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매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매목 |
과: | 매과 |
속: | 매속 |
아속: | 신성매속 |
종: | 흰매 |
학명 | |
Falco rusticolus | |
Linnaeus, 1758 | |
흰매의 분포 지역 | |
![]() | |
보전상태 | |
![]()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
흰매 또는 백송고리(프랑스어: gerfaucon, 영어: gyrfalcon, 학명: Falco rusticolus 팔코 루스티콜루스[*])는 매과 매속에 딸린 종들 중 가장 큰 종이다.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의 북빙양 연안 도서에 서식한다. 그러나 겨울이나 번식기 이후에 보다 넓은 지역을 돌아다닐 수 있으며, 동가식서가숙하는 개체 하나 하나는 훨씬 먼 거리를 이동할 수도 있다. 흰매는 북반구 대부분의 지역에 산재하며, 집중 서식 지역은 북아메리카, 그린란드, 북유럽이다. 깃털 색깔은 지역에 따라 순백에서 어두운 회색까지 다양하다. 수 세기 동안 흰매는 귀중한 사냥매로 대우받았으며, 특히 바이킹들이 그 가치를 높게 여겼다. 오늘날은 아이슬란드의 상징 새로 사용되고 있다.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국가생물다양성센터. “Falco rusticolus Linnaeus, 1758 흰매”.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