뵈메모래도마뱀붙이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도마뱀붙이과 |
속: | 모래도마뱀붙이속 |
종: | 뵈메모래도마뱀붙이 |
학명 | |
Tropiocolotes wolfgangboehmei | |
Wilms, Shobrak & Wagner, 2010 | |
보전상태 | |
|
뵈메모래도마뱀붙이(Tropiocolotes wolfgangboehmei)는 사우디아라비아 중부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류의 일종이다. 종명 wolfgangboehmei는 파충류학에 수많은 기여를 했으며 뵈메모래를 기술한 학자들의 멘토인 볼프강 뵈메(:en:Wolfgang Böhme (zoologist))를 기린 것이다.[2]
이 종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아트 투마마흐(Ath Thumamah)에서 포획된 모식표본(ZFMK(:en:Alexander Koenig Research Museum) 43668), 부모식표본(en:paratype)(ZFMK 87120)의 두 표본만이 관찰되었다.[2]
형태
[편집]뵈메모래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29.4 mm에 이르는 작은 도마뱀붙이류이다. 모래도마뱀붙이속과 발가락이 이렇다할 장식(:en:Biological ornament) 없이 살짝 휘어져 있으며, 밑부분은 가로로 길쭉한 박판(:en:Lamella (surface anatomy)) 한 줄로 덮여있고, 동공은 찢어져있고, 등비늘은 균일하다는 점을 공유한다. 턱앞비늘(postmental shield)은 두 쌍이 나있으며, 콧구멍과 맞닿은 비늘은 네 개이다.[2]
모래도마뱀붙이속의 다른 종과의 차이점은 두용골진(bicarinated), 혹은 세용골진(tricarinated) 비늘 때문에 등의 측면이 부드러우며, 두 번째 턱앞비늘쌍이 첫 번째보다 훨씬 작다는 것이다.[2]
각주
[편집]- ↑ Wilms, T. (2012). “Tropiocolotes wolfgangboehme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2018.1: e.T199847A2613828. doi:10.2305/IUCN.UK.2012.RLTS.T199847A2613828.en.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Wilms, Thomas M.; Wagner, Philipp; Shobrak, Mohammed (2010). “A new species of the genus Tropiocolotes from Central Saudi Arabia (Reptilia: Sauria: Gekkonidae)”. 《Bonn Zoological Bulletin》 57 (2): 275–280. ISSN 2190-7307.
![]() | 이 글은 파충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