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대한민국 헌법
대한민국 헌법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각종 사용법과 규칙이 어려울 수 있지만, 차근차근 익히며 과감하게 기여하세요. 아래에 나열된 문서들이 위키백과 사용 및 편집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 | 길라잡이 위키백과에 대한 기본적인 길라잡이입니다. | ![]() | 사랑방 위키백과의 다른 사용자와 의견을 교환하는 장소! |
![]() | 정책과 지침 위키백과의 정책은? 편집하시기 전에 한번 읽어주세요! | ![]() | 사용자 모임 위키백과의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게시판 및 프로젝트가 모여 있습니다. |
![]() | 질문방 위키백과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내용에 대해 질문합니다. | ![]() | 지원 단체 위키백과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단체는? |
![]() ![]() | ![]() | ![]() ![]() ![]() | ![]() |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18년 4월 3일 (화) 18:27 (KST)
K리그1 문서의 잔류시계 부분에 관하여
[편집]우선, 위키백과의 편집에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K리그1 문서 편집과 관련하여 이견이 있는 것으로 보여 토론 문서에 글을 남깁니다. 이견을 보이는 부분은 잔류 시계 및 역대 구단별 기록 부문에서 3위 기록과 4위 기록을 삭제할 지 존속할 지입니다. 본래 3위 기록과 4위 기록을 굳이 표시한 것은 아시아에서 프로축구 시스템이 각국 리그의 상위3팀+FA컵 우승팀(구단의 자본력이 큰 영향을 행사하는 현대 프로축구의 경우 대개 리그 상위 3위팀이 FA컵도 우승)이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획득하며, 이는 우승 및 준우승 못지않게 상금 규모, 참가가 구단에 가져다주는 위신 등을 감안했을 때 구단의 한 시즌을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었습니다. 당장 K리그1만 하더라도 현행 리그 우승 상금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여 조별 리그부터 16강까지 전승한 경우의 승리 수당과 맞먹는 규모이며, FA컵 우승 상금에 비하면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여부가 갖는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록 4위를 기록한 거 자체가 출전권에 대한 정보를 담보하지는 못하지만 전술한 FA컵 우승과 상위 3팀의 상관성 및 출전권이 4위까지 일괄적으로 주어졌던 적이 있었던 점 등을 감안하여 3위 기록과 4위 기록을 포함한 것입니다. 혹시 이러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3위 기록과 4위 기록을 굳이 지워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밝혀주시길 바라며, 별도의 이유가 없다면 종전의 상태로 편집을 되돌리도록 하겠습니다. --Propheceer (토론) 2018년 5월 1일 (화) 15:46 (KST)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횟수 편집에 관하여
[편집]편집 역사에서 사용자가 편집의 근거로 사용한 미디어 배포용 자료를 확인했습니다만 그것만으로 승계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단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포항 스틸러스와 같이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과 개편 후 AFC 챔피언스리그 모두에서 우승한 구단을 상대로 AFC는 3 Asian titles, 3 continental titles 또는 3 times Asian champions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양 대회의 관계가 동급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올려주신 자료의 에스테글랄 FC,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부분에서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기록을 명시하면서 특히 가령 수원의 경우 Asian titles라는 표현을 쓰는 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C에서 대회 개편에 의미를 둬서 마치 기록을 분리하는 뉘앙스를 주는 배포 자료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가령 이번 시즌 ACL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기재하는 영상물에서는 ACL로고 하단에 10 Years of Club Glory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이 기준으로라면 ACL도 참가팀이 32개로 확장개편되어 현행 포맷이 확립된 2009시즌 이후와 이전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미디어상에서 개편 이후를 기념하기 위해 기록을 분리하는 것과, 실재로 우승 기록을 기재하는 백과사전이 기재해야 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령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관련된 문서들의 경우에도 풋볼 리그 1에서 우승한 것과 프리미어리그 우승한 것을 어떻게 기재하는 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사 더 양보하더라도, 기록을 일방으로 삭제할 계획이시라면 종전의 기록들에 대한 문서를 먼저 만들고 그렇게 하는 것이 이전의 편집자들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에 앞서 그런 식의 편집의 당위성을 해당 문서의 토론 문서에서 밝히는 것이 먼저고요.
결과적으로, 대안은 모색할 수 있습니다. 가령,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과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을 모두 기재하되 전자에서 우승한 기록들만 이탤릭체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도 있겠습니다. 단지 전과 같이 일방적인 문서 편집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Propheceer (토론) 2018년 10월 5일 (금) 19:09 (KST)
일단 Glory는 근거가 되지 못합니다 공식 가이드북에서 분명히 2009년 이전 2003년 이후도 ACL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걸로 반박은 끝이고요
AFC는 3 Asian titles, 3 continental titles 또는 3 times Asian champions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양 대회의 관계가 동급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이건 분명히 맞습니다
허나 그게 ACL의 우승과는 분명히 구분하고 있고 그건 공식 가이드북에 하단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 문서가 아시아 우승입니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입니까? 동급이라고 해도 구분하고 있고 ACL이 아닌 이상 그게 들어가는건 반대입니다
공식 기록 기준대로 가야죠
그게 같은대회라고 간주했다면 각 팀 설명란에 2002년 이전 참가도 적혀있어야하는데 분명히 2003년 이후만 적혀 있습니다
'동급'이지만 구분한다는 소리죠
하나 제안하자면 제 방식대로 다 날리되(2002년 이전은 ACL이 아닌게 명백하니까요) 다만 아시아 클럽 우승팀 문서를 따로 만들던가해서 합산은 거기에 적도록 하죠
그리고 10 Years of Club Glory 이거 문장 그대로 10년 클럽 영광이지 ACL이 10년 됐다는 소리는 어디에도 없습니다만???
