐은 약칭이고 정식명칭은 킹스턴어폰헐입니다.--Jyusin (토론) 2011년 2월 15일 (화) 18:17 (KST)답변

개혁주의/칼뱅주의 문서

[편집]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개혁주의와 칼뱅주의 문서를 합치자는 제안을 하셨더군요. 그런데 그 제안을 하시기 전에 이미 칼뱅주의는 개혁주의 문서에 넘겨주기 처리 되어 있었습니다. 그것을 되돌린 뒤 다시 합치자고 하시는 것은 모순적이라 생각됩니다. 개혁주의 문서의 표제어를 칼뱅주의로 바꾸고 싶으시다면 토론 페이지에 구체적인 이유와 근거를 올려주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0:49 (KST)답변

아무 합의없이 넘겨주기 처리한것이기 때문입니다. 문서의 합병이나 표제어에 대해서 합의된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영어판의 내용이 Calvinism이고 일반적으로 칼뱅주의로 번역됩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0:53 (KST)답변

이미 병합 되어 있던 문서를 같은 내용의 중복 문서로 만드신 뒤 곧 바로 병합을 제안하셨습니다. 이런 모순적인 편집을하시는 이유는 Jyusin 님께서 인정하셨듯 표제어 변경을 원하신다는 것이군요. 그렇다면 그렇게 틀을 붙이시고 토론 제안하세요.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07 (KST)답변

병합된적 없습니다. 일방적인 넘겨주기는 병합이 아닙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09 (KST)답변

넘겨주기가 아니라 두 문서 중 하나를 삭제하는 것이 병합인가요? (잘 몰라서 묻는 것입니다.)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11 (KST)답변

원래 따로 있었던 두 문서입니다. 갑자기 누군가 넘겨주기 처리를 해버린것입니다. 아무런 토론이나 합의가 없었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13 (KST)답변
문서 역사를 보면 최초 생성일이 칼뱅주의는 2007.1.2이고 개혁주의는 2008.6.3입니다. 칼뱅주의가 먼저 있었던 문서이고 나중에 개혁주의를 만들면서 2010.4.12에 문서를 덮어쓴것입니다.

날짜만 확인하시고 내용은 안 보셨군요. 말씀하신대로 2007. 1. 2 에 처음 생성된 문서의 기록입니다: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칼뱅주의&action=historysubmit&diff=680651&oldid=680646 보시다시피 처음 문서의 표제어는 "개혁주의"였습니다. 그러니 칼뱅주의가 먼저 있었다는 님의 의견은 틀렸습니다. 생각하기론 나중에 칼뱅주의 문서가 생성 되면서 2010. 4. 11 이전에도 한 번 병합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알아보니 병합은 같은 표제어 아래서 편집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될 경우 기존에 있던 문서를 넘겨주기하는 것이군요. (위키백과:문서 합치기 참고) 그렇다면 2010. 4. 11에 두 문서는 개혁주의 아래 병합이 된 것입니다. 거기에 대해 어떤 뚜렷한 토론은 없었지만, 그렇다고 반대의 의견도 Jyusin님이 나타나시기 전 까지는 없었네요. 편집에 항상 총의를 물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위키백과:편집은 과감하게 참고) 2010. 4. 11의 편집 전에 토론이 없었다는 것은 문제 될 것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지금이라도 토론하자는 Jyusin님의 의견 또한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님이 원하시는 것은 표제어 변경입니다. 그렇다면 거기에 걸맞는 방식을 취해야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병합된 것을 되돌리기 하고 거의 동일한 두 문서를 만든 뒤 다시 병합을 제안하는 것은 모순에 지나지 않습니다. 또 개혁주의 문서가 칼뱅주의 보다 먼저 있었다는 증거도 있으니, 님의 편집 행위를 정당화하기 어렵네요.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41 (KST)답변

병합된적 없습니다. 문서 역사상으로도 칼뱅주의와 개혁주의가 뒤섞여 있씁니다. 그 상태에서 한쪽으로의 넘겨주기는 아무런 타당성이나 근거가 없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50 (KST)답변
Calvinism는 칼뱅주의로 번역되는 것이 맞는데, 왜 자꾸 개혁주의로 넘겨주기하는지 모르겠군요. 정당한 사유없이 넘겨주기 처리하지 마십시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1:53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는 영어 위키백과의 번역본이 아닙니다.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2:56 (KST)답변

간단하게 다시 말씀드립니다.

  1. Jyusin 님의 편집 이전에 칼뱅주의 문서는 개혁주의 문서 아래 이미 병합되어 있었습니다. (2010. 4. 11 이래) 병합이 아니라고 말씀하시는데, 무엇이 병합인지는 위키백과:문서 합치기의 설명을 저는 따르고 있습니다.
  2. Jyusin 님이 칼뱅주의 문서를 개혁주의 문서의 내용과 거의 동일한 상태로 만들어 놓으셨습니다. (2011. 3. 30.) 이것은 항목의 중복 생성입니다.
  3. 그 뒤 곧 바로 Jyusin 님이 개혁주의 문서와 칼뱅주의 문서의 병합을 제안하셨습니다. (2011. 3. 30.)

