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군 (대한민국)

봉산군 鳳山郡 | |
---|---|
군 | |
약칭 | 봉산 |
로마자 표기 | Bongsan-gun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황해도 |
행정 구역 | 13면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군수 | 이명걸 |
지리 | |
면적 | 805.13km2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09:00) |
인문 | |
공용어 | 한국어 |
지역어 | 황해 방언 |
봉산군(鳳山郡)은 대한민국 황해도에 있는 대한민국의 군이다. 이북5도위원회가 관리하는 명목상의 행정 구역이다. 황해도 중부에 위치한 군이다. 광복 당시에는 사리원읍을 포함한 1개 읍, 13개 면이었으나,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사리원시를 봉산군에서 분리된 행정 구역으로 인정하고 있다.[1] 이에 따라 봉산군의 면적은 805.13km2이며, 13개 면, 120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군청소재지는 동선면 조양리이다.
행정 구역
[편집]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구연면(龜淵面) | 59.74 | 8 | 관대(館垈) 탑촌(塔村) 구산(九山) 화간(花間) 신원(新院) 상동(上東) 송정(松亭) 구룡(九龍) |
기천면(岐川面) | 67.8 | 7 | 냉정(冷井) 기산(岐山) 묵천상(墨川上) 묵천중(墨川中) 묵천하(墨川下) 어사(御史) 송탄(松灘) |
덕재면(德在面) | 89.13 | 9 | 대창(大昌) 봉양(鳳陽) 청룡(靑龍) 적성(赤城) 대구(大九) 소구(小九) 덕성(德城) 화전(花田) 작시(勺詩) |
동선면(洞仙面) | 62.68 | 9 | 조양(朝陽) 기양(岐陽) 선령(仙嶺) 도덕(道德) 도림(桃林) 구암(龜巖) 청룡(靑龍) 독정(獨亭) 고산(高山) |
만천면(萬泉面) | 19.78 | 6 | 선정(蟬井) 광성(廣城) 유정(楡亭) 해당(海棠) 만금(萬金) 길성(吉星) |
문정면(文井面) | 38.35 | 8 | 송산(松山) 어수(御水) 구룡(九龍) 석성(石城) 태봉(胎封) 용담(龍潭) 지탑(智塔) 월성(月城) |
사인면(舍人面) | 65.7 | 15 | 계동(桂東) 국사(國祀) 대룡(大龍) 만화(萬和) 용림(龍林) 영중(嶺中) 안곡(安谷) 산산(蒜山) 문구(文龜) 용현(龍峴) 내요(內堯) 봉의(鳳儀) 검천(劒川) 명류(明柳) 월산(月山) |
산수면(山水面) | 113.85 | 9 | 용현(龍峴) 고려(高麗) 천덕(天德) 청송(靑松) 성수(聖壽) 오봉(五峰) 내성(內城) 망정(望亭) 관정(館亭) |
서종면(西鍾面) | 36.99 | 11 | 대한(大閑) 흥수(興壽) 묘송(妙松) 간촌(間村) 온채(溫寨) 추진(楸津) 홍(弘) 예로(禮老) 화(禾) 단장(丹檣) 노산(魯山) |
쌍산면(雙山面) | 72.69 | 7 | 송정(松亭) 궁대(宮垈) 전산(錢山) 갈현(葛峴) 화양(花陽) 요강(要江) 용산(龍山) |
영천면(靈泉面) | 20.43 | 8 | 미곡(嵋谷) 가산(佳山) 갑현(甲峴) 강락(江樂) 길상(吉祥) 수성(壽城) 경천(敬天) 해서(海西) |
초와면(楚臥面) | 85.27 | 14 | 은파(銀波) 덕암(德巖) 초구(楚邱) 세류(細柳) 용석(龍石) 회루(回樓) 양동(養洞) 관수(寬秀) 태안(太安) 입봉(立峰) 대청(大靑) 구암(龜巖) 장산(長山) 유정(柳亭) |
토성면(土城面) | 66.6 | 9 | 마산(馬山) 비정(碑井) 무정(武井) 토성(土城) 나산(羅山) 가촌(佳村) 율(栗) 함릉(咸陵) 창촌(倉村) |
각주
[편집]- ↑ “이북5도위원회 - 황해도 봉산군 조직”. 2013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황해도 시군 소개”. 이북5도위원회.
- “황해도 기구 및 정원”. 이북5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