그리고 일방적인 문서편집이라고 함부로 매도하지 마십쇼 근거제시 분명히 했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18년 10월 6일 (토) 11:09 (KST)
- 우선 제기한 토론에 대답해주신 점 감사합니다. 분명히 하고 넘어가고 싶은 것은, 제가 특정 방향의 편집"만"을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용자께서 제기한 문제들이 충분히 일리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몇 가지 기술적인 부분들에 대한 편집방향의 총의를 해당 문서의 토론 문서에서 내지는 제가 기재한 위키프로젝트토론:축구에서 모을 필요가 우선임을 지적하고자 합니다. 문제 제기한 것처럼 이미 이와 유사한 경우의 문제로 프리미어리그와 풋볼 리그 1부의 기록을 어떻게 기재할 것인지 참고할 수 있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프리미어리그와 풋볼 리그 1부에 대한 별도의 문서를 작성했지만 프리미어리그에서 우승 기록 등 역대 기록의 기재에 대해서는 풋볼 리그 1부의 기록을 누적해서 적는 총의가 있습니다. 만약 이걸 고쳐야 한다면 역대 잉글랜드 최상위 리그에 참가한 모든 구단들의 기록들을 수정할 필요가 생기겠죠. AFC 챔피언스리그 문서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전신 대회에 대해 별도의 문서를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항목으로 서술하는 것 자체에 대해서는 저도 이의를 제기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그 경우에도 AFC 챔피언스리그에 우승 횟수를 누적으로 기재할 지 아닐 지는 별개의 문제이며, 이런 기술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는 것입니다. 더불어, 만약 제안하신 내용대로 편집하는 것을 선호하신다면, AFC 챔피언스리그에 일방적인 편집을 하기 전에 대안 문서들(사용자의 논리에 따르면 아시아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와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역시 각각 별개의 문서로 제작되어야 합니다.)을 작성하시고 문제제기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전신 대회의 기록들을 나몰라라 하시고 일방적으로 삭제해 버리시면 어떻게 별개의 문서를 제작할 수 있겠습니까? 이런 부분들을 생각하고 총의를 모아서 편집을 했으면 하는 바입니다. 또한 인식하셔야 할 부분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문서의 전 세계 어느 언어 위키백과에서도 전신대회와 현행대회를 별개의 문서로 기록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따라서 별개의 문서를 창설하실 경우 위키링크를 어떻게 맞출 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습니다. --Propheceer (토론) 2018년 10월 6일 (토) 21:24 (KST)
외국어 위키가 무슨 근거가 되신다고 생각하시는지?
그럼 프리미어리그처럼 바꾸면 되겠네요
아챔은 아챔만 남기고 새 문서는 아시아 챔피언 이런식으로 삭제를 먼저하면 안되는 법이라도 있습니까? 대안을 제시해야만 삭제가능한건 아닙니다 저는 공식대로 할 것이며 새 문서는 추후에 만들도록 하죠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18년 10월 6일 (토) 23:16 (KST)
- 1)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AFC 챔피언스리그의 관계
- 2) 유러피언컵과 UEFA 챔피언스리그의 관계
- 3) 잉글리시 풋볼리그 1부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관계
- 이 3개는 모두 동일한 관계입니다. 최상위 대회라는 위상과 상징성은 후신 대회가 전신 대회를 계승하고, 그에 따라 기록집계 방식도 2가지가 존재합니다. 1번째 기록집계 방식은 전신대회의 기록과 후신대회 방식을 합쳐서 All time record로 기록하는 것이죠. 그리고 2번째 기록집계 방식은 개편 이후의 후신 대회만을 기준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통산 기록', 'UEFA 챔피언스리그 통산 기록',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통산 기록'으로 집계하는 것입니다.
- 그런데 AFC와 UEFA, EPL 사무국은 물론이고 한국 언론과 해외언론 모두 2가지 기록 집계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전신대회를 계승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 집계 방식이 2가지일 뿐입니다.
- 그렇기에 AFC 챔피언스리그 문서에는 개편 이후의 기록들만을 명시하더라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문구를 추가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축구 역사에 생소한 축구팬들이 AFC 챔피언스리그 문서를 보고 AFC 챔피언스리그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을 무관한 대회로 착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KleagueHistory (토론) 2021년 11월 1일 (월) 15:20 (KST)
- 개편 이후의 기록만을 따로 집계하는 것이 잘못됐다고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 다만, AFC에서 개편 이전의 기록을 합산한 방식도 같이 사용하고 있는 만큼, 최소한 두 대회의 역사와 정통성이 계승된다는 단서는 추가해야한다는 것입니다. KleagueHistory (토론) 2021년 11월 1일 (월) 15:23 (KST)
--동휘야꼬추스긴하냐 (토론) 2019년 2월 22일 (금) 23:08 (KST)
주의
[편집] 대한민국 헌법님, 잠시 주목해 주세요. 대한민국 헌법님이 201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 훼손이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길라잡이나 질문방 등을 참고하시면 작성하신 내용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더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이 계속될 경우 관리자에 의해 편집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좋은 편집을 부탁드립니다. --일반위키러 (토론) 2019년 4월 4일 (목) 00:44 (KST)
전철 노선
[편집]되돌리기 하지 마시고, 원본 사용자들하고 이야기를 하세요. 왜 자기 식대로 자꾸 되돌리기 하시나요? Yelena Belova (토론) 2019년 12월 31일 (화) 15:10 (KST)
지명과 선거 문서
[편집]지명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존중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선거 문서의 경우 확정되지 않은 것을 확정된 것처럼 기술하셨기에 되돌렸습니다. --FreeHKWP (토론) 2020년 3월 4일 (수) 15:37 (KST)
'김병민' 문서 등의 역대 선거 결과 편집에 대해서
[편집]해당 문서에 하신 편집은 이전으로 되돌려졌습니다. 아직 실시되지 않은 선거는 그 결과가 없습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4월 3일 (금) 12:33 (KST)
'202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문서 편집에 대해서
[편집]편집 이유의 확인을 바랍니다. 어떠한 내용을 추가할 때에는 그 내용의 근거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출처를 밝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위키백과:출처 밝히기 등 참고.) 내용의 상세 및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출처를 찾아 각주로 추가했던 것으로, 이러한 출처를 삭제해야 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내용과 각주는 되살립니다. ※특수:차이/26149950 -- 메이 (토론) 2020년 4월 4일 (토) 22:27 (KST)
경고
[편집] 대한민국 헌법님, 편집을 멈추시고 이 글을 읽어 주십시오. 대한민국 헌법님께서 위키백과에서 편집하신 내용은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에 맞지 않아, 편집하시기 전으로 되돌렸습니다.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지키는 기본적인 사항은 정책과 지침 문서를 참고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다시 편집을 시도하시기 전에 다른 사용자와 먼저 토론을 하시기를 권고합니다. 왜 이러한 글이 붙었는지 의문이시거나 자신이 관련 정책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신다면, 이 글 아래나 해당 문서의 토론란, 아니면 위키백과 오픈카톡방에 무슨 일인지, 본인이 왜 그러한 편집을 하셨는지 의견을 먼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이 안내에도 불구하고 같은 편집이 반복되는 경우, 차단 정책에 따라 위키백과의 관리자가 귀하를 차단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지금 하고 있는 반달 행위를 즉각 중지하지 않고 있어 차단 요청했음.