이상의 행동은 모순이며, 편법적인 편집입니다. 개혁주의 표제어를 변경해야 할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정식으로 표제어 변경을 제안하고 근거를 제시해 주십시오. 이미 병합되어 있던 문서를 거의 같은 내용으로 살린 뒤 병합을 새롭게 논의하자고 하는 것은 기형적인 방법입니다.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2:56 (KST)답변

2010.4.11 까지는 별도의 두 문서로 있던것이 갑자기 한쪽으로 넘겨주기 처리된것입니다. 그에 대한 아무런 토론과 합의가 없었습니다. 때문에 넘겨주기 이전의 상태에서 다시 토론이 이루어지는 것이 맞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12 (KST)답변

편집에 토론과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법칙은 없습니다. 오히려 그 후에 많은 사용자들이 계속하여 개혁주의 문서의 내용을 알차게 꾸며왔다는 것이 다른 사용자들의 동의를 대변합니다. Jyusin님의 개인적인 의견에 너무 고집을 부리지 마세요. --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18 (KST)답변

개혁주의 문서는 copy&paste로 만들어진 문서입니다. 문서의 역사를 보호하기 위해 copy&paste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표제어를 바꾸고 싶다면 토론을 거쳐 총의를 확인한후 관리자에게 요청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20 (KST)답변

근거 없이 copy & paste 했다고 말씀하지 마세요. 개혁주의 문서가 칼뱅주의보다 먼저 만들어 졌다는 증거가 위에 있습니다. --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27 (KST)답변

그리고 위키백과는 민주주의의 실험의 장이 아니에요. Jyusin님의 고집의 이유는 그저 합의가 없었다는 것 뿐이고, 그렇다면 그것을 토론 페이지에서 논의하면 되는 것이지, 지금과 같은 변칙적인 편집은 나쁜 방식이라고 생각해요. --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27 (KST)답변

문서 역사를 확인해보세요. 칼뱅주의 문서의 역사가 더 오래되어 있고 개혁주의는 copy&paste로 덮어씌워 만든 문서입니다. 표제어를 그런식으로 덮어 씌워 바꾸는 방식은 허용되지 않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30 (KST)답변

칼뱅주의 맨 처음 버전입니다 --- 보시다시피 맨 처음에 올라온 표제어는 '개혁주의'입니다. 근거도 없는 주장 자꾸 하시면 곤란하지요.

아, 그리고 경고 틀을 자꾸 다시는데, 읽었으니 계속 달지 마세요. 님께서 싸우려고 위키에 오셨다는 표현이 됩니다. 다음은 틀:경고에서 가져온 것이에요:

이 틀을 상대방의 사용자토론문서에 달아 경고하였으나 상대방이 제거한 경우 다시 되돌리기 하지 마십시오. 위키백과:토론에서 지켜야 할 점을 읽어봐주세요. 상대방이 읽은 것으로 보아주시고 경고틀을 제거한 후에도 반복해서 잘못된 행동을 할 경우에는 차단 신청에서 그 경위를 말씀해주세요.

--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34 (KST)답변

맨처음 버전이 어떻든 칼뱅주의 문서 역사는 그 이후로 계속 바뀌어왔습니다. 중간에 copy&paste로 개혁주의 문서가 만들어졌는데, 이렇게 되면 문서의 역사가 왜곡됩니다. 표제어를 그런식으로 바꾸는건 허용되지 않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3:39 (KST)답변

문서를 하나의 표제어 아래 다루는 과정에서 기존 문서가 복사되어 오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님의 주장은 칼뱅주의를 개혁주의 안에 넣기 전에 사람들의 의견을 물었어야 한다 그것 뿐입니다. 하지만 위키백과에 그런 법규는 없습니다. 자꾸 그것을 따지시는 것은 소모적인 논쟁일 뿐입니다.

자꾸 여기서 과거 편집을 논하는 것은 소모적입니다. 문서 내용에 집중합시다. 그리스도교인, 신학자, 혹 신학생이신가요? 님께서는 어떤 방식으로 개혁주의 및 칼뱅주의 문서가 합병 되었으면 좋겠는지 적절한 근거와 함께 의견을 문서 토론장에 올려주세요. 그것이 문제를 제기한 사람으로서의 책임이며 다른 사용자들을 배려하는 태도입니다. 그럼 문서 토론 페이지에서 봅시다. -- Pnmti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8:12 (KST)답변

님은 아직도 문서의 역사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초보가 아니면 누구나 다 아는 내용입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8:16 (KST)답변

그레이트맨체스터 주 황당한 근거

[편집]

Jyusin님이 그레이트맨체스터 주 문서 제목을 '그레이트 맨체스터'로 띄어 쓰자고 문서 변경 요청을 하였는데, 그 근거로 제시한 두산백과사전 그레이터맨체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