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쇠오리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도요목 |
과: | 바다오리과 |
속: | 바다쇠오리속 |
종: | 뿔쇠오리 |
학명 | |
Synthliboramphus wumizusume | |
Temminck, 1835[1][2][3] | |
향명 | |
뿔쇠오리의 분포 지역 | |
![]() | |
보전상태 | |
![]()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 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됨 평가기관: 대한민국 환경부[1]
|
뿔쇠오리(학명: Synthliboramphus wumizusume 신틀리보람푸스 우미주수메[*])는 바다오리과에 속하는 새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서식한다.
분포
[편집]
비번식기에 북해도 토카치 근해나 키리탑푸 근해・라우스 근해에서 관찰된 예가 있으며, 번식기가 되면 남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
일본에서는 이시카와현・후쿠오카현・미야자키현・야마구치현・이즈반도・이즈제도・스루가만・이세만・와카사만 등에 번식예가 있다.[5] 최북단 번식지는 이시카와현 나나츠섬, 최남단 번식지는 이즈제도 토리시마섬, 최대 번식지는 미야자키현 비로섬이다.[3][7] 원래 오노하라섬이 가장 주요한 서식지였으나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연습장으로 사용되면서 떼죽음을 당했다.[8]:1513
대한민국에서는 전라남도 구굴도[3]가 최대 번식지이고[출처 필요](신안 구굴도 바닷새류 번식지), 그 밖에 제주도 마라도,[9] 경상북도 독도[10] 등지에 번식지가 있다.
형태
[편집]전장 24 - 25 센티미터.[5] 익장 12.3 센티미터.[3] 체중 164 그램.[3][4] 목의 검은 부위가 바다쇠오리보다 작다.[3][5] 부리는 바다쇠오리보다 길고 청회색이다.[5][4]
여름깃은 정수리 깃털이 3 - 5 센티미터까지 자라나 도가머리를 형성한다.[3][4][5] 이것이 일본 향명
생태
[편집]잠수해서 어류를 잡아먹는다.[4]
번식양식은 난생이다. 바다쇠오리속에 속하는 종들 가운데 본종만 난류해역에서 번식한다.[3] 12월에 번식지로 날아와 암초해안의 절벽이나 사면에 집단으로 둥지를 튼다.[7] 3 - 4월 초순에 바위틈이나 초원 사이 등지에 1주일 간격으로 알을 2회 나누어 낳는다.[3][7] 이틀마다 암수가 교대로 포란하며, 포란 기간은 1개월이다.[7] 새끼는 두 마리가 거의 동시에 부화하고,[7] 부화한지 1 - 2일만에 둥지를 벗어난다.[3] 새끼는 부모의 부름을 받아 절벽에서 굴러떨어져 바다로 향한다.
보존
[편집]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뿔쇠오리 | |
천연기념물 제450호 | |
지정일 | 2005년 3월 17일[11] |
소재지 | 전국 일원 |
천연기념물 뿔쇠오리 | 국가문화유산포털 |
설치류, 까마귀,[5] 야생화된 고양이[9] 등에 의한 포식으로 서식수가 감소하고 있다. 낚시 등 헤양레포츠를 즐기는 인간이 번식지인 무인도에 상륙하여 환경을 파괴하는 것 역시 서식지 감소의 요인이다.[3][7] 서식지에 인간이 투기한 쓰레기에 포식자들이 꾀이는 문제도 있다.[5] 자망에 혼획당하기도 한다.[2][3]
일본의 국가천연기념물이며, 많은 번식지가 국가조수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3]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 3월 17일 천연기념물 제450호로 지정되었다.[11]
각주
[편집]- ↑ 가 나 다 국립생물자원관. “뿔쇠오리”.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가 나 다 라 BirdLife International. 2018. Synthliboramphus wumizusume.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e.T22694899A132580332. https://doi.org/10.2305/IUCN.UK.2018-2.RLTS.T22694899A132580332.en. Downloaded on 27 August 2020.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小野宏治 「カンムリウミスズメ」『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4 日本の絶滅のおそれのある野生動物 2 鳥類』環境省自然環境局野生生物課希少種保全推進室編、株式会社ぎょうせい、2014年、200-201頁。
- ↑ 가 나 다 라 마 바 小野宏治 「カンムリウミスズメ」『日本動物大百科 3 鳥類I』日高敏隆監修、平凡社、1996年、128頁。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竹田伸一 「カンムリウミスズメ」『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1 ユーラシア、北アメリカ』小原秀雄・浦本昌紀・太田英利・松井正文編著、講談社、2000年、198頁。
- ↑ 가 나 安部直哉 『山溪名前図鑑 野鳥の名前』、山と溪谷社、2008年、63頁。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小野宏治 「カンムリウミスズメ」『日本動物大百科 3 鳥類I』日高敏隆監修、平凡社、1996年、126頁。
- ↑ Collar, N.J., 편집. (2001). 《Threatened Birds of Asia: The BirdLife International Red Data Book》 (PDF) A. BirdLife International. 1508–1516쪽. ISBN 0-946888-42-6.
- ↑ 가 나 김유진 (2019). 《마라도의 뿔쇠오리 개체군 보전을 위한 고양이의 서식 현황과 행동권 및 생존능력분석》 (농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 권영수・유정칠 (2005). “경상북도 독도에서 확인된 뿔쇠오리의 번식기록”. 《한국조류학회지》: 83-86. .
- ↑ 가 나 천연기념물 뿔쇠오리 | 국가문화유산포털,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외부 링크
[편집]![]()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