역으로 23.227.142.146님께서 다른 관리자분한테 위키백과 차단 당하셨습니다--Kth696586 (토론) 2020년 4월 10일 (금) 07:31 (KST)
선거 관련 문서
[편집]특정 부분에 대해 내용을 삭제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복구하였습니다. 토론을 거치고 편집해주시기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0년 4월 12일 (일) 01:01 (KST)
틀:정당색/대한민국 편집을 되돌린 이유가 있나요?
[편집]틀:정당색/대한민국의 편집을 되돌린 이유가 있나요?
모듈:HSV는 공식 정당색 중 제2의 대표색이 없을 경우, 시안성을 위해 임의 적용된 것입니다.
더불어 민주당 로고 안내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의 로고 색상규정은 #008ccd #00a0e2 #8ac452 #00aa7d #008ccd #008ccd으로 총 6개이고
그 중 색1은 008ccd이나 화면 출력상의 이유로 004EA2로 정한것 같은데 색2에 굳이 모듈:HSV를 적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Darkbosal (토론) 2020년 4월 17일 (금) 07:10 (KST)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선거 문서 관련
[편집]안녕하세요? 우선 이 문서에 여러 가지 발전적인 편집을 해주신 점은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그런데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이 한때나마 독자 교섭단체 구성을 고려했었다는 내용의 서술을 통째로 지우신 것을 발견하고 많이 놀랐습니다. 비록 결론적으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서술의 필요성을 못 느끼셔서 그런 건가요? 그렇다 해도 이런 논의가 있었다는 사실 써두면 이때 나중의 사람들이 이때 당시의 정국 분위기를 파악하는데 매우 큰 도움을 주는 정보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해서 해당 문단을 원상 복구하기를 저는 희망하는데,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알고 싶어 이렇게 연락을 드립니다. Philip J Kim (토론) 2020년 5월 25일 (월) 10:50 (KST)
굳이 필요한 내용인가 싶어서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5월 25일 (월) 17:18 (KST)
그렇군요.
그래도 저는 필요한 내용이라 생각 되는데, 혹시 도로 써넣어도 될까요? Philip J Kim (토론) 2020년 5월 26일 (화) 01:41 (KST)
"국회 전/후반기 의장단"보다 "전/후반기 국회의장단"이 더 좋다고 생각되는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편집]저는 전자가 더 좋은 것 같습니다만...
Philip J Kim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2:26 (KST)
제헌 국회의장단이나 초대 참의원의장단과의 통일성을 위해서입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2:28 (KST)
그렇군요. 그럼 두 문서를 각각 대한민국 제헌 국회 의장단 선거, 대한민국 참의원 초대 의장단 선거로 바꾸면 어떨까요?
Philip J Kim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2:32 (KST)
그럼 전자가 더 좋은 이유는 뭐죠?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2:33 (KST)
어감도 더 편하고 자연스럽고, 각 의장단 선거와 해당 대수 국회의 연관성도 더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Philip J Kim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2:39 (KST)
사실 어감은 후자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국회의장단으로 깔끔하게 떨어지죠.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2:52 (KST)
국회의장단이 의장단보다 더 자연스러운가요?
제 생각엔 의장단이 짧기도 더 짧아서 말하기도 편하고, 대수와 국회 사이에 다른 단어를 집어넣는 건 어색한 것 같아서요.
Philip J Kim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3:11 (KST)
네 의장단보다는 국회의장단이 더 자연스럽습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6월 5일 (금) 14:53 (KST)
대한민국 헌법님께
[편집]다른분에게 경고를 받으셨는데 불구하고 임의로 문서 변경하신것 같습니다. 왜 문서를 다른 사용자하고 이야기안하고 돌리셨는지 궁금합니다--Kth696586 (토론) 2020년 8월 23일 (일) 12:52 (KST) 도대체 없는 시설을 없앤 것이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8월 23일 (일) 15:40 (KST)
틀: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편집에 관하여
[편집]UEFA 챔피언스리그가 1955년부터 1992년까지는 유러피언컵, 1992년부터 현재까지는 UEFA 챔피언스리그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는데 대한민국 헌법님께서 해당 편집을 되돌렸습니다.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0년 8월 25일 (화) 10:16 (KST)
어차피 똑같은 대회 아닙니까?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8월 25일 (화) 10:17 (KST)
- 똑같은 대회라도 서로 다른 이름으로 개최되었기에 분리해야 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0년 8월 25일 (화) 10:19 (KST)
그건 본문에서 설명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8월 25일 (화) 10:20 (KST)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문서 관련
[편집]갑자기 문서 수정하셔서 위키프로젝트토론:철도#철도 노선 공용 관련 참고해주세요 --Kth696586 (토론) 2020년 9월 14일 (월) 19:31 (KST)
아 저게 토론이 있었군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9월 14일 (월) 20:24 (KST)
축구단 문서 틀
[편집]근거없이 다른 문서 봐도 불필요 이런 식의 개인적 취향으로 축구단 문서의 특정 내용을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싶으면 토론을 개설하시고 총의 얻은 후에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헌범님한테는 불필요한 정보일지 몰라도 다른 사람한테는 필요한 정보일 수 있습니다.
Footwiks (토론) 2020년 9월 18일 (금) 18:21 (KST)
불필요한 것이 아니라 통일인데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9월 18일 (금) 20:12 (KST)
- 축구단 문서마다 삭제시켜서 일괄적으로 통일시킬려면 당연히 토론 열고 해야죠.
위키백과 문서가 왜 대한민국 헌법님 주관에 따른 문서 포맷으로 통일되어야 합니까? 필요한지 안 필요한지는 토론으로 결정나면 그때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덧붙여 대한민국 헌법님이 만든 FA컵과 K리그 우승팀 틀은 그러면 왜 필요한가요? K리그 문서랑 FA컵에 전 구단 우승 내역 다 나와 있고 축구단 문서 보면 그 구단이 우승한 내역 다 나와 있는데
결국 자기가 만든 틀만 끼우고 남이 만든 틀은 삭제해서 대한민국 헌법님 취향대로 문서 포맷 통일시키고 싶으신 것 같은데 다시 말씀드리지만 토론으로 총의얻고서 하시기 바랍니다. Footwiks (토론) 2020년 9월 20일 (일) 23:43 (KST)
주의
[편집]수도권전철 노선 위키백과에 미개통(건설중포함) 대한 간섭을 절대 하지 마세요.
선거 결과를 지우시는 이유가 뭔가요?
[편집]이렇게 멀쩡히 활동하고 계시는 분이 문서 훼손을 할 리는 없고.. 선거 결과를 왜 지우고 계신가요? --Ddxfx 3기 (사토 | 핑 달아주세요) 2020년 10월 27일 (화) 17:01 (KST)
단락이 주요 선거 결과라서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0월 27일 (화) 17:32 (KST)
경고
[편집]대한민국 헌법님 지하철 위키백과에 미개통(건설중포함) 대한 간섭을 제발 하지 마세요.
그렇지 않으면 차단 조치를 할꺼야요.--1.238.69.184 (토론) 2020년 10월 28일 (수) 11:13 (KST)
미개통역 문서 시 표제어 기준 참고해 주세요
[편집]위키프로젝트토론:철도#미개통_역_문서_생성_시_표제어_기준--Kth696586 (토론) 2020년 10월 30일 (금) 15:30 (KST)
- 2011년: 프토:철도/보존10#미개통역 문서 생성문제, 프토:철도/보존10#최근의 문제점
- 2012년: 프토:철도/보존12#계획/건설 중인 철도 관련 문서
- 2017년: 프토:철도/보존16#미개통역 문서의 생성 범위
--Kth696586 (토론) 2020년 10월 30일 (금) 15:30 (KST)
딱히 문제될 만한 건 없었는데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0월 30일 (금) 15:31 (KST)
당신은 영구차단 조치를 할꺼야요.
[편집]지하철 위키백과에 간섭을 자주 했습니다.
그렇면 영구차단을 무조건 합니다.--1.238.69.184 (토론) 2020년 10월 31일 (토) 00:09 (KST)
...IP사용자가 .. 쩝 종각역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15:27 (KST)
개통 2개월 남겨둔 역
[편집]송도달빛축제공원역이 2020년 12월 12일날 개통하니 모르고 지우신것 아닌가요?--Kth696586 (토론) 2020년 10월 31일 (토) 13:59 (KST)
아 그 부분 말고도 거의 전부에 대해서 지적하던데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0월 31일 (토) 14:00 (KST)
들여쓰기 안내
[편집] 반갑습니다, 대한민국 헌법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참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른 사용자의 질문, 답글에 답글을 달 때에는 들여쓰기를 해주세요. 자신의 발언 앞에
:
를 사용하면 들여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을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제주 학생 (토론) 2020년 10월 31일 (토) 15:18 (KST)
무분별한 문서 훼손의 유형입니다
[편집]칼1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차단 기록 · 편집 필터 기록] · SUL · 차단) -> 사용자:칼1
보민개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차단 기록 · 편집 필터 기록] · SUL · 차단)
- 경고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중계정 만들어 고의적이고 지속적인 문서훼손 사용자입니다. 말하지 않고 무시하고 되돌리는게 최선입니다--Kth696586 (토론) 2020년 11월 1일 (일) 12:31 (KST)
엄격한 경고
[편집]대한민국 헌법님 위키백과(도시철도,일반철도,고속철도 포함)에 반복적으로 문서훼손을 자주 했습니다.
그렇면 무기한차단 신고를 할꺼야요.--1.238.69.184 (토론) 2020년 11월 10일 (화) 23:36 (KST)
당신은 지하철 미개통 대한 고집을 왜 자주 피워요?
[편집]당신은 지하철 문서에 문서훼손을 자주 하고 고집을 자주 피워요.
그렇면 차단요청을 할꺼야요. 서울삼성학교 (토론) 2020년 11월 11일 (수) 13:13 (KST)
대한민국 헌법님은 인신공격,욕설,문서훼손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습니다.
[편집]대한민국 헌법님은 인신공격,욕설,문서훼손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습니다.--1.238.69.184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08 (KST)
제가 언제 욕을 했죠? 근거 있습니까?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34 (KST)
지금까지 지하철 미개통 접속 문서를 계속 지우면 인신공격,욕설이 맞아요.--1.238.69.184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39 (KST)
무리한 주장하지 마시고 제가 인신공격과 욕설을 했다는 근거를 다시 제시해주십시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40 (KST)[]
지금까지 지하철 미개통 접속 문서를 반복적으로 지우면 인신공격,욕설이 같네요.--1.238.69.184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42 (KST)
욕설이라고 함은 상대방을 모욕하는 것입니다. 저는 단 한 번도 님을 모욕한 적이 없습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44 (KST)
님은 저 비롯한 사용자들한테 지하철 미개통 대한 모욕을 반복적으로 했습니다.--1.238.69.184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46 (KST)
미개통 노선을 삭제하는 것이 당신에 대한 모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제대로된 근거를 제시해주세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54 (KST)
아니 무조건 상관이 있습니다.--1.238.69.184 (토론) 2020년 11월 14일 (토) 19:58 (KST)
위키프로젝트:철도/문서의 성립 조건 문서 참고해 주세요--Kth696586 (토론) 2020년 11월 16일 (월) 00:12 (KST)
이분 토론 문서도 함부로 지우시는 분입니다 토론이 안되는 분입니다.
조정훈 뭡니까?
[편집]여기는 나무위키가 아닙니다.저급한 말은 삼가주시길 바랍니다. 진보당 (토론) 2020년 11월 16일 (월) 23:55 (KST) 제가 무슨 저급한 말을 했습니까???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17일 (화) 00:29 (KST)
조정훈에 쓰레기 정책 어쩌네 썼잖아요 진보당 (토론) 2020년 11월 17일 (화) 16:05 (KST)
그런말은 좀 순화하거나 과격한 발언 추가는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진보당 (토론) 2020년 11월 17일 (화) 16:06 (KST)
제가 언제 그런 걸 썼습니까??????????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17일 (화) 16:10 (KST)
진보당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차단 기록 · 편집 필터 기록] · SUL · 차단) 다중계정 및 문서훼손 위반으로 차단되었네요--Kth696586 (토론) 2020년 11월 18일 (수) 14:00 (KST)
대한민국 헌법님께
[편집]국토교통부고시 제 2020-822호--Kth696586 (토론) 2020년 11월 18일 (수) 20:15 (KST)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구 선거 결과에 대하여
[편집]당신은 왜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구 선거 득표수 결과표를 삭제했습니까?의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구 선거에서 득표수 결과는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삭제한 이유를 알려주세요.--126.40.227.158 (토론) 2020년 11월 24일 (화) 10:39 (KST)
지역구 득표 수 결과가 1인 1표제 지역구 득표 수에따라 비례에 영향을 주는 시절이면 몰라도 1인 2표제 시절인 현재는 의미가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0년 11월 24일 (화) 10:40 (KST)
지역구(地域區)의 의석수는 전체 의석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선거 결과를 크게 좌우합니다.지역구 득표수를 무시하는 듯한 자세는 잘못된 것입니다.--126.40.227.158 (토론) 2020년 11월 25일 (수) 22:50 (KST)
AFC 챔피언스리그 각국 언어 문서 수정
[편집]https://es.wikipedia.org/wiki/Liga_de_Campeones_de_la_AFC
https://fr.wikipedia.org/wiki/Ligue_des_champions_de_l%27AFC
https://id.wikipedia.org/wiki/Liga_Champions_AFC
대한민국헌법님 명령에 따라 AFC 챔피언스리그 각국 언어 문서의 우승기록를 한국어 위키 기준으로 맞췄습니다 이를 신고합니다. 역시 2002년 이전의 역사는 인정하지 말아야겠죠?
되돌릴 때는 요약을 남겨주세요.
[편집]제 입장에서는 무슨 의도로 그러는지도 모르겠는데 번번이 되돌려지는 것 보면 그냥 독점해서 편집하겠다는 것으로 밖에 안 보이네요. D6283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15:05 (KST)
아니 근데 말씀하신대로 편집했잖습니까...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15:06 (KST) 어쨌거나 말 없이 되돌리기한 부분은 죄송합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5월 5일 (수) 15:22 (KST)
- 문서훼손, 인신공격 목적, 장난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가 많이 늘어나서 자신이 작성한 글도 훼손 당하는일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저도 되돌릴때에는 요약을 남겨야겠습니다.--Kth696586 (토론) 2021년 6월 4일 (금) 23:53 (KST)
편집분쟁 유발 관련
[편집]대한민국의 축구 최상위리그 우승 구단에서 제가 편집한 버전은 K리그 홈페이지 등에서 공식적으로 1983~2012와 2013~현재를 구분해서 표기하므로 역대 우승팀 역시 시기를 구분해서 표기를 한 것이고 본질적으로 대한민국 헌법님 문서와 틀린 점은 없습니다.
제가 만든 버전 다시한번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수원이 0회 우승으로 되어 있지 않으며 우승 기록 승계되어서 정확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덧붙여 위키백과 특정 국가 역대 우승 기록 문서의 경우 의미있는 리그명칭 변경이 있는 경우 구분해서 표기하는 것이 전통으로 아래 문서 참고하시기 바라며
en:List of Scottish football champions 그 외에 Propheceer님 등등과 협업하에 만들어진 내용이니 존중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외람되지만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님 편집하신 것 보면 사실 딱히 문제될 내용도 아닌데 코멘트도 없고 토론 절차도 거치지 않고 대량 삭제하시는 경우가 많더군요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그러다 블록 당하신 것 같으신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딱히 오류 내용 등등 아니면 먼저 편집하신 분의 기여를 존중해 주셔서 편집분쟁을 유발하지 않으시길 부탁드립니다.
정말 이 문서에서 삭제되어야 할 내용이라고 확신이 드시는 내용이라면 먼저 토론을 발제하시기 바랍니다. Footwiks (토론) 2021년 6월 4일 (금) 23:49 (KST)
대한민국 헌법님께
[편집]수도권 전철 노선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소사 ~ 원종 구간, 4호선 당고개 ~ 진접 구간 반영--Kth696586 (토론) 2021년 7월 18일 (일) 17:08 (KST)
단순 노선도 표기만으로 결정하자는 것은 저는 반대입니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개통 1달 전부터 표기하자 이런 식으로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7월 18일 (일) 20:37 (KST)
저 2021년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문서를 만든 본인입니다.
[편집]문서의 편집 기록좀 봐주십시요. 현재 계정을 분실당해서 이 계정을 쓰고 있습니다. --Killer F (토론) 2021년 7월 19일 (월) 01:00 (KST)
여기서 토론 보시죠.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7월 19일 (월) 01:35 (KST)
- @대한민국 헌법: 우선 원인의 '그 문단'이 왜 없어져야하는지 말씀해주십시요. --Killer F (토론) 2021년 7월 19일 (월) 11:56 (KST)
- 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우리나라에서는 단순 다수 대표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진보와 보수 진영의 합계라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모든 정당을 진보와 보수를 그렇게 무 자르듯이 전부 구분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정치는 다른 외국의 정치와 크게 다른 한 가지가 존재하는데, 바로 이념에 따른 정치가 매우 약합니다. 이념보다는 사람 중심, 지역 중심이죠. 이는 유권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 유권자는 이념보다는 사람, 지역에 따른 투표를 합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진영의 합계라는 통계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7월 21일 (수) 14:25 (KST)
네이버카페 네이버 회원공개로 카페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미리 승강장이 지어져 있는것을 네이버 카페를 통해 확인했습니다...참고 미개통으로 했었으면 좋겠는데요.--Striker9498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2:47 (KST)
- 잘 모르시겠으면 미개통 역 문서 생성 시 표제어 기준 문서를 보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Striker9498 (토론) 2021년 7월 23일 (금) 12:52 (KST)
예)화살표---->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Striker9498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21:36 (KST)
헌법님께
[편집]의정부 집단구타 사망사건 3명 고등학생 피의자 중 송현고등학교를 다닌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해당 학교에 사건사고 작성되어야 할지 의견내봅니다 --Striker9498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21:55 (KST)
저는 이런 쪽에 기여를 안 해서요...ㅎㅎ대한민국 헌법 (토론)
위키백과 야구문서 관련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
[편집]위키백과 야구선수 관련 문서의 발전을 위해 총 4가지의 사안을 위키프로젝트토론:야구에 올렸습니다. 바쁘시겠지만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997au (토론) 2021년 8월 19일 (목) 13:52 (KST)
시간이 있을때 리모델링 된 역 적용해야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님
[편집]대한민국 헌법님 귀하가 편집하신 kt위즈 문서에서 훼손이 발견되었습니다. 훼손은 복구했으나 편집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kt 위즈는 팀명에 소문자로 쳐야합니다. 앞으로 유의해서 편집해 주세요 Shdhdibot (토론) 2021년 8월 26일 (목) 21:48 (KST)
https://www.koreabaseball.com/About/Etc/TeamInfo.aspx KBO 기준으로 대문자 맞아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8월 26일 (목) 21:51 (KST)
kt위즈 문서에 들어가 보시면 팀 컬러도 소문자로 입력해야 나옵니다. 그리고 구단과 모기업에서는 소문자로 씁니다. Shdhdi (토론) 2021년 9월 4일 (토) 08:36 (KST)
어이가 없군요.
[편집]님께서 주장하시는 링크의 영어 위키피디아 원본을 보니 "선거는 해산 이후 40일 이내에 치루어져야한다" 이런 내용이던데 이런 내용을 혹시 반박용으로 거셨는지 의문이 듭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일본 공직선거법 링크까지 걸려진 내용도 있던데 혹시 읽어보셨나요? 대충 "중의원의 임기가 4년인 경우 임기가 끝마쳐지는 날 30일 이내에 선거를 치루어야 한다"라고 되어있던데 그러면 임기가 끝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중의원 총선거를 치룬다는게 맞다는 소리인데 왜 제대로 찾아보지도 않으셔놓고는 반박 링크까지 잘못 내거시며 반박을 하셨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심지어 인터넷 신조어까지 쓰시며 말이죠. --Killer F (토론) 2021년 8월 27일 (금) 23:54 (KST)
아니 링크 걸었는데 뭐가 잘못된 링크인가요;; 그리고 인터넷 신조어는 본인이 먼저 쓰시고 뭔 소리신지;;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8월 28일 (토) 00:16 (KST)
When a prime minister has no plan to dissolve the lower house before its members' term expires, an election needs to be held within 30 days before the expiry date under the public election law. If the expiration of the term comes during or soon after a parliament session, an election must be held in 24 to 30 days after the session closes.
Given that an election is typically held on Sunday, a possible polling date would be Sept. 26 at the earliest and Nov. 14 at the latest.
If the lower house is dissolved, an election must be held within 40 days of the dissolution. The chamber's dissolution on the last day of the current four-year term on Oct. 21 could push back the election to Nov. 28 at the latest. 참고로 교도통신 기사 원문입니다. 링크 접속이 다시 해도 안 된다면 참고하시길.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8월 28일 (토) 00:21 (KST)
- @대한민국 헌법: 혹시 제 말씀 다 읽어보셨고 또 원문 번역도 해보셨나요? 일단 일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거일을 공고할 때까지 10월 22일 혹은 그 이전으로 고치겠습니다. 그리고 그 위키가 인터넷 신조어라니... 어이가 없네요. --Killer F (토론) 2021년 8월 28일 (토) 00:39 (KST)
아니 다른 링크 드려요? 법률적으로 11월 28일까지 선거일 가능합니다. 아니 그러면 제가 무슨 인터넷 신조어를 썼다는 건데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8월 28일 (토) 00:48 (KST)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토론 참가 제안
[편집]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의견에 대한 동의를 얻고자 토론 참가를 제안합니다. 양해 구합니다. --Killer F (토론) 2021년 10월 4일 (월) 20:07 (KST)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편집 관련
[편집]안녕하세요, 편집 취소 관련해서 여쭙고자 합니다. 대선기획단이 발족했다는 기사를 보고 원내정당이길래 추가를 했는데, 정당의 본격적인 경선이 시작되어야 정보상자에 정당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인지요. -- Apzp79 (토론) 2021년 10월 11일 (월) 19:07 (KST) 저는 그게 맞다고 생각을 해서요. 일단 대선에 참가한다는 선언 정도는 나와야 추가 가능한 거 아닐까요?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0월 11일 (월) 19:08 (KST) 급할 거 없으니, 그러도록 합시다. --Apzp79 (토론) 2021년 10월 11일 (월) 20:52 (KST)
- 안철수 출마 선언해서 추가했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1월 1일 (월) 17:23 (KST)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1이 열립니다.
[편집]대한민국 헌법님 안녕하세요. 11월 6일 토요일 오후에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1이 열립니다.
위키컨퍼런스는 위키백과를 비롯한 다양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활동 결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커뮤니티 행사입니다. 올해 컨퍼런스의 주제는 "Back to the Basics: 기본으로 돌아가자"입니다.
위키에 대한 여러 주제에 대해서로 의견을 주고 받는 타운홀 미팅, 사용자들이 자신의 성과를 진행하는 발표, 위키의 새로운 기술적 변화를 다루는 위키마니아 2021 후속 리뷰까지 알찬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10월 27일 (수) 18:58 (KST)
경고
[편집] 대한민국 헌법님, 편집을 멈추시고 이 글을 읽어 주십시오. 대한민국 헌법님께서 2021-22년 UEFA 유로파리그 문서에서 편집하신 내용은 문서 훼손 정책에서 하지 말 것으로 언급하는 훼손 행위에 해당되기 때문에 편집하시기 전으로 되돌렸습니다.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지키는 기본적인 사항은 정책과 지침 문서를 참고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되돌려지기 전에 하셨던 편집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른 사용자와 먼저 토론을 하시기를 권고합니다. 왜 이러한 글이 붙었는지 의문이시거나 자신이 관련 정책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신다면, 이 글 아래나 해당 문서의 토론란, 아니면 위키백과 오픈카톡방에 무슨 일인지, 본인이 왜 그러한 편집을 하셨는지 의견을 먼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이 안내에도 불구하고 같은 편집이 반복되는 경우, 차단 정책에 따라 위키백과의 관리자가 귀하를 차단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Hajoon0102 토론 2021년 11월 4일 (목) 14:13 (KST)
- 알겠습니다. 순위 산정에 있어 근거가 없기 때문에 지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1월 4일 (목) 14:14 (KST)
현재 제 사칭 닉네임주의
[편집]제 사칭 닉네임조심하세요.지속적인 차단회피 및 인신공격합니다 Striker9498 (토론) 2021년 11월 15일 (월) 16:31 (KST)
저번에는 죄송했습니다.
[편집]제가 생각이 짧고 옳게 생각하지 않아 반성하지 않았던 거같습니다. 앞으로는 생각을 더욱 깊게하여 말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Killer F (토론) 2021년 11월 16일 (화) 17:51 (KST)
문서의 고의적 훼손 금지
[편집]공항, 항공 문서에 대한 귀하의 고의적 편집을 다수 포착하였습니다. 모든 편집은 무설명, 장난선 편집으로 간주되어 모두 불허, 이전조치하였습니다. 추가 훼손 포착시 관리자에 사용자의 이용 영구정지를 요청할 것이니 악의적 훼손, 편집을 금지바랍니다. ROK Aviation Doctor (토론)
아니 그거 각 공항 홈페이지 들어가서 현황 보고 현실 반영한 겁니다...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23:16 (KST)
항공문서에 대한 고의적, 지속적 훼손 중단
[편집] 계속 항공문서에 대해 지속적인 훼손행위를 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목록은 말 그래도 해당 지역을 운항하는 곳의 리스트입니다. 현실성 반영을 하고 싶으시다면 목록 상위에 '코로나19에 따라 운항이 비정상적이니 운항확인은 다음의 각주에서 확인하면 된다.' 같은 간단한 문장 삽입으로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는데 왜 계속 다른 사용자 분들이 하신 편집이나 출처를 무분별하게 삭제하고 자신의 편집이 다 정답이라는 방식으로 하시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토론 상위 3, 4, 5, 19, 26, 27, 33, 34, 41, 45번 토론에도 다른 사용자 분들께서도 귀 사용자가 자기주장만 주장하고 다른 사용자분들의 편집을 기만한다는 내용을 다수 확인하였습니다. 항공 전문가로서 또 오랫돈안 위키백과 항공 문건에 공헌한 사용자로서 말씀드립니다. 즉각 문서훼손을 중단하시기 바려며 추가 적발시, 관리자님께 직접 차단을 건의, 요청할 방침입니다. ROK Aviation Doctor (토론)
- "목록은 말 그래도 해당 지역을 운항하는 곳의 리스트입니다." 정확하게 잘 말하셨네요. 목록은 말 그대로 해당 지역을 운항하는 곳의 리스트가 되어야죠.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0일 (월) 23:26 (KST)
- 지금 사용자께서는 게임 생중계처럼 단순 목록을 실시간 운항하는 것처럼 훼손하고 계십니다. 의도는 이해합니다만 편집 시 상단에 참고사항의 성격을 가진 간단한 문장과 각주 기재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훼손하신 모든 문서들은 모두 불허, 복구조치를 시행하였습니다. 더이상의 문서 훼손은 불허합니다. ROK Aviation Doctor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09:20 (KST)
- 님이 무슨 권한으로 문서를 불허하니 마니 합니까?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1:36 (KST)
- 고의적이며 계획적인 문서 훼손은 사용자로서 용납할 수 없습니다. 귀 사용자의 편집은 다른 사용자분들의 편집을 기만, 자기의 편집만이 정답이니 건들지 마시오같은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KAC 근무자께서 편집에 대한 항의성 연락이 오기도 하였습니다. 관계부처 공직자로서 이 훼손은 국가 데이터 훼손과 다름이 없습니다. 항의하실 것이 있다면 직접 저희에게 컨택하시기 바랍니다. 그 전가지는 모든 편집은 계속해서 이전, 관리자분들께 무기한 제한조치를 요청할 방침입니다. ROK Aviation Doctor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2:36 (KST)
- 당신이 관계부처 공직자라는 근거부터 대시는 게 먼저 아닙니까? 그리고 공직자라고 할지라도 문서를 통제할 권한이 있는지도 의문인데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3:13 (KST)
- 고의적이며 계획적인 문서 훼손은 사용자로서 용납할 수 없습니다. 귀 사용자의 편집은 다른 사용자분들의 편집을 기만, 자기의 편집만이 정답이니 건들지 마시오같은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KAC 근무자께서 편집에 대한 항의성 연락이 오기도 하였습니다. 관계부처 공직자로서 이 훼손은 국가 데이터 훼손과 다름이 없습니다. 항의하실 것이 있다면 직접 저희에게 컨택하시기 바랍니다. 그 전가지는 모든 편집은 계속해서 이전, 관리자분들께 무기한 제한조치를 요청할 방침입니다. ROK Aviation Doctor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2:36 (KST)
- 님이 무슨 권한으로 문서를 불허하니 마니 합니까?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1:36 (KST)
대한민국 헌법님께
[편집]그냥 되돌리는것보다 교통카페 및 렛츠코레일 홈페이지 참고해주세요 간선철도 여객운임, 신설 조정 알림 --Striker9498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6:46 (KST)
- 어떤 부분 말씀하시는 건가요? 이번에 개정되는 정보로 편집했던 거 같은데 제가 실수했던 부분이 있었나요? 제가 실수했을 수도 있어서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6:48 (KST)
- 아 남창역이면 제가 놓친 듯합니다. 죄송합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6:49 (KST)
- 그리고 동해선, 중앙선 관련 폐역 지우신 관련해서 말씀드리자면 다른 사용자가 오해 할 수 있습니다. 위키프로젝트토론:철도 문서에 토론문서 올리시는게 어떨까요? --Striker9498 (토론) 2021년 12월 25일 (토) 20:05 (KST)
- 어떤 오해 말씀하시는 건가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1년 12월 26일 (일) 03:10 (KST)
해당 인근주민들의 반발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울주군민, 무궁화호 열차 남창역 무정차 결정에 반발 --Striker9498 (토론) 2021년 12월 26일 (일) 21:41 (KST)
'200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등의 문서 편집에 대해서
[편집]위 문서 등 일련의 재보궐선거 정보상자의 비고나 주요 결과 등은 되살립니다. 정보상자에 문서가 가리키는 대상이나 행사 등에 대한 주요한 정보를 싣는 것은, 정보상자의 목적에 부합합니다. 일반적인 재보궐 선거와 다른 특기할 만한 부분(비고)이나, 주요 정보(주요 결과) 등은 정보상자에서 다룰만한 내용입니다.
편집 요약(※위키백과:편집 요약)이나, 문서의 토론 문서 등에 편집의 이유를 밝혀적으면(=자신의 편집 의도를 밝혀적는다면), 다른 사용자에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참고를 바랍니다. 그리고 관련하여 '아무 이유 없이 내용을 부분적으로 혹은 모두 지우는 행위'는 문서 훼손 유형(※위키백과:문서 훼손)의 하나로 명시하고 있으며, 편집의 이유를 밝힐 것이 좋다는 것을 안내하고 있다는 점[(만일 수정을 위해서 지운다면, 편집 요약에 이유를 적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등도 이후 편집시 참고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메이 (토론) 2022년 1월 1일 (토) 01:05 (KST)
정당의 약칭에 대해서
[편집]대한민국 헌법 님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헌법 님은 자유한국당, 열린민주당 등 정당 문서에서 선관위에 등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여러 번 약칭을 지우셨는데요. 정당 자체에서 스스로 약칭이라고 인정한 경우나 널리 쓰이는 경우는 반드시 선관위에 등록되지 않아도 정보 상자에 약칭이 있다고 언급하는 것에 문제가 없습니다. 만약 선관위에 등록된 약칭만 정당 문서의 정보상자에 기록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편집을 하기 이전에 백:사랑방이나 프토:정치 등에서 우선 총의를 구해주세요. --데니스3 (토론) 2022년 1월 12일 (수) 21:28 (KST)
- 알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1월 13일 (목) 18:42 (KST)
대한민국 헌법님의 사칭 사용자
[편집]대한민국 교육법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차단 기록 · 편집 필터 기록] · SUL · 차단)
- 사칭 사용자 발견하여 사용자관리에 등록하였습니다--Striker9498 (토론) 2022년 1월 13일 (목) 18:39 (KST)
스포츠 리그 대회 테이블 넘버링 관련
[편집]의견 올려두었습니다.Footwiks (토론) 2022년 1월 19일 (수) 03:52 (KST)
안녕하세요. 창원 김해 밀양의 비음산터널에 관해 질문이 있어요.
[편집]이번 2월달에 추진중인 비음산터널 기사가 나왔는데요. 김해시와 밀양시는 논의가 되었고 창원시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나왔는데 문서를 생성하거나 틀에 추가하는 방향을 만들어야 할까요? --152.165.14.98 (토론) 2022년 2월 27일 (일) 23:36 (KST)
- 뭔지 모르겠네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2월 28일 (월) 00:37 (KST)
헌법님께
[편집]푸틴, 핵무기 준비태세 명령..서방제재 불만 어...러시아에서 핵무기 준비할려고 하는것 같습니다. --Striker9498 (토론) 2022년 2월 28일 (월) 00:45 (KST)
- 근데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2월 28일 (월) 01:30 (KST)
하나 이상의 유엔 회원국과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유엔 비회원국 삭제한 이유는?
[편집]삭제한 이유를 남겨줄래 ㅗㆍㅗ --ㅇㅡㅇ (토론) 2022년 2월 28일 (월) 13:55 (KST)
- 바로 위와 통합했는데요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2월 28일 (월) 14:05 (KST)
편집 되돌림과 관련해서
[편집]안녕하세요. 대한민국 헌법 님. 제가 만든 선거 결과 표를 되돌리신 것이 확인되어 문의드립니다. 그것들은 제가 힘들게 만든 것들이라 약간 아깝기도 하거니와 또 선생님께서 되돌리신 틀이 제 입장에서는 약간 마음에 들지 않는 면도 있습니다. 혹시 토론에서 합의된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있다면 이번 대선 것을 더 이상 만들지 않겠습니다. --WikiLee2 (토론) 2022년 3월 9일 14:22 (KST)
'틀:대한민국 국회 원내대표' 문서 편집에 대해서
[편집]- 틀:대한민국 국회 원내대표
- 특수:차이/32219412
법적으로 원내대표라는 직위는 교섭단체에만 적용됨. 그 외 원내대표는 단순 당내 직책.
- 특수:차이/32219412
위와 같이 편집 요약을 남기고 교섭단체 외의 정당에 대한 내용을 삭제하셨는데, 해당 내용이 지워져야 한다고 했을 때, 정작 원내대표 문서 본문에서는 다른 정당들의 원내대표를 표시하고 있으니 서로 상태가 다릅니다. 말씀하신 해당 법이 무슨 법인지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관련 법이라 여겨지는 국회법을 살펴보았으나, 말씀하신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메이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06 (KST)
- 국회법에 나오는 '교섭단체 대표의원' 이게 원내대표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31 (KST)
- 국회 홈페이지도 링크해드립니다. [1]
- 교섭단체대표의원은 통상 정당의 원내대표가 맡음.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31 (KST)
교섭단체대표의원은 통상 정당의 원내대표가 맡음.
국회법 상 법적 직위는 '정당의 원내대표'이지, '원내대표'가 아니지요. 해당 페이지 내용에서도, '정당의 원내대표'라고 말하고 있는 것을요. -- 메이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40 (KST)- "'정당의 원내대표'이지, '원내대표'가 아니지요." 지금 말장난 하시나요? 원내대표의 정의를 어떻게 둘 것인가 이건 이해가 가지만, 정당의 원내대표이지 원내대표가 아니다라는 건 억지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42 (KST)
- 아니 그럼 정당의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지 뭐가 다르죠????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44 (KST)
- 국회법 상 '교섭단체 대표의원'을 통상 정당의 원내대표가 맡는다는 점에 대한 부분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교섭단체 대표의원'을 통상 정당의 원내대표가 맡는 것이지, '교섭단체 대표의원=원내대표'가 아니지 않습니까? 즉 말씀하신 것처럼 정당의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지, 뭐가 달라서 '교섭단체 대표의원'만이 '원내대표'로 연결된다는 것인지요? -- 메이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51 (KST)
- ?? 다르지 않으니까 그렇게 연결되는 거죠 대한민국 헌법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53 (KST)
- 국회법 상 '교섭단체 대표의원'을 통상 정당의 원내대표가 맡는다는 점에 대한 부분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교섭단체 대표의원'을 통상 정당의 원내대표가 맡는 것이지, '교섭단체 대표의원=원내대표'가 아니지 않습니까? 즉 말씀하신 것처럼 정당의 원내대표가 원내대표지, 뭐가 달라서 '교섭단체 대표의원'만이 '원내대표'로 연결된다는 것인지요? -- 메이 (토론) 2022년 3월 15일 (화) 01:51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